$\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쇼핑성향에 따른 신발속성 중요도 비교
Comparison of shoe attributes importance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s of college women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4, 2017년, pp.433 - 447  

이경림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eals the components of college women's shopping orientations and compares the attributes of shoe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consumers in the target market of young women by comparing the importance of shoe attributes with their shopping orientation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소비자 집단화의 기준이나 소비자유형을 분류하는 중요한 척도로 쇼핑성향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제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의 쇼핑성향을 파악함으로써 집단별 소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쇼핑성향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 하는 것은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과 효과적인 시장세분화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쇼핑성향에 따라 소비자유형을 분류하고, 신발선택 시 소비자유형별 제품 평가기준에 대한 중요도를 비교함으로써, 각 브랜드에서 소비자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신발 디자인을 하거나, 신발 소비시장을 세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그러나 쇼핑성향에 따른 신발속성 중요도를 평가한 연구 및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쇼핑성향과 신발속성 평가 변인의 하부 요인을 구분하고, 쇼핑성향에 따른 소비자유형별 신발속성 평가 변인의 중요도를 비교함으로써 신발 브랜드에서 젊은 소비자의 신발 구매 니즈 및 소비트렌드를 파악하고, 제품 기획, 차별화된 마케팅, 그리고 효과적인 시장세분화 전략 등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 중 쇼핑에 관련된 태도와 행동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쇼핑성향은 제품을 구입할 경우의 일반적인 접근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구매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Hawkins, Best, & Coney, 1989)이며,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시장을 세분화하는데 중요한 개념(Kang, 1999)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쇼핑성향을 변수로 두어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이들이 신발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제품속성에 대한 평가 정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트렌드를 선도하는 신발 브랜드에서 과시적가치와 미적가치를 추구하는 젊은 소비자를 수용하기 위해 브랜드 로고나 이미지 등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디자인 요소가 강화된 제품을 기획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또한 중장년층보다는 상대적으로 경제력이 부족한 대학생 소비자를 메인 타깃으로 하는 젊은 감각의 컴포트 캐주얼 신발 브랜드에서는 제품가치와 경제적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대부분의 소비자를 위해 가격은 저렴하지만 세련되고 트렌디한 제품 디자인을 증가시킨다면 판매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제품속성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 결과, 제품속성은 소비자들이 특정 브랜드를 선택하거나 그 제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제품속성 중 외재적속성과 내재적 속성을 함께 고려하여 특성별로 분류한 후 연구하였다. 또한 패션관련아이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의복제품속성으로 패션아이템의 제품속성을 논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신발속성이란 신발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특성 또는 소비자가 신발 구매 시 고려하는 제품특성의 차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 2%) 순서였으며, 대다수가 최근 6개월 이내에 이러한 품목에서 자신을 위해 가치소비를 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Daehak Naeil Age 20s Research Institute, 2015). 이와 같이 소비의 주체가 된 20대 소비자 중 본 연구에서는 자신들만의 문화가 있으며, 트렌드에 민감하고, 주체적 소비행동을 갖는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즐겨 구매하는 품목의 하나인 패션 잡화 중 신발 제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생활에서 신발이 가지는 의미는? 패션 아이템의 하나인 신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생겨났다. 현대 생활에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한 일차적인 목적 외에 다양한 패션 아이템과 조화됨으로써 각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스타일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품목으로 신발에 대한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장에는 구두를 신고, 활동적인 캐주얼에는 운동화를 신는다는 과거의 착장 방식에 대한 개념이 완화되면서, 현재 젊은 세대는 패션 코디네이션에 있어 자유로운 생각과 가치관에 따라 개성적이고 트렌디한 감각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정장에도 운동화를 신는 감각적인 스타일링이 증가하고 있다.
20대 소비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또한 20대의 문화코드가 시대를 대표할 만큼 그 영향력이 커지고 있으며, 이들은 소비 시장 전체의 변화를 리드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 소비의 핵심 주체 중 하나인 20대들은 트렌드에 민감하고, 개인에 대한 소비에 적극적인 세대로(Lee, 2014), 중장년층에 비해 시간과 돈이 부족해 제품을 구입할 때도 성능, 디자인, 가격 등 여러 면을 고려하여 구입함으로써 최소 비용으로 최대 만족을 얻으려는 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Yoo, 2015). 2015년 ‘대학내일 20대 연구소’가 전국 20대 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자신을 위해 주로 구매하는 제품은 1위 의류(33.
쇼핑성향이란 무엇인가? 쇼핑성향은 쇼핑행동에 대한 소비자의 일반적 경향(Gehrt, Alpander, & Lawson, 1992)을 말하는 것으로, 쇼핑활동을 함으로써 나타나는 보다 구체적인 행동특성이나 양상(Lim, 2006)이며, 쇼핑 전, 쇼핑 시의 태도나 행동 등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쇼핑스타일(Choi, 1996)을 의미한다. Kim(2003)에 따르면 의복쇼핑성향은 의복 특정 영역과 쇼핑 특정 영역 간 중복 부분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의복쇼핑 특정 라이프스타일로 정의하였고, Kim and Rhee(2004)는 의복쇼핑 성향을 소비자의 행동, 흥미, 의견 등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쇼핑양상으로 쇼핑 전, 당시, 후의 행동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hn, K. H., Hwang, S. J., & Jung, C. J. (2010). 패션마케팅 [Fashion marketing] (3th ed.). Seoul: Soohaksa. 

  2. Ahn, N. K. (2016, December 6). 2016년 결산 14-슈즈:기능성 강조하는 실용적 트렌드 [End of 2016 14-Shoes: Practical trends that emphasize functionality]. Fashion Channel, Retrieved February 18, 2017, from http://www.fashionchannel.co.kr/main/bbs.php?tableinews&whereALL&search_step1&category승인&queryview&uid43669&p1 

  3. Brown, M.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hopping orientation and online purchase behaviour.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Business and Behavioral Sciences, USA, 7(4), 59-64. 

  4. Cha, I. S., Ahn, S. H., & Lee, K. H. (1999). A study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store choice criteria on department stores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2), 284-295. 

  5. Cho, H. K. (2006).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following the consumption oriented theory: Targeting women between the ages of 20's and 3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 Cho, W.-S. (2013). The status of global footwear industry and overseas expansion strategy of the domestic shoes enterpri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7. Cho, Y. J., & Choi, J. H. (2012). A study on consumer buying behavior of functional shoe: Focused on well-being health consciousness. Korea Science & Art Forum, 10, 223-233. 

  8. Choi, E. J. (2005). A study on young casual clothing wear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Focus on price discou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 Choi, S. H. (1996). A study of general values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for unmarri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0. Choi, Y.-H. (2013). The effect of perceived product nature on consumption value and repurchase int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1. Daehak Naeil Age 20s Research Institute. (2015, March 31). 20대의 가치소비 습관, 당신은 어떤 유형? [Valuable consumption habit of young consumers in their 20s, what type of consumer are you?]. WikiTree, Retrieved September 10, 2016, from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13381 

  12. Dickson, M. A., & Littrell, M. A. (1997). Consumers of clothing from alternative trading organizations: Societal attitudes and purchase evaluative criteria.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1), 20-33. doi:10.1177/0887302X9701500103 

  13.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on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doi:10.1177/0887302X9000800202 

  14. Gehrt, K. C., Alpander, G. G., & Lawson, D. (1992). A factor-analysis examination of catalog shopping orientations in france. Journal of Euromarketing, 2(2), 49-69. doi:10.1300/J037v02n02_05 

  15. Ham, J. S. (2017, February 13). 침체된 패션 시장, 복고가 '활력' [Stagnated fashion market, retro 'vitality']. Edaily, Retrieved February 23, 2017, from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C21&newsid01285766615830192&DCDA00302&OutLnkChkY 

  16. Hawkins, D. I., Best, R. J. & Coney, K. A. (1989). Consumer behavior: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y (4th ed.). Homewood, IL: Richard D. Irwin, Inc. 

  17. Hong, B.-S., & Na, Y.-K. (2007). The effect of apparel customer's product, price attributes and shopping values on internet shopping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7), 1075-1084. doi:10.5850/JKSCT. 2007.31.7.1075 

  18. Jang, Y.-S., Park, N. R, & Park, J.-O. (2009).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apparel attributes according to the shopping valu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8), 1215-1226. doi: 10.5850/JKSCT.2009.33.8.1215 

  19. Jung, J. S. (2016, September 13). 2016 신발 마켓 트렌드: 성장률 감소세 불구 패션시장 비중 갈수록 증가 [2016 shoe market trend: continued increase in a portion of shoes to fashion market despite decrease in growth rates]. Korea Fashion+Tex News, Retrieved October 19, 2016, from http://www.ktnews.com/sub/view.php?cd_news100467 

  20. Ju, S.-R., & Chung, M.-S.(2014). The effects of both store and private brand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t large discount stor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1), 143-157. doi:10.7741/rjcc.2014.22.1.143 

  21. Kang, B. H. (2010, July 2). 소비의 핵, 20대 여성을 공략하라 [Target the core of consumption: young women in their 20s]. The Korea Optical News, Retrieved May 10, 2016, from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357 

  22. Kang, K.-J. (1999). A study of impulse buying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women by thei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7(4), 625-636. 

  23. Kim, H.-H. (2015).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and purchase evaluative criteria according to consumer's market segmentation: Focusing on shoe product consum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llabuk-do, Korea. 

  24. Kim, H. J., & Chung, M. S. (2015). The effects of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and perceived risk on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3), 384-399. doi:10.7741/rjcc.2015.23.3.384 

  25. Kim, I. J., Kim, J. S., Lee, J. H., Lee, D. J., & Bae, J. W. (2016). 신발 산업 및 섬유 소재 동향 [Footwear industry and textile material trend].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20(3), 175-183. 

  26. Kim, J.-W. (2011). Shoes purchase behaviors of female consumers based on pursued fashion imag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9(2), 60-73. 

  27. Kim, S. A., & Kim, J. Y. (2009). Shoes shopping orientation and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determined by 30-40s female shopp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5(3), 48-57. 

  28. Kim, S.-H. (2003). Development of conceptual structure and measurement scale fo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9. Kim, S.-H., & Rhee, E.-Y. (2004). A documentary study to determine the concept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3/4), 472-482. 

  30. Kim, S. Y., & Rhee, E. Y. (1994). A study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of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3), 429-439. 

  31. Kottler, P. (1997).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9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32. Kwak, S. M. (2017, February 9). 5개월만에 15만족! 휠라 '코트디럭스' 화제 [In five months, 150,000 pairs! Fila 'Court Deluxe' topic]. Fashionbiz, Retrieved February 23, 2017, from http://www.fashionbiz.co.kr/TN/?cate2&recom2&idx158883 

  33. Lee, A.-R., & Yoo, T.-S. (2010).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on brand loyalty and shopping satisfaction of fashion outlet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 114-129. 

  34. Lee, G. H. (2014, October 30). 20대 소비, 위태로워 보인다 [Consumption of 20, it looks dangerous]. Monthly Saram, Retrieved September 19, 2016, from http://www.monthlysaram.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7 

  35. Lee, O.-H., Kim, K.-H., & Choi, M.-H. (2002). A study on knit wear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4), 364-376. 

  36. Lee, S. B., & Bae, J. C. (2017, March 25). 식지 않는 '복고열풍'...이번엔 'N세대 패션' 컴백 [The 'retro fever'...This time 'N generation fashion' comeback]. The Korea Economic Daily, Retrieved April 8, 2017, fr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32462851 

  37. Lee, S.-H., Lee, J.-Y., & Park, M.-J. (2010). Shoes purchasing behavior and wearing satisfaction related with lifestyle of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2), 75-90. 

  38. Lee, W. S., Song, W. R., & Kim, S. A. (2014). A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 factor analysis of shoes products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3(4), 49-57. 

  39. Lim, K.-B. (2006).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s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residenc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3), 366-380. 

  40. Lim, K.-B. (2007). A study on the clothing involvement,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 usag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9(1), 221-234. 

  41. Min, J. H. (2017, March 6). 복고풍 스니커즈 열풍 타고 라코스테 스포츠 국내 첫선 [Lacoste Sports comes to Korea with retro sneakers fever]. The Korea Economic Daily, Retrieved March 8, 2017, fr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30679571 

  42. Na, Y. K., & Suh, H. S. (2008). A study on on-line consumer's shopping propens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apparel product attributes and price attributes. Fashion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0(2), 164-172. 

  43. Park, E. J., & Kim, B. K. (2016).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marketing stimulus and perceived risk on e-impulse buying of shoes market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9(1), 71-82. doi:10.14695/KJSOS.2016.19.1.71 

  44. Park, E. J., & Rhee, E. Y. (1993). A theoretical study on situational influences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7(2), 219-231. 

  45. Park, H.-H., & Ku, Y.-S. (2008).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fashion brand loyalty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Focused on shopping orientations, clothing attributes evaluation, clothing benefits sough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5), 910-923. 

  46. Park, H. J., & Yoo, T.-S. (2012).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among clothes consumption value, need for uniqueness, use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importance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and store attribu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8), 802-813. doi:10.5850/JKSCT.2012.36.8.802 

  47. Park, S. E. (2006). The cognitive complexity of clothing attributes: Focused on clothing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4), 497-506. 

  48. Park, S. H. (2005). A study about purchasing act of the fashion accessories according to customers' shopping tendency: Focusing on the shoes and handba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9. Park, S. Y. (2017, April 6). 정장과 캐주얼 사이 '가성비 甲' 멀티슈즈 [Between suit and casual 'costeffectiveness 甲'multi-shoes]. Financial News, Retrieved April 8, 2017, from http://www.fnnews.com/news/201704062020178878 

  50. Richardson, P. S., Dick, A. S., & Jain, A. K. (1994). Extrinsic and intrinsic cue effects on perceptions of store brand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58(4), 28-36. doi:10.2307/1251914 

  51. Shin, W.-H., & Yoo, T.-S. (2004). The study on goods attributes and brand attitude by fashion brand.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3(6), 943-957. 

  52. Yoo, H. Y. (2015, November 14). 20대 신조어로 본 그들만의 문화 [A glimpse at distinct culture of their own among young adults in their 20s through neologisms]. ChosunBiz, Retrieved December 28, 2016, from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1/13/2015111303033.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