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방조제 건설로 인한 조업구역의 변경이 전라북도 근해형망어업의 패류어획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catch of shellfish by offshore dredge fishery according to change fishing area to the construction of the Samangeum Dike in Jeollabuk-do, Kor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53 no.3, 2017년, pp.266 - 275  

최종덕 (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류동기 (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이미희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ximum sustained yield (MSY) of shellfish caught through dredge fishery was 7,250 to 7,490 MT from 1990 to 1999, which was not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The MSY from 2000 to 2016, under the influence of the dike, was 1,716 to 1,776 MT when the total annual fish cat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근해형망어업의 패류 자원의 연도별 어획량 자료를 이용하여 새만금 방조제 건설이 근해형망어업의 패류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라북도 근해형망어업의 패류자원의 관리방안과 지속적 생산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근해형망어업의 패류 자원의 연도별 어획량 자료를 이용하여 새만금 방조제 건설이 근해형망어업의 패류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라북도 근해형망어업의 패류자원의 관리방안과 지속적 생산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다음으로 Fox 모델은 Schaefer 모델과 달리 비대칭성장곡선으로 표현된다. 어획노력량이 증가하면 CPUE는 곡선 형태로 감소한다고 가정하였다 (Fox, 197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대지속적생산량 (MSY)과 최대지속어획노력량 (fMSY)을 어떻게 추정했는가? 최대지속적생산량 (MSY)과 최대지속어획노력량 (fMSY)을 추정하기 위하여 Schaefer와 Fox 모델을 사용하였고, 통계청의 연도별 어획량 자료와 시․군으로부터 확인한 어선척수를 이용하여 단위노력당어획량 (CPUE , MT/boat)을 산정하였다.
패류 어획량 자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전라북도에서 생산되는 패류 어획량 자료는 크게 마을어업, 패류양식어업, 형망어업 및 기타어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근해형망어업으로 어획된 패류생산량이 아닌 마을어업, 패류양식어업과 기타어업은 자원해석에서 제외하였고, 순수하게 전라북도 근해형망어업으로 어획된 패류 어획량 자료를 이용하여 최대지속적생산량 (MSY)과 최대지속어획노력량 (fMSY)을 산정하였다.
근해형망어업 (허가어업) 어획량 자료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어떻게 나타났는가? 근해형망어업 (허가어업) 어획량 자료는 1990년대 초반에 높은 어획량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이후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어획량은 1990년대에 평균 6,700 MT을 나타냈고,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0년대에는 주 조업대상종이 대량 어획 시 평균 1,745 MT, 소량 어획시 평균 222 MT으로 전체 평균 760 MT이었다 (Fig. 1∼3, Table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HC, Bae JH, Park JM, Park CD and Hong SE.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cluster analysis of the communities caught by dredge in relation to tooth spacing and mesh size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neung, Korea. J Korean Soc Fish Technol 50(4), 503-541. (DOI:10.3796/KSFT.2014.50.4.530) 

  2. An HC, Park HH, Park JM, Hong SE, Yoon BS, Park CD and Bae JH. 2015. Catch and Bycatch of Dredge in the Yeongil Bay, Pohang. J Korean Soc Fish Technol 51(4), 493-503. (DOI:10.3796/KSFT.2015.51.4.493) 

  3. Cha BY, Lee CS, Moon TS and Park MS. 2012. A Study on bivalves in Yeongil Ba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Korean J Malacol 28(2), 101-108. 

  4. Cho BK and Ko KS. 1994(a;b). Development of Hydraulic Jet Dredge. Kunsan Nat'l. Univ. Fisheries science institute 2, (a;171-181, b;183-194). 

  5. Cho YG, Ryu SO, Khu YK and Kim JY. 2001. Geochemical composition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Saemang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gr 6(1), 27-34. 

  6. Fox WW. 1970. An exponential surplus-yield model for optimizing exploited fish populations. Transaction of American Fisheries Society. 90, 80-88. 

  7. Hong SE, Bae JH, Park CD, Park JM, Yoon BS and An HC. 2016.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roperty of dredge fishery in Yeongil Bay, Korea. J Korean Soc Fish Technol 52(1), 48-55. (DOI:10.3796/KSFT.2016.52.1.048) 

  8. Je JG, Park HS, Lim HS and Lee JS. 1991. Distribution pattern of benthic invertebrates dredged in the coastal waters of Chungchongnamdo, Korea (Yellow Sea). Yellow sea research 4, 103-119. 

  9. KFA (Korea Fisheries Association). 1992. Korean Fisheries Yearbook. KFA, 411-433. 

  10. KFA (Korea Fisheries Association). 2000. Korean Fisheries Yearbook. KFA, 546-5473. 

  11. Kim JS and Hwang SD. 2003. Biomass of Shellfish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6(6), 757-761. 

  12. Kim JK. 2004.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a fish trap in Gogunsan.Gunsan Area. MS Thesis, Kunsan Nat'l. Univ., Korean, 1-2. 

  13. Kim YK. 1999. A study on the catching selectivity of the Ark Shell (Scapharca broungtonii) dredge. MS Thesis, Kunsan Nat'l. Univ., Korean, 10-45. 

  14. Lee JH. 2012.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offshore area outside Saemangeum dike since Saemangeum dike construction. Ph.D. Thesis, Chonnam Nat'l. Univ., Korean, 3. 

  15. MIFAF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5.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ery census. Jeollabuk-do, 95. 

  16. MIFAF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NFDR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0.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ery census. Jeollabuk-do, 98-101. 

  17. MOMA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Statistics of ships and catches. Retrieved from http://www.fips.go.kr cessed December 2, 2016. 

  18. Park HH and Kim SH. 2000. Tooth selectivity on venus clam (Gomphina melanaegis) dredge. Bull Korean Soc Fish Tech 36(4), 267-273. 

  19. Schaefer MB. 1954. Some aspects of the dynamics of populations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marine fisheries. Bull Int Am Trop Tuna Commun 1, 27-56. 

  20. Zhang CI and Lee JB. 2001.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horse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Korean waters,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cruitment and the ocean environment. Progress in Oceanography. 49, 513-5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