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녹화 방법이 온·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oor Greening Method o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4, 2017년, pp.1 - 10  

권계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원예학전공) ,  박봉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벽면녹화 및 벽천시스템이 없을 때를 대조구로 하여, 벽면녹화시스템 1개(Case 1), 벽면녹화시스템 2개(Case 2), 벽면녹화시스템 2개와 벽천시스템(Case 3)의 4가지 조건별 실내 온 습도 조절 및 입자상 오염물질인 PM1와 PM10 제거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은 충북대학교 내의 사무실에서 2015년 8월부터 9월까지 약 2개월 동안 대조구, Case 1, Case 2, Case 3 순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하였고, 실험기간 동안 외기온도가 비교적 일정했던 2015년 8월 17~20일(반복 실험 1), 8월 31일~9월 3일(반복 실험 2)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내조경 설치에 따른 식물의 용적비는 대조구, Case 1, Case 2, Case 3이 각각 0, 0.6, 1.2, 1.4%였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Case 1, Case 2, Case 3의 평균온도는 각각 0.3~0.7, 0.7~0.9, $1.0^{\circ}C$가 감소되었으며, 평균상대습도는 각각 1.8~8.7, 9.2~14.6, 14.8~21.9%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염원 주입 후 300분이 경과하였을 때, 대조구, Case 1, Case 2, Case 3의 PM1 잔존비율은 반복 실험 1의 경우에는 각각 25.0, 22.0, 21.2, 17.3%이었으며, 반복 실험 2에서는 42.3, 28.9, 23.1, 30.9%로 나타났다. PM10 잔존비율은 반복 실험1에서는 각각 13.8, 10.8, 12.5, 9.2%이었으며, 반복 실험 2에서는 각각 24.5, 15.3, 12.6, 14.8%로 나타났다. 실내녹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 온도와 PM1, PM10의 저감효과는 컸으며, 습도는 온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M1과 PM10은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빨리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nd PM1 and PM10 mitigation effects of a single green wall (Case 1), two green walls (Case 2), and two green walls plus a waterfall (Case 3) in comparison with a control without either a green wall or waterfall. Experiments were cond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해 식물을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실내벽면녹화시스템과 식물을 식재한 벽천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실내 온·습도 조절효과 및 입자상 오염물질인 PM1과 PM10의 제거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해 식물을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스파티필럼(Spathiphyllum spp.)을 식재한 벽면 녹화시스템 1개(Case 1), 벽면녹화시스템 2개(Case 2), 벽면녹화시스템 2개와 벽천시스템(Case 3)의 3수준으로 설치하였을 때, 실내 온·습도 조절효과 및 입자상 오염물질인 PM1과 PM10 제거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를 입경 크기 별로 구분하면? 그러나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는 TSP보다 입경이 작은 것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좀 더 다양한 입경 크기로 미세먼지를 분류하였다. 미세먼지는 PM1, PM2.5, PM7, PM10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입자의 지름은 각각 1, 2.5, 7, 10μm 이하이다 (Querol et al., 2001).
냉·난방기와 공기정화기 대신 식물 도입으로 환경 조절을 도모하는 경우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식물의 온·습도 조절과 공기정화 효과는 냉·난방기와 공기정화기의 보조역할을 하여 에너지 사용 감축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식물 이용은 경제적이고, 자연친화적이며, 공학적 방법에 의한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Sawada and Oyabu, 2008). 
녹지 공간 감소가 유발하는 환경 문제는 무엇인가? 에너지 소비분석과 건축설비에서의 온실가스 저감 방안 연구(Park and Park, 2012)에 따르면, 건물의 운용에 소비되는 에너지 중 50%가 공조용으로 소비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인구밀도, 교통량, 도시적 산업비율 증가에 따른 도시화는 녹지 공간 감소를 초래하였고, 도시열섬 과 대기오염 등 각종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식물은 정서순화, 온·습도 조절, 음이온 발생, 소음경감, 차폐효과, 공기정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en, Q., B. Li, and X. Liu(2013)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living wall system in hot and humid climate. Energy and Buildings 61: 298-307. 

  2. Franco, A., R. Fernandez-Canero, L. Perez-Urrestarazu, and D. L. Valera(2012) Wind tunnel analysis of artificial substrates used in active living walls for indoor environment conditioning in Mediterranean buildings. Building and Environment 51: 370-378. 

  3. Jim, C. Y. and L. L. H. Peng(2012) Weather effect on thermal and energy performance of an extensive tropical green roof.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1(1): 73-85. 

  4. Lee, C. H., B. Choi, and M. Y. Chun(2015) Stabilizing soil moisture and indoor air quality purification in a wall-typed botanical biofiltration system controlled by humidifying cycl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3(4): 605-617. 

  5. Lee, K. I., J. H. Lee, and M. J. Kwon(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plants in balcony - Focused on the control of temperature, humidity and reduction of formaldehyd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Planning & Design 23(8): 263-271. 

  6. Lee, K. M. and H. J. Yu(2007) The impact of high temperature on the increase of mortality in summertime - The case of Seoul. Journal of Climate Research 2(2): 118-127. 

  7. Li, J. F., O. W. H. Wai, Y. S. Li, J. M. Zhan, Y. A. Ho, J. Li, and E. Lam(2010) Effect of green roof on ambient $CO_2$ concentration. Build. Environ. 45: 2644-2651. 

  8. Moon, H. J.(2015) Humidity control in buildings for healthy environment.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9(2): 53-59. 

  9. Park, J. I. and I. Park(2012) A study on analysis of domestic energy consumption and reduction greenhouse gas in building. Transactions of the Korea Society of Geothermal Energy Engineers 8(1) :1-6. 

  10. Park, S. A., M. G. Kim, M. H. Yoo, M. M. Oh, and K. C. Son(2010) Plant physiological responses in relation to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CO_2$ concentration for the selection of efficient foliage plants on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8: 928-936. 

  11. Qiu, D., J. Liu, L. Zhu, L. Mo, and Z. Zhang(2015) Particulate matter assessment of a wetland in Beiji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36: 93-101. 

  12. Sawada, A. and T. Oyabu(2008)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pothos for airborne chemicals in growing conditions and its evaluation. Atmospheric Environment 42: 594-602. 

  13. Son, K. C., M. K. Kim, S. H. Park, M. K. Chang(1998) Effect of foliage plant Pachira aquatica on the change of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16: 377-380. 

  14. Soreanu, G., M. Dixon, and A. Darlington(2013) Botanical biofiltration of indoor gaseous pollutants - A mini-review.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29: 585-594. 

  15. Synder, S. D.(1990) Building Interiors, Plants and Automation.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pp. 5-29. 

  16. Tham, K. W.(2008) Room Air Temperature Affects Occupants' Physiology, Perceptions and Mental Performanc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Building Environment, Seoul, Korea. pp. 105-116. 

  17. Querol, X., A. Alastuey, S. Rodriguez, F. Plana, E. Mantilla, and C. R. Ruiz(2001) Monitoring of PM10 and PM2.5 around primary particulate anthropogenic emission sources. Atmospheric Environment 35: 845-858. 

  18. Yang, J., Y. Qian, and G. Peng(2008) Quantifying air pollution removal by green roofs in Chicago. Atmospheric Environment 42: 7266-7273. 

  19. Yoo, B. H.(2010) The analysis of the impact on VOC and formaldehyde concentration in new apartment housing relation with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Planning & Design 26: 383-391. 

  20. Yoon, P. S.(2002) Hortus Koreana. Seoul. Jisiksanupsa. 

  21. Wolverton, B. C.(1989) Interior landscape plants for indoor air pollution abatement. NASA Report. pp. 1-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