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닥 줌치한지의 물리적 성질 -줌치치기 시간, 초지기법, 합지 수에 따른 강도 차이-
The Physical Properties of Handmade Jumchi-Hanji Made with Korea Paper Mulberr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4, 2017년, pp.633 - 645  

홍희숙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  조현진 (대한특수한지) ,  김성주 (대한특수한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Dakji layer (a layer, two layers), the time of Jumchichigi (20, 40 and 60 minutes) and the type of Choji method making Dakji (Oebal-teugi, Ssangbal-teugi) on five strength properties of Jumchi-Hanji. As a result, the number of Dakji layer and the tim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지의 원료는 무엇인가? 한지(韓紙)는 서양에서 만들어진 종이를 일컫는 양지(洋紙)와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이다(Kim, 2007). 한지의 원료로는 닥껍질, 등나무, 짚, 이끼 등이 쓰이는데(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닥나무(100%)를 원료로 제조한 수록한지에 연구범위를 한정하였다. 전통적으로 수록한지는 여러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Hong, 2014).
한지의 초지 방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현재 국내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한지의 초지(Choji)방식은 흘림뜨기(외발뜨기), 가둠뜨기(쌍발뜨기), 반자동기계식 초지, 장판지뜨기(현재는 거의 사라짐)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Jeon, 2002, 2012; Park, 2002; Yoon & Ra, 2013). 조선시대부터 전해내려 오는 전통적 방식인 흘림뜨기는 외발뜨기(Oebal-teugi)로 불린다.
종이와 같은 친환경 경량소재를 이용한 제품 생산을 하는 외국 브랜드는 어떤 것이 있나요? 대표적인 친환경 경량소재들 중의 하나가 종이이다. 일본의 ‘SIWA’와 이탈리아의 ‘UA-SHMAMA’ 브랜드는 종이로 지갑, 가방 및 각종 생활용품을 개발하여 판매하는 대표적인 브랜드들이다. 두 브랜드의 종이제품들은 유럽은 물론 국내 시장에 까지 진출하여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는 반면 한지 종이를 활용한 제품시장 개척은 아직도 미미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ong, H. J. (2014). Study on creative Hanji and Hanji material technique-Focusing on art work. Journal of Asian Ethno-Forms, 14, 89-103. 

  2. Jeon, C. (2002). 전통 한지의 이해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Hanki]. In. J. C. Kim (Vol. Ed.), 숲과 문화 총서 10: 산과 우리문화 [A series of forest and culture Vol. 10: Mountain and our culture] (pp. 185-192). Seoul: Sumunchulpansa. 

  3. Jeon, C. (2011). A study on origin and differentiation of Korean paper art. Journal of Korea TAPPI, 43(4), 11-22. 

  4. Jeon, C. (2012). Development of Jumchihanji as a superior material the manufacture of stationery foamboards. 예술문화논집, 8, 141-152. 

  5. Jeon, Y. B., Kim, K. H., & Lim, H. A. (2014).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Jumchi Hanji for application as shroud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3), 397-403. doi:10.5850/JKSCT.2014.38.3.397 

  6. Kim, J. J., & Jang, J. D. (2004). After-treatment of Jumchi technique for using Dakji as clothing mater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6(2), 245-248. 

  7. Kim, S. C. (2007). 종이 역사 II [History of paper II]. Seoul: Doseochulpan Pojangsaneop. 

  8.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4). KS M ISO 2758:2004 Paper-Determination of bursting strength. Seoul: Author. 

  9.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6a). KS M ISO 536:2006 Paper and board-Determination of grammage. Seoul: Author. 

  10.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6b). KS M ISO 1924-3:2006 Paper and board-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Part 3: Constant rate of elongation method(100mm/min). Seoul: Author. 

  11.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6c). KS M ISO 1974:2006 Paper-Determination of tearing resistance-Elmendorf method. Seoul: Author. 

  12.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6d). KS M ISO 5626:2006 Paper-Determination of folding endurance. Seoul: Author. 

  13.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7). KS M ISO 3781:2007 Paper and board-Determination of tensile strength after immersion in water. Seoul: Author. 

  14.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1). KS M ISO 534:2011 Paper and board-Determination of thickness, density and specific volume. Seoul: Author. 

  15. Kwon, O. H., & Kim, H. C. (2012). Studies on physical properties and printability of machine-made Hanji made by different contents of paper mulberry. Journal of Korea TAPPI, 44(2), 1-7. doi:10.7584/ktappi.2012.44.2.001 

  16. Kwon, O. H., & Kim, H. C. (2013). Preservation and printability property of machine-made Hanji by different contents of paper mulberry. Journal of Korea TAPPI, 45(3), 1-8. doi:10.7584/ktappi.2013.45.3.001 

  17. Lee, B. J. (1995). The control of fibre orientation of the high speed papermachine by adjusting edge flow valve and using TSO tester. Journal of Korea TAPPI, 27(4), 35-42. 

  18. Lee, J. H., & Park, J. M. (2003). Change of paper's physical and fracture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fibers properties. Journal of Korea TAPPI, 35(3), 37-42. 

  19.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Traditional Korean paper culture. Seoul: Doseochulpan Sinyou. 

  20. Park, J. S. (2002). 종이 기록물의 보존과 복원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paper records]. Proceeding of the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ervation and Digital Preservation of Archives and Records, Korea, 3, 263-272. 

  21. Pak, P. K., Han, T. H., & Chung, Y. S. (2006). Effect of crossliking on dimensional stability and dye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43(2), 95-100. 

  22. Scott, W. E., Abbott, J. C., & Trosset, S. (1995). Properties of paper: An introduction (2nd ed.) Peachtree Corners, GA: TAPPI Press. 

  23. Seo, Y. B., Choi, C., & Jeon, Y. (2001). Effect of traditional Hanji manufacturing process on its physical properties. Journal of Korea TAPPI, 33(4), 28-34. 

  24. Yoon, S. L., & Ra, J. B. (2013). Orientation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aper-Hanji. Journal of Korea TAPPI, 45(3), 52-58. doi:10.7584/ktappi.2013.45.3.0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