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작가동성이 향상된 작업복 하의 개발을 위한 시판 제품의 착용감 및 여유량 평가
Evaluation of Wearing Comfort and Ease of Working Pants for Improved Mobili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4, 2017년, pp.752 - 770  

이효정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엄란이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이예진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s a size specification and ease for the development of pants for working cloth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rding to season. We collected and measured the size specification of 4 types of Spring/Fall pants, 4 types of winter brushed bonding pants, and 4 types of winter pad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중인 건설업 작업복 하의에 대하여 다양한 업체의 제품을 계절별로 수집하여 사이즈 스펙과 여유량을 파악하고, 동작에 따른 착용감 및 여유량에 대한 주관적 감각과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업 작업복의 사이즈 스펙과 여유량에 따른 동작가동성의 관계를 정량화하고,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치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설업 작업자를 위한 작업복 바지에 대하여 계절별 작업복을 수집하여 사이즈 스펙을 측정하고, 착용감과 여유량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착용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이즈 스펙의 특성과 착용자가 지각하는 여유량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동작가동성이 향상된 계절별 작업복 바지의 사이즈 스펙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설업 작업자를 위한 작업복 바지에 대하여 계절별 작업복을 수집하여 사이즈 스펙을 측정하고, 착용감과 여유량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착용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이즈 스펙의 특성과 착용자가 지각하는 여유량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동작가동성이 향상된 계절별 작업복 바지의 사이즈 스펙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중인 건설업 작업복 하의에 대하여 다양한 업체의 제품을 계절별로 수집하여 사이즈 스펙과 여유량을 파악하고, 동작에 따른 착용감 및 여유량에 대한 주관적 감각과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업 작업복의 사이즈 스펙과 여유량에 따른 동작가동성의 관계를 정량화하고,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치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복은 어떻게 디자인되어야 하는가? 작업복은 작업자에게 가장 근접한 작업환경으로서, 심리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측면에서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Watanabe, 1978). 즉, 그들의 쾌적한 작업환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항상 착용하는 작업복에 다기능적 특성 부여가 필요하다.
작업복의 개선을 위해 현실적으로 가장 쉽게 고려될 수 있는 요소가 여유량 설정인 이유는? 그리고 여유량은 특정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여유량(design ease)과 동작가동성, 쾌적성, 실루엣을 고려한 착용 여유량(wearing ease)으로 나눌 수 있다(Petrova & Ashdown, 2008). 현재 판매되고 있는 건설업 근로자용 작업복은 신축성이 거의 없는 제한된 직물로 제작되고 있으며, 새로운 직물의 사용은 비용과 직결되기 때문에 손쉽게 개선할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작업복의 개선을 위해서 현실적으로 가장 쉽게 먼저 고려될 수 있는 요소는 여유량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의복에서 여유량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일반적으로 의복에서 여유량은 핏(fit)과 사이즈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여유량은 특정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여유량(design ease)과 동작가동성, 쾌적성, 실루엣을 고려한 착용 여유량(wearing ease)으로 나눌 수 있다(Petrova & Ashdown,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ang, S. O., & Choi, H. S. (2006). Development of work clothing for the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7), 1090-1102. 

  2. Huh, J. K., & Choi, H. S. (2006). Construction of street cleaner uniform for the funtional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8), 1178-1187. 

  3. Jeong, Y. (2013). 3D virtual clothing menswear pattern design I. Seoul: Ybook. 

  4. Jo, K. Y. (2014). Men's wear. Seoul: booknamu. 

  5. Kim, H. E., Yeon, S. M., Jeong, J. R., Lee, M. J., Chang, J. H., & You, H. C. (2006). Ergonomic evaluation of functional working-clothes-focused on flame-proof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8(5), 597-603. 

  6. Kim, J. W., & Ryou, H. S. (2009). A study on work clothes for Korea railroad (Part II)-Focused on winter p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3), 410-419. 

  7. Lee, H., & Lee, Y. (2017). Product characteristics and wearing survey of domestic construction workwea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6(1), 21-32. doi:10.5934/kjhe.2017.26.1.21 

  8. Lee, J., & Steen, C. (2014). Technical sourcebook for designers (2nd ed.). New York, NY: Fairchild Books. 

  9. Lee, Y. J., & Choi, H. S. (2004). A study on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119 rescue unifo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1), 1384-1394. 

  10. Petrova, A., & Ashdown, S. P. (2008). Three-dimensional body scan data analysis body size and shape dependence of ease values for pants' fi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6(3), 227-252. doi:10.1177/0887302X07309479 

  11. Seok, H. J., Kim, I. S., Chung, G. S., Bae, J. H., Kwon, M., & Yang, M. J.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rking uniform for volunteer fire brigade memb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7), 63-72. 

  12. Watanabe, M. (1978). Hygiene of clothing and wear. Dobun-Shoin, 154-1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