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습용 10-20 Electrode System을 이용한 뇌파검사 실습의 효율성과 만족도 평가
An Estimation of the Efficiency and Satisfaction for EEG Practice Using the Training 10-20 Electrode System: A Questionnaire Surve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3, 2017년, pp.300 - 307  

이창희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  김대진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신경과) ,  최정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생명융합과학과) ,  이종우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신경과) ,  이민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생명융합과학과) ,  조재욱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신경과) ,  김성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생명융합과학과)

초록

뇌파검사는 영상검사와는 달리 기능검사로 간질을 진단하고 뇌와 관련된 질환들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뇌파검사를 시행하는 임상병리사의 가장 중요한 점은 정확한 전극 부착 위치를 확인하여 전극을 부착하고 인공산물을 제외한 순수한 뇌파를 기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과정에서 이론적인 부분과 함께 실습을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고가의 장비와 실습시간의 부족 때문에 충분한 실습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된 사항을 해결하고자 연습용 10-20 Electrode system을 제작하여 설문지를 통해 만족도와 실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습용 10-20 Electrode system을 사용한 실습시간은 $43.58{\pm}9.647$분으로 측정되어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과과정 중 뇌파검사 실습을 진행한 학생(유경험자)의 만족도는 $7.21{\pm}2.285$점, 연습용 10-20 Electrode system을 사용한 실습 만족도는 $9.46{\pm}1.166$점으로 상당 부분 향상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유경험자는 교과과정 중 실습할 때 전극 부착 위치만 확인하고, 전극은 단체로 붙여보는 실습을 했고. 애로사항 중 전극 부착위치가 찾기 어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경험자는 교과과정 중 뇌파 장비의 부재로 인해 실습을 하지 못했다. 연습용 10-20 Electrode system을 사용하여 실습했을 때는 전극 부착위치를 찾는 것과 전극(풀)을 부착하는 어려움이 교과과정 중 실습할 때와 마찬가지로 가장 많이 아쉬움으로 나타났다. 위에 언급된 내용을 보면 연습용 10-20 Electrode system을 사용하여 실습을 하게 되면 부족한 장비와 실습시간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연습용 10-20 Electrode system의 실제 뇌파 확인, 정확한 부착위치 확인 등 한계점을 개선하여 좀 더 실현성 있는 실습도구가 되도록 연구가 필요하고 더 나아가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로 고가의 장비로 인해 어려운 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ctroencephalography (EEG) is distinct from other medical imaging tests in that it is a functional test that helps to diagnosis disorders related to the brain, such as epilepsy. The most important abilities for a medical technologist when performing an EEG are know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족한 실습시간에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여 ‘연습용 10-20 Electrode system’ 실습도구를 제작하였다(Figure 1). 또한 제작된 실습도구의 효율성과 만족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사용에 있어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파검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뇌파검사는 영상검사와는 달리 기능검사로 간질을 진단하고 뇌와 관련된 질환들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뇌파검사를 시행하는 임상병리사의 가장 중요한 점은 정확한 전극 부착 위치를 확인하여 전극을 부착하고 인공산물을 제외한 순수한 뇌파를 기록하는 것에 있다.
뇌파검사를 시행하는 임상병리사의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뇌파검사는 영상검사와는 달리 기능검사로 간질을 진단하고 뇌와 관련된 질환들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뇌파검사를 시행하는 임상병리사의 가장 중요한 점은 정확한 전극 부착 위치를 확인하여 전극을 부착하고 인공산물을 제외한 순수한 뇌파를 기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과정에서 이론적인 부분과 함께 실습을 포함시키고 있다.
뇌파검사시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뇌파검사는 비침습적으로 두피에 부착한 전극에 대뇌겉질의 미세한 전기적인 활동을 받아들여 뇌파 장비를 통해서 증폭시키고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전극을 두피의 어떤 위치에 부착하는지에 대한 것인데, 1958년부터 지난 수십 년 동안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을 따라 정해진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고 있다[12]. 이후 좀 더 세분화되고 많은 정보의 뇌파를 관찰하기 위해 10-10 Electrode system에 따른 부착위치를 사용하기도 한다[13,14]. 이러한 뇌파검사를 시행하는 임상병리사의 역할은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의 정확한 위치에 올바른 방법을 통하여 전극을 부착하고, 인공산물을 제외한 뇌파 파형을 기록하게 하여 판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Rojas GM, Fuentes JA, Galvez M. Mobile device applications for the visualization of functional connectivity networks and EEG electrodes: iBraiN and iBraiNEEG. Can J Neurol Sci. 2016;10(40):1-6. 

  2. Pillai J, Sperling MR. Interictal EEG and the diagnosis of epilepsy. Epilepsia. 2006;47(Suppl 1):14-22. 

  3. Engel J Jr, Wiebe S, French J, Sperling M, Williamson P, Spencer D, et al.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merican Epilepsy Society, American Association of Neurological Surgeons. Practice parameter: Temporal lobe and localized neocortical resections for epilepsy: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in association with the american epilepsy society and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eurological surgeons. Neurology. 2003;60(4):538-547. 

  4. Jan MM, Sadler M, Rahey SR. Electroencephalographic features of temporal lobe epilepsy. Can J Neurol Sci. 2010;37(4):439-448. 

  5. Arzy S, Allali G, Brunet D, Michel CM, Kaplan PW, Seeck M. Antiepileptic drugs modify power of high EEG frequencies and their neural generators. Eur J Neurol. 2010;17(10):1308-1312. 

  6. Salinsky MC, Oken BS, Storzbach D, Dodrill CB. Assessment of CNS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by using quantitative EEG measures. Epilepsia. 2003;44(8):1042-1050. 

  7. Schmitt SE, Pargeon K, Frechette ES, Hirsch LJ, Dalmau J, Friedman D. Extreme delta brush: A unique EEG pattern in adults with anti-NMDA receptor encephalitis. Neurology. 2012;79(11):1094-1100. 

  8. Sharanreddy M, Kulkarni P. Automated EEG signal analysis for identification of epilepsy seizures and brain tumour. J Med Eng Technol. 2013;37(8):511-519. 

  9. Poryazova R, Huber R, Khatami R, Werth E, Brugger P, Barath K, et al. Topographic sleep EEG changes in the acute and chronic stage of hemispheric stroke. J Sleep Res. 2015;24(1):54-65. 

  10. Soininen H, Partanen J, Laulumaa V, Helkala EL, Laakso M, Riekkinen PJ. Longitudinal EEG spectral analysis in early stage of alzheimer's disease.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89;72(4):290-297. 

  11. Szurhaj W, Lamblin MD, Kaminska A, Sediri H; Societe de Neurophysiologie Clinique de Langue Francaise. EEG guidelines in the diagnosis of brain death. Neurophysiol Clin. 2015;45(1):97-104. 

  12. Jasper HH. The ten 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58;10:371-375. 

  13. Electrode Position Nomenclature Committee. Guideline thirteen: Guidelines for standard electrode position nomenclature. J Clin Neurophysiol. 1994;11(1):111-113. 

  14. Nuwer MR, Comi G, Emerson R, Fuglsang-Frederiksen A, Guerit J, Hinrichs H, et al. IFCN standards for digital recording of clinical EEG.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8;106(3): 259-61. 

  15. Kang JH, Yoon JS, et al. Clinical neurophysiology. 1st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2017. p59-70. 

  16. Whang SC, Park EB, Song JO. Revis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model curriculum for the future use. Korean J Clin Lab Sci. 1987;19(1):7-42. 

  17. Cavalini WLP, Claus CMP, Dimbarre D, Filho AMC, Bonin EA, Loureiro MdP, et al. Development of laparoscopic skills in medical students naive to surgical training. Einstein (Sao Paulo). 2014;12(4):467-472. 

  18. Cavallaro M. Technical tips: Another way to approach the 10-20 system of electrode placement. Am J EEG Technol. 1992;32(3):225-232. 

  19. Kim DI.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on necessity of cadaveric dissection for nursing students: In scope of nursing students and professors. Korean J Phys Anthrop. 2015;28(2):119-125. 

  20. Song YA, Son YJ.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for core skill of maternity nursing. Korean Parent Child Health J. 2013;16(1):37-44. 

  21. Kim YM, Chun IS, Park YM. Development of a hemodialysis nurse educational program and its effec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2;13(12):5839-58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