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척지 온실의 환기 및 냉방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Ventilation and Cooling for Greenhouses Constructed in Reclaimed Land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3, 2017년, pp.181 - 187  

남상운 (충남대학교 지역환경토목학과) ,  신현호 (충남대학교 지역환경토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척지 온실의 환경설계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첨단 시설원예단지 설치 계획이 있는 국내 7개 대규모 간척지 주변의 기후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새만금 간척지 내에 설치된 3연동 플라스틱 온실을 대상으로 하절기에 시설 내외의 열적 환경계측 실험을 통하여 자연환기 및 온도 상승 특성을 분석하고, 간척지 온실의 환경 설계에 적용해야 할 부분을 검토하였다. 작물의 유무에 따른 온실의 환기율을 비교한 결과, 작물이 있으면 온실의 환기율은 낮아지지만 작물의 증발산에 의해 실내기온 상승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이 있는 경우 온실의 환기회수는 대체로 0.3~0.9회/min의 범위에 있었고, 평균 0.7 회/min으로 나타났다. 실외기온 대비 실내기온 상승은 $1{\sim}5^{\circ}C$정도의 범위에 있었고, 평균 $2.5^{\circ}C$로 나타났다. 간척지에 설치된 실험온실의 자연환기 성능은 여름철 권장 환기율을 거의 만족시키고, 실외기온 대비 실내기온 상승도 작물재배 환경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새만금 간척지에서는 냉방설비 없이 자연환기 만으로 온실의 작물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척지는 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내륙지역에 비하여 바람이 강하고, 안개가 자주 끼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강한 풍속은 온실의 환기율을 증가시키므로 냉방부하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안개지속시간이 내륙지역에 비하여 현저하게 길기 때문에 기간냉방부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냉방설비의 운전경비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척지 온실의 환기 및 냉방시스템 설계 시에는 주변의 기상관측소 자료를 그대로 이용하지 말고, 온실 설치 지역에서 실측한 기상자료 또는 현장 여건을 반영하여 보정된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설계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design technology for greenhouses constructed in reclaimed lands. The climatic conditions around seven major reclaimed land areas with a plan to install advanced horticultural complexes in Korea were analyzed.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기 위해서는 간척지 주변지역의 기후조건을 분석하고, 간척지 설치 온실의 실내 환경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온실의 환경설계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첨단 시설원예단지 설치 계획이 있는 국내 7개 대규모 간척지 주변의 기후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새만금 간척지 내에 설치된 3 연동 플라스틱 온실을 대상으로 하절기에 시설 내외의 열적 환경계측 실험을 통하여 자연환기 및 온도 상승 특성을 분석하고, 간척지 온실의 환경 설계에 적용해야 할 부분을 검토하였다.
  • 그러기 위해서는 간척지 주변지역의 기후조건을 분석하고, 간척지 설치 온실의 실내 환경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온실의 환경설계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첨단 시설원예단지 설치 계획이 있는 국내 7개 대규모 간척지 주변의 기후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새만금 간척지 내에 설치된 3 연동 플라스틱 온실을 대상으로 하절기에 시설 내외의 열적 환경계측 실험을 통하여 자연환기 및 온도 상승 특성을 분석하고, 간척지 온실의 환경 설계에 적용해야 할 부분을 검토하였다.
  • 간척지는 해안지역에 위치하므로 내륙지역과는 기상환경의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첨단원예단지 계획이 있는 시화, 화옹, 석문, 이원, 새만금, 영산강, 고흥 등의 7개 간척지를 대상으로, 주변의 가장 가까운 해안 기상 관측소와 내륙 기상관측소의 30년간 기상자료(KMA, 2011)를 비교 검토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연구대상 간척 지와 주변의 기상관측소 현황은 Table 2와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재료 및 방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실의 환경계측 데이터로부터 식 (3)을 이용하여 구한 환기량을 실측 환기량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자연환기 이론에 따라 실측 환기량과 실외 풍속 및 실내외 기온차와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식 (4)의 회귀계수 a, b는 Table 3과 같이 유도 되었으며, 여기서는 이 회귀 식으로 계산한 환기량을 예측 환기량이라고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첨단수출 원예단지 조성사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 농림수산식품부는 대규모 간척지 활용 기본 구상을 통하여 전국의 간척지에 첨단수출 원예단지 3,000 ha(새만금 1,500 ha), 일반 원예단지 2,185 ha(새만금 1,100 ha) 등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조성 계획을 고시한 바 있다 (MIFAFF, 2010). 간척지 활용을 위한 첨단수출 원예단지 조성사업이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바, 원예시설의 기술적 기반을 강화하는 동시에 장래 시설원예의 발전을 위해서는 온실설계에 관한 종합적인 기술개발이 정립되어야 한다.
원예시설 환경설계기준의 정립이 필요한 이유는? 원예시설에서 환경조절의 성패는 생산물의 품질과 직결되고, 설치지역의 기후조건 하에서 환경조절이 용이하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온실의 최적설계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최근의 급격한 기후변화 현상이나 환경제어 기술의 발전에 따른 설계기술의 대응, 특히 간척지의 기후특성을 반영한 원예시설 환경설계기준의 정립은 시급하다.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조성 계획에서 각각 토지의 크기는? 농림수산식품부는 대규모 간척지 활용 기본 구상을 통하여 전국의 간척지에 첨단수출 원예단지 3,000 ha(새만금 1,500 ha), 일반 원예단지 2,185 ha(새만금 1,100 ha) 등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조성 계획을 고시한 바 있다 (MIFAFF, 2010). 간척지 활용을 위한 첨단수출 원예단지 조성사업이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바, 원예시설의 기술적 기반을 강화하는 동시에 장래 시설원예의 발전을 위해서는 온실설계에 관한 종합적인 기술개발이 정립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lbright, L.D. 1990. Environment control for animals and plants.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Michigan, USA. 

  2.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ASABE). 2008. Standard: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greenhouses. ANSI/ASAE EP406.4. ASABE, Michigan, USA. 

  3. Choi, M.K., S.W. Yun, I.H. Yu, S.Y. Lee, and Y.C. Yoon. 2015. Settlement instrumentation of greenhouse foundation in reclaimed land.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4(2):85-92 (in Korean). 

  4. Fernandez, J.E. and B.J. Baily. 1992.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greenhouse ventilation rat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8: 229-245. 

  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KMA, Seoul, Korea (in Korean). 

  6. Kim, M.K., K.S. Kim, and S.W. Nam. 2001. Efficient application of greenhouse cooling systems.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Gwacheon, Korea (in Korean). 

  7. Kim, R.W., D.W. Kim, K.C. Ryu, K.S. Kwon, and I.B. Lee. 2014. Estimation of wind pressure coefficients on even-span greenhouse built in reclaimed land according to roof slop using wind tunnel.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3(4):269-280 (in Korean). 

  8. Lindley, J.A. and J.H. Whitaker. 1996. Agricultural buildings and structures. ASAE, Michigan, USA. 

  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0. Designated notice 2010-47: Basic plan for practical use of large scale reclaimed land. MIFAFF, Gwacheon, Korea (in Korean). 

  10. Nam, S.W., Y.S. Kim, and A.J. Both. 2011. Analysis on the ventilation performance of single-span tomato greenhouse with roof window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2):78-82 (in Korean). 

  11. Nam, S.W., D.U. Seo, and H.H. Shin. 2015. Empirical analysis on the cooling load and evaporation efficiency of fogging system in greenhouses.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4(3):147-152 (in Korean). 

  12. Song, C.S., M.H. Kim, and U.H. Jang. 2016. Comparison analysis of model test for prediction of uplift resistance in the reclaimed land greenhouse found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2):45-52 (in Korean). 

  13. Sethi, V.P. and S.K. Sharma. 2007. Survey of cooling technologies for worldwide agricultural greenhouse applications. Solar Energy 81: 1447-1459. 

  14. Willits, D.H., C.A. Yunker, and S. Li. 2006. Air exchange rates in a naturally ventilated greenhouse using different vent configurations. Paper No. 06-4095. ASAB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