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형광등과 발광다이오드 광원이 '곰보배추'의 생육, 엽형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uorescent Light and Light-Emitting Diodes on Leaf Morphology, Growth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alvia plebeia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3, 2017년, pp.208 - 214  

박헌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유연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최은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인공광 광질에 따른 곰보배추의 생육, 엽형 및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정식 후 56일째에 측정된 엽장, 엽폭 및 엽수는 적색 LED(R)와 대조구인 형광등(F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엽형지수(엽장/엽폭)도 적색 LED(R)와 대조구인 형광등(F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지상부 생체중, 건물중 및 엽면적 모두 적색 LED(R)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형광등(FL)과 청색 LED(B) 처리구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잎의 수하현상은 정식 21일 이후부터 적색 LED(R)와 혼합광(RB2:1) 처리구에서만 발생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적색 LED(R)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비엽중은 청색 LED(B)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형광등(FL)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처리 간 유의차가 없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형광등이 곰보배추를 실내에서 인공으로 재배 시 적합한 광원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ate the effect of fluorescent light and light-emitting diodes on the leaf morphology, growth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alvia plebeia. The plants were grown for 56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under the fluorescent light (FL) and LEDs (White, Red and Blue (R+B, rati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공광 광질에 따른 곰보배추의 생육, 엽형 및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정식 후 56일째에 측정된 엽장, 엽폭 및 엽수는 적색 LED(R)와 대조구인 형광등(F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 곰보배추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hispidulin, homoplantaginin, nepetin, nepitrin, luteolin, luteoloside, 및 eupatorin 등으로 알려져 있다(Ai-li 등, 2006; Gu와 Weng, 2001; Kang 등, 2003).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성 물질이 풍부하여 고부가가치 자원식물인 곰보배추를 계절에 관계없이 가정이나 도시 내 건물 내에서 연중 생산하기 위하여 인공광을 도입한 재배시스템에서 광질에 따른 생육, 엽형 및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곰보배추는 어디에 분포하며 재배는 어디서 이루어지고 있는가? 꿀풀과의 2년생 초본식물인 곰보배추(Salvia plebeia)의 식물명은 배암차즈기이며 약재명은 여지초로 그 잎과 뿌리를 기침, 천식, 염증 치료 등에 사용되어왔다. 주로 호주, 인도, 중국, 일본 및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 야생으로 분포하고 있는 식용식물이나(Nugroho 등, 2012; Sales 등, 2010), 한국에서는 그 약효성분을 사용하고자 경기도,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 지역과 제주지역에서 등에서 상업적으로 재배 생산되고 있고, 또한 도시민들에 의해 도시농업 약초체험 농장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곰보배추는 키가 보통 20 ~ 80cm까지 자라고 잎은 타원형이거나 피침 형이며 줄기는 사각기둥 모양이며 따뜻하고 낮은 지대 습한 곳에서 자란다.
곰보배추란 무엇인가? 꿀풀과의 2년생 초본식물인 곰보배추(Salvia plebeia)의 식물명은 배암차즈기이며 약재명은 여지초로 그 잎과 뿌리를 기침, 천식, 염증 치료 등에 사용되어왔다. 주로 호주, 인도, 중국, 일본 및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 야생으로 분포하고 있는 식용식물이나(Nugroho 등, 2012; Sales 등, 2010), 한국에서는 그 약효성분을 사용하고자 경기도,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 지역과 제주지역에서 등에서 상업적으로 재배 생산되고 있고, 또한 도시민들에 의해 도시농업 약초체험 농장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식물 조명 LED의 큰 장점은 무엇인가?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서 식물생산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태양광 대체 역할을 하는 인공광이고 그 중에서 발광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는 무수은으로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형광등에 비해 수명이 길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광질(파장) 선택 및 광량 제어가 다른 광원에 비해 용이하며, 광합성에 유리한 펄스 조사가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고(Hwang 등, 2004), 또한 열발생이 적어 식물체에 근접 조명이 가능하다(Kozai, 2007). LED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특정 파장영역만을 갖는 광질 선택이 가능하여 광합성 촉진 및 개화조절 그리고 당도(Brix)와 사포닌 증가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Heo 등, 2010; Lin 등, 2013). 식물공장형 재배방식에서 LED 광원에 따른 각종 고품질 채소재배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각광질의 효과는 작물종류와 품종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Buso와 Bliss, 1988; Yoon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i-li, J. and W.H. Changhai.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natural components from Salvia plebeia on oxidative stability of ascidian oil. Process Biochem. 41:1111-1116. 

  2. Barnes, C. and B. Bugbee. 1991. Morphological responses of wheat to changes in phytochrome photoequilibnum. Plant Phys. 97:359-65. 

  3. Buso, G.S.C. and F.A. Bliss. 1988. Variability among lettuce cultivars grown at two levels of available phosphorus. Plant Soil 111:67-73. 

  4. Carvalho, R.F., M. Takaki, and R.A. Azevedo. 2011. Plant pigments: The many face of light perception. Acta Physiol. Plant. 33:241-248. 

  5. Fukuda, N., M. Fujita, Y. Ohta, S. Sase, S. Nishimura, and H. Ezura. 2008. Directional blue light irradiation triggers epidermal cell elongation of abaxial side resulting in inhibition of leaf epinasty in geranium under red light condition. Sci. Hortic. 115:176-182. 

  6. Goins, G.D., N.C. Yorio, M.M. Sanwo, and C.S. Brown. 1997. Photomorphogenesis, photosynthesis, and seed yield of wheat plants grown under red light-emitting diodes (LEDs) with and without supplemental blue lighting. J. Expt. Bot. 48:1407-1413. 

  7. Gu, L. and X. Weng. 2001.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s of Salvia plebeia R. Br.-A Chinese herb. Food Chem. 73: 299-305. 

  8. Heo, J.W., Y.B. Lee, Y.S. Chang, J.T. Lee, and D.B. Lee. 2010. Effects of light quality and lighting type using an LED chamber system on chrysanthemum growth and development cultured in vitro. Korean J. Environ. Agric. 29:374-380. 

  9. Hogewoning, S.W., G. Trouwborst, H. Maljaars, H. Poorter, W. van Leperen, and J. Harbinson. 2010. Blue light doseresponses of leaf photosynthesis,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ucumis sativus grown under different combinations of red and blue light. J. Expt. Bot. 61:3107-3117. 

  10. Hwang, M.K., C.S. Huh, and Y.J. Seo. 2004. Optic characteristics comparison and analysis of SMD type Y/G/W HB LED. J. KIIEE. 18:15-21. 

  11. Johkan, M., K. Shoji, F. Goto, S. Hashida, and T. Yoshihara. 2010. Blue light-emitting diode light irradiation of seedlings improves seedling quality and growth after transplanting in red leaf lettuce. HortScience 45:1809-1814. 

  12. Kang, H.S., K.H. Son, and J.S. Choi. 2003. Scavenging effect of Korean medicinal plants on the peroxynitrite and total ROS. Nat Prod Sci. 9:73-79. 

  13. Kendrick R.E., G.H.M. Kronenberg. 1994. Photomorphogenesis in plants. 2nd ed. KJ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4. Kozai, T. 2007. Propagation, grafting and transplant production in closed systems with artificial lighting for commercialization in Japan. Propag. Ornam. Plants. 7:145-149. 

  15. Kim, M.S., S.C. Chae, M.W. Lee, G.S. Park, S.W. Ann. 2013. The effects of LED light quality on foliage plants growths in interior environment. J. of Environ. Sci. Intl. 22:1499-1508. 

  16. Lee, J.G., S.S. Oh, S.H. Cha, Y.A. Jang, S.Y. Kim, Y.C. Um, and S.R. Cheong. 2010. Effects of red/blue light ratio and short-term light quality conversion on growth and anthocyanin contents of baby leaf lettuce. J. Bio-Environ. Control. 19:351-359. 

  17. Lim, J.A. B.W. Yun, and S.H. Baek.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 Med. Crop Sci. 15:183-188. 

  18. Lin, K.H., M.Y. Huang, W.D. Huang, M.H. Hsu, Z.W. Yang, and C.M. Yang. 2013. The effects of red, blue, and white light-emitting diodes on the growth development, and edible quality of hydroponically grown lettuce (Lactuca sativa L. var. capitata). Sci. Hort. 150:86-91. 

  19. Nugroho, A., Kim, M. H., Choi, J., Baek, N. I., & Park, H. J. 2012. In vivo sedative and gastroprotective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extract and its composition of polyphenols. Archives of Pharmacal Res. 35:1403-1411. 

  20. Sales, F., I.C. Hedge, and F. Christie. 2010. Salvia plebeia R. BR. : Taxonomy, Phytogeography, Autogamy and Myxospermy. Pakistan J. Bot. 42:99-110. 

  21. Son, K.H., J.H. Park, D. Kim, and M.M. Oh. 2012. Leaf shape, growth, and phytochemicals in two leaf lettuce cultivars grown under monochromatic light-emitting diodes. Kor. J. Hort. Sci. Technol. 30:664-672. 

  22. XiaoYing, L., G. ShiRong, X. ZhiGang, J. XueLei, and T. Tezuka. 2011. Regulation of chloroplast ultrastructure, cross-section anatomy of leaves, and morphology of stomata of cherry tomato by different light irradiations of light emitting diodes. HortScience 46:217-221. 

  23. Yang, W.C. 2015.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LED lighting to vertical farm for urban agriculture. J. Korean Soc. Des. Cult. 21:335-345. 

  24. Yoon, S.T., I.H. Jeong, Y.J. Kim, T.K. Han, J.B. Yu, E.K. Jae. 2015. Response of growth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baby vegetable as Affected by LEDs source and luminous intensity. Korean J. Organic Agric. 23: 549-5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