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전 이식형 보청기를 위한 진동 기반의 가속도 센서 제안
Proposition of a Vibration Based Acceleration Sensor for the Fully Implantable Hearing Aid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1 no.2, 2017년, pp.133 - 141  

신동호 (경북대학교 의공학연구소 리서치펠로우) ,  문하준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부) ,  성기웅 (경북대학교병원 의공학과) ,  조진호 (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이브리드 음향센서 (hybrid acoustic sensor)는 음압 기반의 음향센서 (ECM)와 진동 기반의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가 접목된 구조이다. 이는 음향센서의 저주파 대역 감도와 가속도 센서의 고주파 대역 감도를 결합하여 저주파에서 고주파 대역까지 광범위하게 음향을 포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음향센서에 사용되는 가속도 센서를 제안하였다. 가속도 센서는 음향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고막의 진동을 포집한다. 제안된 가속도 센서의 사이즈는 고막의 해부학적 구조와 음향센서인 ECM의 규격을 고려하여 직경 3.2 mm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음향센서가 고감도 광대역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속도 센서의 공진 주파수는 3.5 kHz 부근에서 생성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속도 센서를 구성하는 진동막은 수학적 모델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기하학적 구조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화학적 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진동막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된 진동막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외력에 의한 진동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 결과 진동막의 기계적 공진은 3.4 kHz에서 발생되었다. 그러므로 제안한 가속도 센서는 하이브리드 음향센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ybrid acoustic sensor for implantable hearing aid has the structure in which a sound pressure based acoustic sensor (ECM) and a vibration based acceleration sensor are combined. This sensor combines the low frequency sensitivity of an acoustic sensor with the high frequency sensitivity of an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완전 이식형 보청기용 음향센서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음향센서에 이용되는 진동 기반의 가속도 센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가속도 센서는 외이도를 통해 인가되는 음향신호에 의해 고막에서 발생되는 진동 신호를 포집하게 된다.
  • 본 논문에서는 지름 3.2 mm의 크기를 갖는 하이브리드 음향센서에 이용되는 진동 기반의 초소형가속도 음향센서를 제안하였다. 가속도 센서의 진동 막은 유한요소법 (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구조를 산출하고, 고주파 대역에서 충실한 음향 포집을 할 수 있도록 진동막의 가변요소를 제어하여 최적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이브리드 음향센서란 무엇인가? 하이브리드 음향센서 (hybrid acoustic sensor)는 음압 기반의 음향센서 (ECM)와 진동 기반의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가 접목된 구조이다. 이는 음향센서의 저주파 대역 감도와 가속도 센서의 고주파 대역 감도를 결합하여 저주파에서 고주파 대역까지 광범위하게 음향을 포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력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보청기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청력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보청기는 음향을 증폭하여 제공하는 방식의 공기 전도형 보청기 (air conduction hearing aid)이며 이는 주로 경도 난청에서 중고도 미만의 난청자에 사용된다. 그러나 공기전도형 보청기는 감각신경성 난청을 동반하는 중고도 난청 이상의 청력손실을 가진 경우 우수한 음질과 어음명료도 (speech discrimination score)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3].
하이브리드 음향센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하이브리드 음향센서 (hybrid acoustic sensor)는 음압 기반의 음향센서 (ECM)와 진동 기반의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가 접목된 구조이다. 이는 음향센서의 저주파 대역 감도와 가속도 센서의 고주파 대역 감도를 결합하여 저주파에서 고주파 대역까지 광범위하게 음향을 포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음향센서에 사용되는 가속도 센서를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H. Kim and D. M. Barrs, "Hearing aids: a review of what's new,"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vol. 134, issue 6, pp. 1043-1050, 2006. 

  2. M. C. Pollack and R. Carhart, Amplifi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Grune & Stratton Incorporation, Orlando, USA, 1988. 

  3. R. L. Goode, M. L. Rosenbaum and A. J. Maniglia,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implantable hearing aid," The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28, no. 1, pp. 1-16, 1995. 

  4. U. Fisch, C. W. Cremers, T. Lenarz, B. Weber, G. Babighian, A. S. Uziel, D. W. Proops, A. F. O'Connor, R. Charachon, J. Helms and B. Fraysse,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Vibrant Soundbridge implant device," Otology and Neurotology, vol. 22, no. 6, pp. 962-972, 2001. 

  5. D. S. Haynes, J. A. Young, G. B. Wanna and M. E. Glasscock, "Middle ear of implantable hearing devices: An overview," Trends in Amplification, vol. 13, no. 3, pp. 206-214, 2009. 

  6. H. A. Jenkins, J. K. Niparko, W. H. Slattery, J. G. Neely and J. M. Fredrickson, "Otologics middle ear transducer ossicular stimulator: performance results with varying degrees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Acta Oto-laryn gologica, vol. 124, no. 4, pp. 391-394, 2004. 

  7. J. H. Kim, D. H. Shin, K. W. Seong and J. H. Cho, "Design of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Semi-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with Bellows Transducer,"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vol. 11, no. 1, pp. 63-71, 2017. 

  8. M. J. Osberger, R. T. Miyamoto, S. Zimmerman Phillips, J. L. Kemink, B. S. Stroer, J. S. Firszt and M. A. Novak, "Independent evaluation of the speech percep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the Nucleus 22-channel cochlear implant system," Ear and Hearing, vol. 12, no. 4, pp. 66-80, 1991. 

  9. J. H. Cho, I. Y. Park and S. H. Lee, "Development of fully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with differential floating mass transducer: current status,"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ol. 26, no. 5, pp. 309-317, 2005. 

  10. E. M. Kraus, J. A. Shohet and P. J. Catalano, "Envoy Esteem totally implantable hearing system: Phase 2 trial, 1-year hearing results",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vol. 145, no. 1, pp. 100-109, 2011. 

  11. S. T. Woo, D. H. Shin, H. G. Lim, K. W. Seong, P. Gottlieb, S. Puria, K. Y. Lee and J. H. Cho, "A New Trans-Tympanic Microphone Approach for Fully Implantable Hearing Devices," Sensors, vol. 15, no. 9, pp. 22798-22810, 2015. 

  12. H. Leysieffer, J. W. Baumann, R. Mayer, D. Muler, G. Muler, T. Schon, A. Volz and H. P. Zenner, "A totally implantable hearing device for the treatment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TICA LZ 3001," HNO, vol. 46, no. 10, pp. 853-863, 1998. 

  13. J. Pulcherio, A. Bittencourt and R. Bento, "Carina(R) and Esteem(R): A systematic review of fully implantable hearing devices," PLOSONE, vol. 9, no. 10, pp. 1-8, 2014. 

  14. W. Ko, R. Zhang and C. Megerian, "Studies of MEMS acoustic sensors as implantable microphones for totally implantable hearing-aid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3, no. 5, pp. 277-285, 2009. 

  15. http://www.pathologyoutlines.com. 

  16. E. A. G. Shaw and M. M. Vaillancourt, "Transformation of sound-pressure level from the free field to the eardrum presented in numerical form."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78, no. 3, pp. 1120-1123, 1985. 

  17. B. Balachandran and E. B. Magrab, Vibrations, Thomson West, USA,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