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풀무치에 대하여 살충활성을 보유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생리활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ological Activity of Entomopathogenic Fungi with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Locusts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6 no.3, 2017년, pp.301 - 308  

이미롱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김종철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이세진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김시현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이석주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박소은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이왕휴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김재수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Orthoptrea: Acridiade)는 전 세계적으로 작물 생산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돌발 해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풀무치를 방제하기 위한 방제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풀무치에 병원성을 갖는 풀무치병원성 진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풀무치 방제에 이용 가능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먼저 갈색거저리 유충-bai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채집된 토양에서 곤충병원성 진균을 발굴 하였다. 풀무치 병원성 검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국립 농업 과학원에서 풀무치를 분양 받았으며, 고체 배양된 곤충병원성 진균을 곤충 사육 상자에 처리하여 (2 g/box), 풀무치 약충 (3-4령충)에 대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병원성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곤충병원성 진균 처리 3-7일차에 풀무치의 머리, 복부, 다리 표면에서 진균이 증식하는 mycosis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Metarhizium anisopliae, M. lepidiotae, Clonostachys rogersoniana에서 높은 병원성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되었다. 확보된 34개의 풀무치병원성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안정성 및 포자생산성을 확인 한 결과, Paecilomyces, Purpureocillium 균주가 다른 균주에 비해 열에 대한 높은 안정성안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대부분의 균주에서 $1{\times}10^8conidia/gram$ 이상의 포자수를 생산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온실 조건에서 비교적 병원성이 높았던 M. anisopliae 고체 배양된 균주를 토양에 처리하여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85.7%의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풀무치가 이동하면서 토양에 정착된 곤충병원성 진균에 접촉되어 치사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효과적인 풀무치 방제가 가능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custs,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idae) are periodical unpredictable agricultural pests worldwide and cause serious damage to crop production; however, little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management of this pest. Herein, we constructed a locust-pathogenic fungal library and conf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갈색거저리 유충은 먹이의 공급없이도 1개월 이상 생존할 수 있으며, 다량의 개체수 확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갈색거저리 유충을 이용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분리 후, 풀무치에 대한 병원성 검정을 통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해충인 풀무치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곤충병원성 진균을 검토하였다. 국내의 토양에 서식하는 곤충병원성 진균을 수집하고, 이를 이용해 풀무치에 대한 병원성 검정, 제형화된 진균 입제의 포자 생산성과 열에 대한 포자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풀무치는 어떤 식물에 피해를 주는가? 풀무치(Locusta migratoria)는 메뚜기목(Orthoptera) 메뚜기과의 곤충이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여 작물에 피해를 주는 위협적인 농업 해충이다(Chen, 1999; Farrow and Colless,1980; Uvarov, 1966; Uvarov, 1977). 가해 식물로는 밀(Triticumaestivum), 벼(Oryza sativa), 옥수수(Zea mays) 등 주요 식량 작물이 있으며,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띠(Imperatacylindrica),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에도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16).
풀무치는 무엇인가? 풀무치(Locusta migratoria)는 메뚜기목(Orthoptera) 메뚜기과의 곤충이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여 작물에 피해를 주는 위협적인 농업 해충이다(Chen, 1999; Farrow and Colless,1980; Uvarov, 1966; Uvarov, 1977). 가해 식물로는 밀(Triticumaestivum), 벼(Oryza sativa), 옥수수(Zea mays) 등 주요 식량 작물이 있으며,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띠(Imperatacylindrica),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에도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일반적인 풀무치의 크기는? 풀무치는 크기가 4-6 cm 정도이며, 하루에 100 km를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이동성이 강하다(Meizingen, 1993). 한 해에 4-6번의 세대를 거치는데, 알 기간은 10-65일, 약충 기간은 24-95일, 성충 기간은 75-150일 가량으로 한 세대가 진행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en, Y., 1999. The locust and grasshopper pests of China. Beijing, China: China Forestry Publishing House. 

  2. Copping, L.G., 2004. A world compendium: the manual of biocontrol agents, BCPC, Hamphire. 

  3. Douthwaite, M.B., 2001.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Green Muscle biopesticide. IITA. 

  4. FAO, 1958. Report of the fifth session of the FAO Desert Locust Control Committee, Rome June, 1958. FAO DLCC Rep., 11:44. 

  5. Farrow, R.A., Colless, D.H., 1980.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s of geographical races of Locusta migratoria (Linnaeus) (Orthoptera: Acrididae), by numerical taxonomy, with special reference to sub-speciation, in the tropics and affinities of the Australian race. Acrida, 9(2), 77-99. 

  6. Lee, G.S., Kim, K.H., Kim, C.S., Lee, W., 2016. An outbreak of gregarious nymphs of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idae) in Korea and their genetic lineage based on mtDNA COI sequences. Korean J. Appl. Entomol. 55(4), 523-528. 

  7. Lee, W.W., Shin, T.Y., Bae, S.M., Woo, S.D., 2015. Screening and evalu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i against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using multiple tools. J. Asia-Pac. Entomol. 18(3), 607-615. 

  8. Lee, S.J, Kim, S., Kim, J.C., Lee, M.R., Hossain, M.S., Shin, T.S., Kim, T.H., Kim, Js., 2017. Entomopathogenic Beauveria bassiana granules to control soil-dwelling stage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ysanoptera: Thripidae). BioControl. In Press (DOI: 10.1007/s10526-017-9818-8). 

  9. Luo, Y., Wang, X., Wang, X., Yu, D., Chen, B., Kang, L., 2013. Differential responses of migratory locusts to systemic RNA interference via double-stranded RNA injection and feeding. Insect Mol. Biol. 22(5), 574-583. 

  10. Meizingen, W.F., 1993. Aguide to migrant pest management in Africa. Rome: FAO. 184 pp. 

  11. Prior, C., Greathead, D.J., 1989. Biological control of locust: the potential for the exploitation of pathogens. FAO Plant Prot. Bull. 37(1), 37-48. 

  12. Shah, P.A., Pell, J.K. 2003. Entomopathogenic fungi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Appl. Microbiol. Biotechnol. 61(5), 413-423 

  13. Skinner, M., Gouli, S., Frank, C.E., Parker, B.L., Kim, J.S., 2012. Management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ysanoptera: Thripidae) with granular formulations of entomopathogenic fungi. Biol. Control 63(3), 246-252. 

  14. SPSS Institute, 2003. SPSS 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 

  15. Steedman, A., 1988. Locust handbook 2nd ed. London. Overseas/Development National Resources Vii+180 pp. 

  16. Symmons, P.M., Cressman, K., 2001. Desert locust guidelines: biology and behaviour. FAO, Rome. 

  17. Uvarov, B.P., 1966. Grasshoppers and Locusts. Cambridge. 1, 481. 

  18. Uvarov, B. P., 1977. Grasshoppers and Locusts. Vol. 2. Centre for Overseas Pest Research, London. 475 pp. 

  19. Zhang, Z., Li, D., 1999.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outbreaks of the oriental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manilensis Meyen) in China and the El $NiA{\pm}o$ episodes. Ecol. Res. 14(3), 267-2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