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장재에 따른 탈삽감의 MA 저장 중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eastringent Persimmons during Modified Atmosphere Storage as Affected by Packaging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3, 2017년, pp.478 - 486  

장경호 (중부대학교 호텔외식산업학과) ,  이진만 (호서대학교 바이오산업학부 식품공학과) ,  허상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탈삽된($CO_2$처리) 청도반시의 MAP저장에 따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적합한 조건을 규명하였다. 시료인 떫은감은 "청도반시"를 탈삽하여 사용하였으며, LDPE($60{\mu}m$), ceramic(30, $60{\mu}m$)필름을 사용하여 하였다. 저장온도는 $5^{\circ}C$에서 140일간 저장을 하면서 저장 조건에 대한 떫은 감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포장내 $CO_2$$O_2$의 농도는 저장 18일까지는 $CO_2$의 농도가 5.2%까지 증가하고 $O_2$농도는 6.7%까지 감소한 후 저장 말기까지는 거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되었다. 저장 중 중량 감소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중량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eramic $60{\mu}m$ 가장 낮은 중량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과육의 경도, 과피의 색도는 ceramic $60{\mu}m$ 포장군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탄닌 함량, 가용성 고형성분은 포장조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에탄올아세트알데히드 함량변화의 경우 탈삽 직후 다소 상승 하다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탈삽감의 유통에 가장 적합한 포장군은 ceramic $60{\mu}m$ 필름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find the effect of packaging materials(LDPE $60{\mu}m$, Ceramic $30{\mu}m$ and $60{\mu}m$) to enhance the shelf-life of de-astringent persimmon, the fruits used were the astringent persimmons of "Cheongdobansi" and astringency was removed in $CO_2$.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2로 탈삽 처리된 청도 반시의 저장 및 유통중 품질에 대하여 포장재질에 따른 MPA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탈삽 처리된 감의 저장 및 품질특성의 유지를 고려한 shelf-life에 관한 조건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떫은감의 탈삽방법의 문제점과 요구점은 무엇인가? 떫은감의 탈삽방법에 대한 연구로는 ethanol을 처리하는 방법[14], CO2를 처리하는 방법[15] 등이 있다. 이들 탈삽법은 탈삽 후 유통 중 과실의 연화와 장해발생이 촉진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적절한 저장기술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저장과 탈삽을 병행할 수 있는 MAP(modified atmosphere packaging)법을 이용한 떫은감의 탈삽에 대한 유용성이 제기된 바 있다[16].
과일 감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국내 수실류 중 하나인 감은 수확 당시 삽미의 유무에 따라 떫은감(Diospyros kaki, L)과 단감(Diospyros kaki, T)으로 구별된다[1]. 떫은 감의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반시와 대봉감이 있다[2].
떫은감은 식용으로 이용하기 전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감은 다양한 영양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3-5]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과실에 비해 그 용도가 제한되어 단감의 경우 가공처리 없이 거의 생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비해 떫은감은 탄닌 성분의 강한 떫은맛으로 인해 식용으로 이용하기 전 탈삽처리를 통해 떫은맛을 제거한 후 연시, 곶감 및 탈삽감 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6] 최근에는 아이스 감, 감 막걸리, 감식초, 감와인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7]. 이중 떫은감의 가공이용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연시 및 곶감은 안전성 문제, 제조비용의 과다, 가공 후 생과로서의 독특한 식미의 상실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K. Kim, K. S. Kim,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 of the Persimmon Leaf", Sangsu National Polytechnic Univ., 21(3) 95-97, (1982). 

  2. J. S. Hong, K. Y. Cha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 by boili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1(5) 709-716, (2005). 

  3. Y. Achiwa, H. Hibasami, H. Katsuzaki, K. Imai, T. Komiya, "Inhibitory effec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extract and related polyphenol compounds on growth of human lymphoid leukemia cells", Biosci. Biotech. Biochem., 61(7) 1099-1101, (1997). 

  4. H. J. Kim, H. J. Woo,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flavonoids as the functional foods materials", Korean J. Lan. Anim. Sci., 14(1) 87-91, (1998). 

  5. P. L. Teisedre, N. Landrault, "Wine phenolics: contribution to dietary intake and bioavailability", Food Res. Int., 33(6) 461-467, (2000). 

  6. J. H. No, J. Y. Kim, Chen. Zhang, H. J. Kim, M. S. Shin, "Effect of astringency removal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daebong persimmon", Korean J. Food Cookery Sci., 30(3) 351-359, (2014). 

  7. K. M. Cho, J. B. Lee, G. G. Kahng, W. T. Seo,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s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Cookery Sci., 38(6) 785-792, (2006). 

  8. S. J. Choi, Y. B. Kim, N. H. Seong, "Astringency removal and storage of astringency persimmon fruits, RDA. J. Agri., Sci., 35(2) 806-810, (1993). 

  9. H. C. Nam, H. J. Lee, S. J. Hong, S. J. Kim, T. C. Kim, "Varietal differences in fruit characteristics of sweet and astringent persimmons (Diospyros kaki Thunb), J. Korean Soc. Hotr. Sci., 39(6) 707-712, (1998). 

  10. H. Itamura, Q. Zheng, K. Akura, "Industry and research on persimmon in Japan", Proc. Acta Hort., 685(3) 37-43, (2004). 

  11. G. Llacer, M. Badenes, "Persimmon production and marketing", Proc. CIHEAM-IAMZ. Zaragoza Spain, 51 9-21, (2002). 

  12. J. E. Bark, J. H. Eun, J. C. Koo, S. M. Lee, "Feasibility of exporting korean major non-timber forest products in japan market",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5) 574-581, (2016) 

  13. T. Matuo, S. Ito, R. Ben-arie, "A model experiment for elucidating the mechanism of astringency removal in persimmon fruit using respiration inhibitors", J. Jap. Soc. Hort. Sci., 60(2) 437-442, (1991). 

  14. K. Kato, "Astringency removal and ripening in persimmons treated with ethanol and ethylene", HortScience, 25(2) 205-207, (1990). . 

  15. Y. J. Ham, Y. M. Park, "Evaluation of astringency removal process in carbon dioxide flushing system and storability of 'Sagoksi' persimmon fruits", J. Kor. Soc. Hort. Sci., 44(4) 417-421, (2003). 

  16. J. H. Seong, M. S. Goo, H. S. Chung, "Changes of quality and astringency of persimmon due to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Korean. J. Food Preserv., 15(2) 225-230, (2008). 

  17. J. H. Lee, S. R. Lee,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 310-316, (1994). 

  18. J. D. Park, S. I. Hong, H. W. Park, D. M. Kim, " Extending shelf-life on oriental melon by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 481-490, (2000). 

  19. S. Saxena, R. D. Rai, " Storage of button mushrooms (Agaricus bisporus): The effect of temperature perforation of packs and pre-treatment with potassium metabisulphite", Mush. J. Tropics, 8 15-22, (1988). 

  20. C. B. Kim, S. H. Lee, C. Y. Kim, J. T. Yoon, "Comparison of fruits quality of various persimmon cultivars during storage in controlled atmosphere with high CO2 concent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4) 380-385, (1999). 

  21. E. Pesis, R. Ben-Arie, "Involvement of acetaldehyde and ethanol accumulation during induced deastringency of persimmon fruits"' J. Food Sci., 49(3) 896-899, (1984). 

  22. S. Taira, M. Ono, N. Matsumoto, "Reduction of persimmon astringency by complex formation between pectin and tannins", Postharvest Biol. Technol., 12(3) 265-271.(1997). 

  23. H. S. Chung, H. S. Kim, Y. G. Lee, J. H. Seong. "Effect of deastringency treatment of intact persimmon fruits on the quality of fresh-cut persimmons", Food Chem., 166(1) 192-197.(2014). 

  24. M. Zavrtanik, J. Hribar, R. Vidrich, " Effect of short anoxia exposure on metabolic changes of persimmon fruits(DIOSPYROS KAKI L.)", Acta Hort, 485(57) 405-411,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