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 기술을 이용한 홍삼제조공정 개발 및 제품특성에 관한 연구
Process Development of Red Ginseng Production by Microwave-assisted Low Temperature Vacuum Dry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2, 2017년, pp.305 - 314  

이상호 (중부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지중구 (중부대학교 한방건강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 기술을 이용하여 고효율 인삼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홍삼 제조 공정에서 증삼 후 $60-70^{\circ}C$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고 다시 $40^{\circ}C$에서 72시간동안 건조한 열풍 건조 홍삼과 증삼 후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기에서 900 watt, 2.45 MHz, 50 mmHg 조건으로 5시간동안 건조하고 다시 750 mmHg로 2시간동안 건조한 홍삼으로 조직 관찰, 관능평가, 진세노사이드 및 조사포닌 함량 변화 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파 저온진공 홍삼은 색도가 밝은 색으로, 표면적은 다공성 조직으로 변화하였으며, 향미를 높이고 쓴 맛을 크게 감소시킴과 동시에 단 맛을 증가시켜 종합적인 선호도를 높였다. 또한, 단시간에 진세노사이드 $Rg_1$$Rb_1$ 함량을 열풍 건조 홍삼에 비해 1시간대에서 약 6배, 8배가 증가되었으나, $Rg_3$ 함량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조사포닌 함량은 10-20분대부터 크게 증가하여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이크로파 저온진공홍삼은 열풍 건조 홍삼에 비해 다공성 조직 변화를 통해 단시간에 진세노사이드 및 조사포닌에 대한 추출 수율을 높이고 향미와 식감을 개선시켜 홍삼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igh efficiency of ginseng by using microwave low temperature vacuum drying technology. In red ginseng manufacturing processes, the study results compared the hot-air drying red ginseng dried during 24hours in $60-70^{\circ}C$ and redried du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저온진공건조 기술을 홍삼 제조공정에 적용하여 조직, 관능 평가, 진세노사이드 및 조사포닌 함량등을 열풍 건조 제조 홍삼과의 비교를 통해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면역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증가되는 질환은? 산업화 및 서구화에 따른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해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오염물질의 노출과 인스턴트 및 포화지방산이 함유된 식품 섭취 등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아토피피부염, 천식,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면역 질환 발병율이 증가되고 있다[1]. 이로 인해 면역력 증강을 도모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으로 마늘, 알로에, 프로폴리스 등의 면역력 증강제 시장이 연간 10-20% 상승세를 나타내어2015년에는 2,500억 원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하였다[2].
홍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진세노사이드 성분인 Rg1, Rb1, Rg3는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홍삼은 동양의학에서 다양한 효능을 갖는 인삼의 저장성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밭에서 4-6년간 재배한 후 8월과 10월 사이에 수확한 수삼을 쪄서 건조하고 제조함으로써 저장 기간을 연장시킨 1차 가공물이다[4,5]. 홍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성분인 Rg1, Rb1, Rg3는 콜레스테롤 대사 촉진, 면역조절, 항염증, 항암 및 항혈전등의 효능으로 인해 건강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6-9]. 그러나 홍삼 제조 시 열 처리에 의해 기능성 성분 감소와 제조 후에도 색도의 변화로 품질이 열악한 경우가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된 결과, 발효, 아임계수 추출, 마이크로파, 초고압등을 활용한 방법이 보고되었다[10-12].
Rg1, Rb1, Rg3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홍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성분인 Rg1, Rb1, Rg3는 콜레스테롤 대사 촉진, 면역조절, 항염증, 항암 및 항혈전등의 효능으로 인해 건강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6-9]. 그러나 홍삼 제조 시 열 처리에 의해 기능성 성분 감소와 제조 후에도 색도의 변화로 품질이 열악한 경우가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된 결과, 발효, 아임계수 추출, 마이크로파, 초고압등을 활용한 방법이 보고되었다[10-12]. 특히,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를 이용한 가공법은 금 등[13]에 의해 개발된 이후 과일, 채소, 인삼 등 식품의 장기 보관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 C. Lee. health behavior theory. p.18, YAS media Publishers, (2007). 

  2. H. J. Choi, B. Y. Sim, I. H. Joo, S. K. Yoo, D. H. Kim. "Study of Innate Immunity Suppression of Yeonsan Ogye listed on Dong-eui-bo-gam",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ol.30, No.4, pp. 236-241, (2015). 

  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201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 List.jsp?vwcdMT_ZTITLE&parentIdD#S ubCont. (accessed May, 12, 2017). 

  4. J. H. Lee, J. S. Kum.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 Nutr. Vol.23. No.3, pp. 405-410, (2010) . 

  5. B. X. Wang, J. C. Cui, A. J. Liu, S. K. Wu. "Studies on the anti-fatigue effect of the saponins of stems and leaves of Panax ginseng (SSL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Vol.2, pp. 1, (1983). 

  6. H. Saito, Y. Yoshida, K. Takagi, "Effect of Panax ginseng root on exhaustive exercise in mice" The Japanese Journal of Pharmacology, Vol.24, No.1, pp. 119-127, (1974). 

  7. A. S. Attele, J. A. Wu, C. S. Yuan, "Ginseng pharmacology: multiple constituents and multiple actions", Biochemical pharmacology, Vol.58, No.11, pp. 1685-1693, (1999). 

  8. B. Kenarova, H. Neychev, C. Hadjiivanova, V. D. Petkov,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ginsenoside Rg1 from Panax ginseng", The Japanese Journal of Pharmacology, Vol.54, No.4, pp. 447-454, (1990). 

  9. K. S. Im, H. Y. Chung, S. H. Park, N. K. Je, "Anticancer effect of the hydrolyzed monogluco-ginsenoside of total saponin from ginseng leaf", Korean Journal of Ginseng Science (Korea Republic), Vol.19, pp. 291-294, (1995). 

  10. J. M. Lee, M. J. Ko, M. S. Chu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mposition of Ginsenosides in Red Ginseng Extract as Revealed by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47, No.6, pp. 757-764, (2015). 

  11. D. W. Lee, Y. S. Park, D. C. Kim.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effective constituents from ginseng",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16, No.3, pp. 427-433, (2005). 

  12. C. S. Shin, D. H. Lee, S. H. Kim, M. H. Shin, C. H. Jeong, K. H. Shim, "Ginsenoside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red ginseng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J Agric Life Sci, Vol.44, pp.133-140, (2010). 

  13. J. S. Kum, K. J. Park, C. H. Lee, Y. H. Kim, "Changes in saponin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ginseng by microwave vacuum drying",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31, No.2, pp. 427-432, (1999). 

  14. C. C. Huxsoll, A. I. Morgan Jr, "MICROWAVE DEHYDRATION OF POTATOES AND APPLES", Western Utiliz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Div., Albany, Calif. (1968). 

  15. J. N. Beke, A. S. Mujumdar, M. Giroux, "Some fundamental attributes of corn and potato drying in microwave fields", Drying Technology, Vol.15, No.2, pp. 539-554, (1997). 

  16. J. E. Choi, K. Y. Nam, X. G. Li, B. Y. Kim, H. S. Cho, K. B. Hwang,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different root parts of ginsengs with processing method",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ol.18, No.2, pp. 118-125, (2010). 

  17. K. J. Choi, "The constituent of material ginseng and management of quality", Korean J Ginseng Sci, Vol.15, No.3, pp. 247-256, (1991). 

  18. S. I. Kim, J. H. Park, J. H. Ryu, J. D. Park, Y. H. Lee, J. H. Park, T. H. Kim, J. M. Kim and N. I. Beak, "Ginsenoside Rg 5, a genuine dammarane glycoside from Korean red ginseng",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19, No.6, pp. 551-553, (1996). 

  19. J. H. Ryu, J. H. Park, T. H. Kim, D. H. Sohn, J. M. Kim, J. H. Park, "A genuine dammarane glycoside,(20E)-ginsenoside F 4 from Korean red ginseng",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19, No.4, pp. 335-336, (1996). 

  20. J. D. Park, Y. H. Lee, S. I. Kim, "Ginsenoside Rf2, a new dammarane glycoside from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21, No.5, pp. 615-617, (1998). 

  21. N. I. Beak, D. S. Kim, Y. H. Lee, J. D. Park, C. B. Lee, S. I. Kim, "Ginsenoside Rh4, a genuine dammarane glycoside from Korean red ginseng", Planta medica, Vol.62, No.1, pp. 86-87, (1996). 

  22. I. H. Park, N. Y. Kim, S. B. Han, J. M. Kim, S. W. Kwon, H. J. Kim, M. K. Park, J. H. Park, "Three new dammarane glycosides from heat processed ginseng",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25, No.4, pp.428-432, (2002). 

  23. S. S. Hur, "Ginsenoside Composition and Change of Taste Quality in Red Ginseng Extract by Acid treatment and Complexation with Cyclodextrin",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33, No.4, pp. 751-761, (2016). 

  24. S. H. Lee, J. H. Park, N. S. Cho, H. J. Yu, S. K. You, C. W. Cho, D. C. Kim, Y. H. Kim, K. H. Kim, "Sensory Evaluation and Bioavailability of Red Ginseng Extract (Rg1, Rb1) by Complexation with $\gamma$ -Cyclodextri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41, No.1, pp. 106-110, (2009). 

  25. J. D. Park, "Recent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Ginseng Sci, Vol.20, No.4, pp. 389-415, (1996). 

  26. B. Y. Lee, E. J. Kim, D. J. Park, S. I. Hong, H. S. Chun, "Composition of saponin and free sugar of some white ginsengs with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28, No.5, pp. 922-927,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