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 건조 하수슬러지와 폐플라스틱 혼합물의 파일롯 규모 연속식 열분해에 의한 생산물과 발생 오염물질
Products and pollutants of half dried sewage sludge and waste plastic co-pyrolysis in a pilot-scale continuous reactor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2, 2017년, pp.327 - 337  

김용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천승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반 건조 소화 하수슬러지와 폐플라스틱을 혼합하여 파일롯 규모(85.3kg/hr)의 연속식 저온($510^{\circ}C{\sim}530^{\circ}C$) 열분해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열분해가스 발생량은 투입물 건량의 최대 68.3%, 발열량$40.9MJ/Nm^3$이었으며, 연속식 열분해에 따른 외기 유입율이 19.6%이었다. 오일은 투입물 건량의 4.2%가 발생하였고, 저위발열량은 32.5 MJ/kg이었으며 시설부식 등을 일으킬 수 있는 황과 염소의 함량이 각각 0.2% 이상이었다. 투입물 건량의 27.5%가 발생한 탄화물의 저위 발열량은 10.2 MJ/kg이었고, 용출시험 결과 지정폐기물에 해당하지 않았다. 열분해가스의 연소 배가스는 일산화탄소, 황산화물, 시안화수소 등의 배출농도가 특히 높았고, 다이옥신 (PCDDs/DFs)은 $0.034ng-TEQ/Sm^3$로서 법적 기준치 이내였다. 건조 배가스 응축으로 발생한 폐수는 수질오염물질 47개 항목 중 총질소, n-H 추출물질, 시안 등의 고농도 항목이 많아 전처리 후 하수처리장 등에서의 병합처리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ntinuous low temperature ($510^{\circ}C{\sim}530^{\circ}C$) pyrolysis experiment in a pilot-scale of 85.3 kg/hr was carried out by the mixed feedstock of half dried digested sewage sludge and waste plastics. As a result, the amount of pyrolysis gas generated was maximum 68.3% of inp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반 건조 하수슬러지와 공동주택에서 분리배출된 플라스틱류 폐기물에서 재활용을 위한 선별 후 발생하는 폐잔재 플라스틱을 혼합하여 투입물을 만들고, 이를 파일롯 규모의 열분해 시설을 설치하여 실험하였다. 즉, 이들 혼합폐기물의 연속식 저온 열분해시 발생하는 생산물 및 배출오염물질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화가 끝난 슬러지의 단점은? 하수처리장 발생 슬러지는 대부분 생물 반응조에서 잉여슬러지로 발생하는 2차 슬러지이며, 대형 하수처리장의 경우 슬러지 소화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여 자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슬러지는 에너지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소화가 끝난 슬러지의 경우 바이오가스 생산 잠재력이 낮아지는 반면 [2], 높은 함수율과 낮은 탈수효율 [3]로 인해 감량 및 자원화 그리고 최종처리가 기술적·경제적으로 매우 어렵다.
폐플라스틱을 소각처리하거나 시멘트소성로의 보조연료로 사용할 경우 문제점은? 이 때문에 대부분 소각처리하거나 시멘트소성로에서 보조연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방식은 시설의 부식, 낮은 에너지회수효율 그리고 대기오염유발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소화슬러지와 폐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열분해 하는 방안은 처리가 곤란한 두 가지 폐기물에 대한 에너지화와 최종처분이라는 장점이 있다.
소화슬러지 자원화 방법 중 하나인 매립장 복토재 생산의 문제점은? 퇴비화는 슬러지를 토양개량제 [5]등의 용도로 사용하여 토양으로 환원시키는 친환경 및 저에너지 자원화 방안이지만, 넓은 소요부지와 악취발생 가능성 [6] 그리고 생산품의 안정적 소요처가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매립장 복토재 생산은 고화제 첨가에 따른 악취발생 뿐만 아니라, 재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으려면 슬러지 건량보다 많은 양의 고화제를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건조 연료화는 슬러지를 함수율 10%이하로 건조하기 위한 과도한 에너지 소요[7]와 소화슬러지의 낮은 발열량으로 인해 전체 에너지 수지에 있어서는 투입에너지가 생산에너지 보다 더 큰 에너지 수지상의 불합리성을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G. Bertanza, P. Baroni, M. Canato, Ranking sewage sludge management strategies by means of DecisionSupport Systems: A case study, Resour., Conserv. Recycl., 110, 2 (2016). 

  2. L. Zhang, C. Xu, P. Champagne, Energy recovery from secondary pulp/paper-mill sludge and sewage sludge with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Bioresour. Technol., 101, 2715 (2010). 

  3. W. Yu, J. Yang, X. Wu, Y. Gu, J. Xiao, Jiangwei Yu, Yafei Shi, J. Wang, S. Liang, B. Liu, H. Hou, J. Hu, Study on dewaterability limit and energy consumption in sewage sludge electro-dewatering by in-situ linear sweep voltammetry analysis, Chem. Eng. J., 317, 981 (2017). 

  4. E.H. Kim, J.K. Cho, S.B. Yim, Digested sewage sludge solidification by converter slag for landfill cover, Chemosphere, 59, 388 (2005). 

  5. Aranzazu Pena, Maria Dolores Mingorance, Sabina Rossini-Oliva, Soil quality improvement by the establishment of a vegetative cover in a mine soil added with composted municipal sewage sludge, J. Geochem. Explor., 157, 182 (2015). 

  6. Caterina Maulini-Duran, A. Artola, X. Font, A. Sanchez, A systematic study of the gaseous emissions from biosolids composting: Raw sludge versus anaerobically digested sludge, Bioresour. Technol., 147, 50 (2013). 

  7. M. Tanczuk, W. Kostowski, M. Karaa, Applying waste heat recovery system in a sewage sludge dryer - A technical and economic optimization, Energy Convers. Manag., 125, 127 (2016). 

  8. I. Fonts, G. Gea, M. Azuara, J. Abrego, J. Arauzo, Sewage sludge pyrolysis for liquid production: A review, Renew. Sustain. Energy Rev., 16, 2784- 2785 (2012). 

  9. Y. Cao, A. Pawlowski, Sewage sludgeto- energy approaches based on anaerobi, Renew. Sustain. Energy Rev., 16, 1659-1660 (2012). 

  10. B. Bratina, A. Sorgo, J. Kramberger, U. Ajdnik, L.F. Zemljic, J. Ekart, R. Safaric, From municipal/industrial wastewater sludge and FOG to fertilizer: A proposal for economic sustainable sludge management, J. Environ. Manag., 183, 1013 (2016). 

  11. H.J. Huang, T. Yang, F.Y. Lai, G.Q. Wu, Co-pyrolysis of sewage sludge and sawdust/rice straw for the production of biochar, J Anal. Appl. Pyrolysis, http://dx.doi.org/10.1016/j.jaap.2017.04.018 (2017). 

  12. X. Wang, B. Zhao, X. Yang, Co-pyrolysis of microalgae and sewage sludge: Biocrude assessment and char yield prediction, Energy Convers. Manag., 117, 326-334 (2016). 

  13. Nadia Ruiz-Gomez, V. Quispe, J. Abrego, Maria Atienza-Martinez, M.B. Murillo, G. Gea, Co-pyrolysis of sewage sludge and manure, Waste Manag., 59, 211-221 (2017). 

  14. L. Chen, S. Wang, H. Meng, Z. Wu, J. Zhao, Synergistic effect on thermal behavior and char morphology analysis during co-pyrolysis of paulownia wood blended with different plastics waste, Appl. Therm. Eng., 111, 834-846 (2017). 

  15. X. Zhang, H. Lei, L. Zhu, X. Zhu, M. Qian, G. Yadavalli, J. Wu, S. Chen, Thermal behavior and kinetic study for catalytic co-pyrolysis of biomass with plastics, Bioresour. Technol., 220, 233-238 (2016). 

  16. J. Chattopadhyay, T.S. Pathak, R. Srivastava, A.C. Singh, Catalytic co-pyrolysis of paper biomass and plastic mixtures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P (polypropylene) and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roduct analysis, Energy, 103, 513-521 (2016). 

  17. Alejandro Jaramillo-Arango, I. Fonts, F. Chejne, J. Arauzo, Product compositions from sewage sludge pyrolysis in a fluidized bedand correlations with temperature, J Anal. Appl. Pyrolysis, 121, 290-292 (2016). 

  18. Shafferina Dayana Anuar Sharuddin, Faisal Abnisa, Wan Mohd Ashri Wan Daud, Mohamed Kheireddine Aroua, A review on pyrolysis of plastic wastes, Energy Convers. Manag., 115, 324 (2016). 

  19. J.G. Park, J.K. Kim, B.H. Lee,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olystyrene by Low Temperature Pyrolysis by using Co and Mo Dispersed Catalysts, J Korean Oil Chem. Soc., 33(4), 681-684 (2016). 

  20. L. Yang, X. Ge, C. Wan, F. Yuc, Y. Li, Progress and perspectives in converting biogas to transportation fuels, Renew. Sustain. Energy Rev., 40, 1135-1139 (2014). 

  21. C.H. Ting, H.H. Chen, C.C. Yen, A PID ratio control for removal of HClSOX in flue gas from refuse municipal incinerators, Control Eng. Pract., 16, 287-29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