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우리나라 장마기간 강수량의 십년 변화 특성
Decadal Change in Rainfall During the Changma Period in Early-2000s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7 no.3, 2017년, pp.345 - 358  

우성호 (APEC 기후센터) ,  임소영 (기상청 기후예측과) ,  권민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김동준 (기상청 기후예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cadal change in rainfall for Changma period over the South Korea in early-2000s is detected in this study. The Changma rainfall in P1 (1992~2002) decade is remarkably less than in P2 (2003~2013) decade. The much rainfall in P2 decade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rainy day frequency du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면 실제 이 대류활동의 변화가 2002~03년을 기준으로 변하는 우리나라 장마 강수량의 십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P1 기간과 P2 기간 사이의 일평균 남중국해 및 중국 남부 지역 상향장파복사 지수의 강도에 따른 발생 빈도를 보면(Fig.
  • 1c). 본 연구에서는 십년 변화의 특징이 가장 뚜렷했던 2000년대 초반을 기준으로 강수량이 평년보다 뚜렷하게 적은 1992~2002년 기간(이후 P1)과 평년에 비해 많은 특징이 뚜렷한 2003~2013년 기간(이후 P2)의 장마 강수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십년 변화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 열대의 수증기를 많이 머금은 태풍은 직접 영향을 미칠 경우 한 번에 수십에서 수백 mm의 강수를 내리므로 연구의 목적에 따라 태풍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적 성질이 다른 기단에 의해 형성된 장마전선과 연관된 강수의 십년 변화를 조사하므로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직접 영향 태풍의 분류와 그 영향의 산정하는 여러 방법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태풍백서(KMA, 2011b)에서 분류된 한반도 직접 영향태풍의 영향기간이 장마기간에 포함될 경우, 해당 날짜의 전국 평균 강수량과 강수일수를 태풍의 직접 영향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는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마기간 강수량에서 장기변화의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그와 연관된 기후학적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2장에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와 장기변화점을 찾기 위한 통계적 방법에 대해 소개한 후, 3장에서 우리나라 장마 강수량 십년 변화(decadal change)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마기간 강수량의 십년변화의 특성과 그 기후학적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2000년대 초반을 기준으로 1992~2002년에 비해 2003~ 2013년에 강수량이 뚜렷하게 많은 특징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십년 변화는 장마기간 동안 비가 내린 날의 비율의 증가가 그 원인으로 파악되었고 특히, 30 mm day−1와 50 mm day−1 이상의 강한 강도를 가지고 비가 내린 날이 증가한 특징도 함께 나타났다.
  • 또한 이 대류활동 변화의 대기반응으로 필리핀 부근에서 우리나라까지 큰 고기압성 순환이 발달하고 우리나라로는 남서풍 계열 바람에 의한 수증기 공급으로 강수가 증가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중국해 및 중국 남부 대류활동 약화와 연관된 북태평양 고기압의 동아시아 확장이 우라나라 장마 강수량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 앞서 4장에서 제시된 것처럼 우리나라 2000년 초반 장마 강수량의 십년 변화 즉, P2 기간 장마 강수량이 증가한 것은 중위도 기압 패턴의 변화와 북태평양 고 기압의 동아시아 확장에 따른 우리나라 주변에서 순환장 차이와 기단 성질의 남북경도가 커져 전선의 발달과 수증기 공급이 원활한 환경을 조성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강화 및 확장은 중국 남부 및 남중국해 대류활동의 약화와 연관이 되어있는데, 실제 이 기후인자가 경년변동 시간규모에서 우리나라 주변 순환장과 연관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이 기후인자의 장기변화 특성이 우리나라 장마 강수량의 십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9. Mean difference in (a) OLR and (b) precipitation rate between P1 decade and P2 decade. Red box in (a) indicates the region over southern part of China and northern part of South China Se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마는 무엇인가? 장마는 여름철 동아시아 몬순 시스템의 발달과 함께 열적 성질이 다른 기단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체전선에 의해 비가 빈번하게 내리는 기간을 일컫는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rstration, 2011a).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장마는 6월말에서 7월말까지 약 30일정도 지속되고 전국 평균으로 약 350mm 전후의 강수가 내려 우리나라 연강수량의 약 20~30%가 이 기간에 집중된다.
우리나라 장마의 기간과 평균 강수량은? 장마는 여름철 동아시아 몬순 시스템의 발달과 함께 열적 성질이 다른 기단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체전선에 의해 비가 빈번하게 내리는 기간을 일컫는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rstration, 2011a).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장마는 6월말에서 7월말까지 약 30일정도 지속되고 전국 평균으로 약 350mm 전후의 강수가 내려 우리나라 연강수량의 약 20~30%가 이 기간에 집중된다. 이러한 장마의 기후학적 특성은 재해 및 수자원 관리 등의 측면에서 중요하므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변동 특성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장마에 대한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본 연구에서는 열적 성질이 다른 기단에 의해 형성된 장마전선과 연관된 강수의 십년 변화를 조사하므로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직접 영향 태풍의 분류와 그 영향의 산정하는 여러 방법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태풍백서(KMA, 2011b)에서 분류된 한반도 직접 영향태풍의 영향기간이 장마기간에 포함될 경우, 해당 날짜의 전국 평균 강수량과 강수일수를 태풍의 직접 영향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는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J.-B., J.-H. Ryu, E.-H. Cho, J.-Y. Park, and S.-B. Ryoo, 1997: A study of correlations between air-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Korea and SST over the tropical pacific. J. Korean Meteor. Soc., 33, 487-4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rnston, A. G., and R. E. Livezey, 1987: Classification, seasonality and persistence of low-frequency atmospheric ciruclation pattern. Mon. Wea. Rev., 115, 1083-1126. 

  3. Chun, Y.-S., and S.-U. Park, 1990: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irculation over Asia during the dry Changma period in 1982. J. Korean Meteor. Soc., 26, 12-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 K.-J., and E. Ha, 2006: Climatic change and interannual fluctuations in the long-term record of monthly precipitation for Seoul. Int. J. Climatol., 26, 607-618. 

  5. Ha, K.-J., and S.-S. Lee, 2007: On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Bonin high associated with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rain. Climate Dyn., 28, 67-83. 

  6. Ha, K.-J., S.-K. Park, and K.-Y. Kim, 2003: Interannual variability in summer precipit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ssociated East Asian summer circulation. J. Korean Meteor. Soc., 39, 575-5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a, K.-J., K.-S. Yun, J.-G. Jhun, and C.-K. Park, 2005a: Definition of onset/retreat and intensity of Changma during the boreal summer monsoon season. J. Korean Meteor. Soc., 41, 927-9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a, K.-J., S.-K. Park, and K.-Y. Kim, 2005b: On interannual characteristics of climate prediction center merged analysis precipit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ummer monsoon season. Int. J. Climatol., 25, 99-116. 

  9. Ha, K.-J., K.-Y. Heo, S.-S. Lee, K.-S. Yun, and J.-G. Jhun, 2012: Variability in the East Asian monsoon: A review. Meteor. Appl., 19, 200-215, doi:10.1002/met.1320. 

  10. Ha, Y., Z. Zhong, H. Chen, and Y. Hu, 2016: Out-of-phase decadal changes in boreal summer rainfall between Yellow-Huaihe River Valley and southern China around 2002/2003. Climate Dyn., 47, 137-158, doi:10.1007/s00382-015-2828-2. 

  11. Ham, Y.-G., Y. Chikamoto, J.-S. Kug, M. Kimoto, and T. Mochizuki, 2016: Tropical Atlantic-Korea teleconnection pattern during boreal summer season. Climate Dyn., online published, doi:10.1007/s00382-016-3474-z. 

  12. Ho, C.-H., J.-Y. Lee, M.-H. Ahn, and H.-S. Lee, 2003: A sudden change in summer rainfall characteristics in Korea during the late 1970s. Int. J. Climatol., 23, 117-128. 

  13. Holton, J., 2004: An Introduction to Dynamic Meteorology. Academic Press, 171-172. 

  14. Hu, Z.-Z., 1997: Interdecadal variability of summer climate over East Asia and its association with 500 hPa height and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J. Geophys. Res., 102, 19403-19412. 

  15. Kang, I.-S., 1998: Relationship between El-Nino and Korean climate variability. J. Korean Meteor. Soc., 34, 390-3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a: White paper on Chang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2-42.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b: Typhoon white book.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52-229. 

  18. Kwon, M. H., J.-G. Jhun, B. Wang, S.-I. An, and J.-S. Kug, 2005: Decadal change in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n and WNP summer monsoons. Geophys. Res. Lett., 32, L16709, doi:10.1029/2005GL023026. 

  19. Kwon, M. H., J.-G. Jhun, and K.-J. Ha, 2007: Decadal change in east Asian summer monsoon circulation in the mid-1990s. Geophys. Res. Lett., 34, L21706, doi:10.1029/2007GL031977. 

  20. Lee, S.-S., P. N. Vinayachandran, K.-J. Ha, and J.-G. Jhun, 2010: Shift of peak in summer monsoon rainfall over Korea and its association with El Nino-Southern Oscillation. J. Geophys. Res., 115, D02111, doi:10.1029/2009JD011717. 

  21. Lepage, Y., 1971: A combination of Wilcoxson's and Ansari-Bradley's statistics. Biometrika, 58, 213-217. 

  22. L'Heureux, M. L., D. C. Collins, and Z.-Z. Hu, 2013: Linear trends in sea surface temperature of the tropical Pacific Ocean and implications for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Climate Dyn., 40, 1223-1236, doi:10.1007/s00382-012-1331-2. 

  23. Lim, J.-S., and S.-U. Park, 1991: The moisture transport and budget over Korea during the 1988 Changma period. J. Korean Meteor. Soc., 27, 221-2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in, Z., 2014: Intercomparison of the impacts of four summer teleconnections over Eurasia on East Asian rainfall. Adv. Atmos. Sci., 31, 1366-1376, doi:10.1007/s00376-014-3171-y. 

  25. Liu, X., and M. Yanai, 2002: Influence of Eurasian spring snow cover on Asian summer rainfall. Int. J. Climatol., 22, 1075-1089. 

  26. Liu, Y., G. Huang, and R. Huang, 2011: Inter-decadal variability of summer rainfall in Eastern China detected by the Lepage test. Theor. Appl. Climatol., 106, 481-488, doi:10.1007/s00704-011-0442-8. 

  27. Lu, R., 2002: Association between the surface temperature in Eurasia and the Changma withdrawals. Korean J. Atmos. Sci., 5, 63-70. 

  28. Oh, H., K.-J. Ha, and J.-S. Shim, 2014: Analysis for onset of Changma using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data. Atmosphere, 24, 189-196, doi:10.14191/Atmos.2014.24.2.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eo, K.-H., J.-H. Son, and J.-Y. Lee, 2011: A new look at Changma. Atmosphere, 21, 109-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eo, K.-H., J.-H. Son, S.-E. Lee, T. Tomita, and H.-S. Park, 2012: Mechanisms of an extraordinary East Asian summer monsoon event in July 2011. Geophys. Res. Lett., 39, L05704, doi:10.1029/2011GL050378. 

  31. Shapiro, M. A., 1981: Frontogenesis and geostrophically forced secondary circulations in the vicinity of jet stream-frontal zone systems. J. Atmos. Sci., 38, 954-973, doi:10.1175/1520-0469(1981)038 2.0.CO;2. 

  32. Son, J.-H., and K.-H. Seo, 2012: Dominant modes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using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Atmosphere, 22, 483-488, doi:10.14191/Atmos.2012.22.4.4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Sun, J., and H. Wang, 2012: Change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mmer North Atlantic Oscillation and the East Asian summer rainfall. J. Geophys. Res., 117, D08110, doi:10.1029/2012JD017482. 

  34. Wang, B., and J. C. L. Chan, 2002: How strong ENSO events affect tropical storm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J. Climate, 15, 1643-1658. 

  35. Wang, B., R. Wu, and X. Fu, 2000: Pacific-East Asian teleconnection: How does ENSO affect East Asian climate? J. Climate, 13, 1517-1536. 

  36. Wang, B., J.-G. Jhun, and B.-K. Moon, 2007: Variability and singularity of Seoul, South Korea, rainy season (1778-2004). J. Climate, 20, 2572-2580. 

  37. Whan, K., and Coauthors, 2014: Trends and variability of temperature extremes in the tropical Western Pacific. Int. J. Climatol., 34, 2585-2603, doi:10.1002/joc.3861. 

  38. Won, H.-Y., C.-H. Cho, and S.-G. Baek, 2006: Classification of precipitation type using the wind profiler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associated synoptic conditions: Years 2003-2005. Atmosphere, 16, 235-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Yonetani, T., and G. McCabe, 1994: Abrupt changes in regional temperature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1895-1989. Climate Res., 4, 13-23. 

  40. Yun, K.-S., K.-H. Seo, and K.-J. Ha, 2008: Relationship between ENSO and northward propagating intraseasonal oscillation in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system. J. Geophys. Res., 113, D14120, doi:10.1029/2008JD009901. 

  41. Yun, K.-S., B. Ren, K.-J. Ha, J. C. L. Chan, and J.-G. Jhun, 2009: The 30-60-day oscillation in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and its time-dependent association with the ENSO. Tellus, 61, 565-578. 

  42. Zhou, T., and Coauthors, 2009: Why the Western Pacific subtropical high has extended westward since the late 1970s. J. Climate., 22, 2199-22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