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에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warenes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Learning Situation through Scientific Inquiry about Molecular Structure of Ice in Darkroom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1 no.5, 2017년, pp.277 - 285  

김학범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차정호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교사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탐색과정과 이해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시각장애학생의 과학 교수 학습지도에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 화학교사 21명에게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모형을 암실 속에서 탐색하게 하였다. 암실에서 이루어진 연구자와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암실 속에서 '얼음의 분자구조' 모형을 탐색하고 학습내용을 구상하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이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얼음의 분자구조는 잘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자신의 암실활동 경험에 비추어 시각장애학생이 학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예비 화학교사들은 연구자가 제시한 분자모형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on the learning situation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a darkroom and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wenty-one pre-service c...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활동자료로 제시된 얼음의 분자구조 모형의 수정 및 보완할 점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에 대해 예비 화학교사들은 전반적으로 활동자료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한편(예비 화학교사13, 14), 끝이 표족한 압정과 작지만 강력한 네오디뮴 자석이 사용된 분자 모형의 안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였다(예비 화학교사11).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교사들에게 시각장애학생들의 학습상황으로 볼 수 있는 암실에서의 과학탐구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시각장애학생들의 과학 수업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과학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어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교사들의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통하여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인식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활동이 끝난 뒤, 자료 분석을 위해 녹음한 암실 속 과학 탐구 내용을 전사한 후 특징을 분석하였다. 전사 자료에 유의미한 내용을 해석하면서 과학교육전문가 3인과 협의하 였고 특수교육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 교사들이 시각장애 학생용으로 제작된 교과서를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러나 점자로 점역된 과학 교과서에서는 복잡한 그림, 삽화, 도표 등을 모두 담을 수 없고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질도 제한되어 있어서 이들을 가르치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시각장애 학생용으로 제작된 교과서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3−6
시각장애학생의 교수학습과정은 무엇을 매개로 하여 지도하는 것이 대부분인가? 일반적으로 시각장애학생의 교수학습과정은 주로 언어를 매개로 하여 지도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7 특히, 과학 교과에서 시각적 제한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게 자연의 현상이나 법칙 및 이론에 대해 언어를 사용하여 이론적인 설명이나 문답만의 지도방법으로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렵다.
과학 교과에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7 특히, 과학 교과에서 시각적 제한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게 자연의 현상이나 법칙 및 이론에 대해 언어를 사용하여 이론적인 설명이나 문답만의 지도방법으로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렵다. 따라서 교과서 이론중심의 지도방법을 지양하고, 실제 경험을 통한 개념 학습을 실시하며, 이들 개념의 통합을 위해 다양한 교재 및 교구를 개발·제작하여 활용해야 한다. 2,5,8−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Park, H.; Baek, Y.; Shim, J.; Sohn, Y.; Han, H.; Byun, S.; Seo, Y.; Kim, E. Basic Research for Enhancing Effectiveness of STEAM Program and Advancement of Field Utility.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Seoul, 2014. 

  2.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Notice No. 2015-81); Ministry of Education: Seoul, 2015. 

  3. Kim, J. H.; Oh, S.; Lee, W.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007, 23, 97. 

  4. Park, W. S.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Conference 1987, 50, 91. 

  5. Lee, H. Job Training 2003, 117. 

  6. Pak, S.; Kim, M.; Kim, I.; Seo, H.; Song, J.; Oh, S.; Lee, K.; Lee, M.; Lee, Y.; Lee, H.; Im, S.; Hyun, J.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Youth Science Education. Korea Science Foundation: Seoul, 2002. 

  7. Pak, S.; Im, S.; Kim, H.; Park, J.; Yoo, J. Yoon, J.; Jeon, W. Policy Research on the Advancement of Preference for Scienc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Presidential Advisiory Council 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2002. 

  8. Lee, H.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1996, 3, 118. 

  9. Im, A. S. Basics of Vision Education, Paodi: Seoul, 2000. 

  10. Im, A. S. Visual disabilities education, Hakjisa: Seoul, 2008. 

  11. Lee, H.; Lee, 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2006, 8, 1. 

  12. Lowenfeld, B.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 in School, The John Day Company: New York, 1973. 

  13. Yoshiko Toriyama.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Conference Presentations 2015, 2015, 33. 

  14. Kim, J.; Park, H.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010, 26, 167. 

  15. Lee, Y. J.; Im, S. M. Sae Mulli 2009, 58, 138. 

  16. Cha, H. Development of a Horizontal Balance for Visually Handicapp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9. 

  17. Supalo, C. A.; Kreuter, R. A.; Musser, A.; Han, J.; Briody, E.; McArtor, C.; Gregory, K.; Mallouk, T. E.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and Benefits 2006, 3, 110. 

  18. Schleppenbach, D.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sabilities E-Journal 1996, 3. 

  19. Seo, Y. H. A Video Study i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about Sound Lessons in Science Class for Elementary Students of Hearing Impair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7. 

  20. Kim, H. B.; Pak, S. J.; Cha,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5, 35, 609. 

  21. Bak, S.; Jeong, G. 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09, 43, 135. 

  22. Kang, B. 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011, 27, 107. 

  23. Scho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Jossey-Bass: San Francisco, 1983. 

  24. Kwak, Y.; Kim, K. J.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National Level Scholarship Training Program for Developing Teacher Expertis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2010. 

  25. Kim, H. B.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Learning Situation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the Scientific Inquiry in the Darkroom. Doctor's thesis,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Korea, 2015. 

  26. Kim, H. B.; Pak, S. J.; Cha, J.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015, 16, 323. 

  27. Kwon, H. J.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012, 13, 471. 

  28. Kim, Y. Qualification training 2004, 137. 

  29. Jeong, J.; Yoo, J.; Kim, S. G.; Yun, S. G. Biology Education 2009, 37, 38. 

  30. Yoo, J. The Study of the Science Education in Korea for Visually or Hearing Impaired Student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1998. 

  31. Lee, H.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1995, 2, 22. 

  32. Im, A. S. The jounal of Visual Handicaps 1991, 7, 3. 

  33. Han, S. H. Special Education Education 1989, 6, 1. 

  34. Shin, Y. J. Current Status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