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리더십이 군(軍)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직신뢰 조절효과 중심으로 -
- The Effect of Creative Leadership on Militar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Self-efficacy for mediated effect & organizational trust for moderate effect 원문보기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13 no.3, 2017년, pp.115 - 132  

조영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황찬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no absolute leadership through East and West. Just as past and present conditions are not the same, it is not easy for past leadership to apply to the present. The best leadership will be the leadership that can represent and lead the changing situation. In that sense, the creative leader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군의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창의적 리더십이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의 주체이자 대상인 군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군의 창의적 리더십에 대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조직효과성을 검증하고, 임무수행에 있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믿음인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동시 검증함으로써 창의적 리더십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H1) 창의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 가설 H2) 자기효능감은 창의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가설 H3) 조직신뢰는 창의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의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창의적 리더십이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을 때 도출된결과는? 첫째, 창의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창의적 리더십의 모든 요인은 아니지만 하위요인인 개인적 리더십과 사회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게 유의적 정(+)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스스로 자신을 이끌고 책임있는 행동을 하는 개인적 리더십과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여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해 조직을 이끌어 가는 사회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통해 창의적 리더십의 군 조직효과성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군 초급간부에게 있어서 창의적 리더십의 필요성을 인식시켜주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이 군 복무 자세와 사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53]와도 연계하여 결과적으로, 창의적 리더십은 군 생활의 정신적 기반이 확고하지 않은 초급 간부에게 있어서 개인적으로는 군 생활의 만족과 병행하여 군 조직의 발전에도 동시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의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임무수행을 함에 있어서 자신능력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특히 경험과 지식이 부족하여 많은 시행착오를 범하는 초급간부에게 있어서 성공적인 군 생활을 할 수 있느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이기도 할 것이다. 연구결과 창의적 리더십은 직접적으로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의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리더십과 사회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개인적 리더십과 사회적 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즉 창의적 리더십을 통해 자신능력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강화되고 이것이 곧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셋째, 창의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조직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신뢰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더 긍정적인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초급간부의 창의적 리더십의 조직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믿음과 신뢰 정도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군 초급간부의 창의적 리더십은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업무수행체계가 합리적이며, 조직구성원들의 사기와 복지수준이 향상된 조직에서 조직효과성이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더십의 정의는 무엇인가? 리더십(Leadership)은 ‘조직을 이끌어 가는 지도자의 능력’ 또는 ‘집단의 목표달성을 위해 집단 내의 어떤 구성원이 다른 행동에 대해 적극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11]. 과거 우리사회에서는 리더십을 리더가 갖추어야 할‘조건’이 아닌 일종의 ‘힘’으로 여겼고[12], 리더 중심적인 사고가 지배적이었다.
조직효과성이란 무엇인가? 조직효과성(Organizatonal Effectiveness)은 조직성과, 조직유효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조직이 선정한 목표대비 성과의 달성정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측정하는 지표로는 주관적 지표와 객관적 지표가 있으며[23], 군은 공공조직으로서 일반 사기업과 달리 객관적 지표를 산출하는 것이 제한되기에 주관적 지표만을 사용하기로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지표중 대표적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만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클라우슈밥, 제 4차 산업혁명, 메가스터디, 2016, p. 31. 

  2. Guilford, J. P,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1950, pp. 444-454. 

  3. Conger, J.A., "The empowerment process:Integrating theory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 No. 3, 1988, pp. 471-482. 

  4. Amabile, T. M,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n B. M. Staw & L. Cumming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0, 1988, pp. 123-167. 

  5. 최영미, "디자인 매니지먼트 관점에서 본 기업조직내의 창의성 향상방법론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2000. 

  6. 장재윤, "창의적 리더 측정 척도 개발연구," 노사관계연구, 30, 2008, pp. 34-64. 

  7. 이경화, "유아 창의적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제22권, 2호, 2010, pp. 135-161. 

  8. 김미희, "성인의 창의적 리더십 검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2011. 

  9. 소미영, "창의적 리더십이 교사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2012. 

  10. 국방부, "임무형 지휘 구현을 위한 지휘관 지침서," 서울, 2016. 

  11. 네이버, 21세기 정치대학사전, 2015. 

  12. 이영신, "팔로워십 특성 조절효과가 IT중소기업의 리더십 유형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8권, 제2호, pp. 229-244. 

  13. Osborn, A., Applied Imagination, New York, 1953. 

  14. Torrance, E. P., The search for satori and creativity,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Buffalo, 1979. 

  15. Sternberg, R, J & Lubart, T. I,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spects and paradigm,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6. Rooney, D., Creatively Wise Education in Knowledge Economy, In Araya, D., & Peters, M. A.(ed.), Education in the Creative Economy. New York : Peter Lang Publishing, INC, 2010. 

  17. Alencar, S. E. M. L, Creativity in organizations : Facilitators and inhibitors, In Mumford, M. D.(ed), Handbook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New York : Academic Press, 2012. 

  18. Warren Bennis, Leaders : Strategic for taking charges, 황금부엉이, 2006. 

  19. 오종철, "창의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및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Vol. 17, No. 4, 2010, pp. 131-148. 

  20. Caplow, Principles of Organization, New York : Harcourt, Brace and World, 1964. 

  21. 박상언, 김영조, "조직문화 프로필과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학 연구, 제 24권, 제 3호, 1995. 

  22. 경찰대사전, 2015. 

  23. 구형회,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가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 박사학위논문, 2009. 

  24.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1977, pp. 191-215. 

  25. Wood, R. E. & Bandura, A, "Effect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efficacy of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6, No. 5, 1989, pp. 805-814. 

  26. Eden & Aviram, "Self-Efficacy training to speed reemployment: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3, pp. 352-360. 

  27. 김아영,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 학술대회논문집, 1996, pp. 51-64. 

  28. Gambetta, D., Can We Trust?, 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Cooperation Relations, New York, 1988, pp. 213-237. 

  29. Hosmer, L. T. "Trust: The Connecting Link Between Oranizational Theory and Philoshophical Ethics," Academy of Management Riview, Vo. 20, No. 2, 1995, pp. 379-403. 

  30. Cook, J. D, Wall, T. D.,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 53, 1980, pp. 39-52. 

  31.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Sown, D., "Perceived Organ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1, No. 3, 1986, pp. 500-507. 

  32. Tan, H. and Tan, C. "Toward the differentialation of trust in supervisor and trust in oranization,"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 Vol. 126, 2000, pp. 241-260. 

  33. Boss, R. W., "Trust and Managerial Problem Solving Revisited Gro," Organizational Studies, Vol. 3, No. 3, 1978, pp. 331-342. 

  34. McAllister, D. J., "Affect 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8, 1995, pp. 24-59. 

  35. Dirks, K. T., Ferrin, D. L., "Trust in Leadership:Meta-Analytic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pf Applied Psychology, 2002, Vol. 4, pp. 628-711. 

  36. 장순희,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과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2013. 

  37. 임숙향, "어린이집 원장의 갈등관리유형 및 창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 석사학위논문, 2015. 

  38. Prussia, G. E, Anderson, J. S, Manz, C. C,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9, No. 5, 1998, pp. 523-538. 

  39. 윤인철, "감성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2016. 

  40. 손형찬, "자기효능감에 대한 진성리더십의 영향-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와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 박사학위논문, 2016. 

  41. 정은정, "감성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조직성과 에 미치는 영향-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2015. 

  42. 이목화,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2003. 

  43. 소미영, "창의적 리더십이 교사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숙명여대, 석사학위 논문, 2013. 

  44. 유재익, "진정성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 박사학위논문, 2016. 

  45. 윤성수, "변혁적 리더십이 병원 직원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신뢰, 조직신뢰, 팔로워 십의 조절효과," 인제대 박사학위논문, 2016. 

  46. 정병헌, "공유리더십이 조직신뢰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15. 

  47. 안치성, "감성리더십이 조직신뢰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14. 

  48. 장진용, "변혁적 리더십이 신뢰를 통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2007. 

  49. Chen, G., Stanley M., Gully and Dov Eden.,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 4, No. 1, 2001, pp. 62-83. 

  50. 성중안, "부서장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0권, 제4호, pp. 251-264. 

  51. Tsui et al., Overll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1992. 

  52. Mowday, R. T., Steers, R. M., Porter, L. M., Employee Organization Linkages, Academic Press, 1981. 

  53. 조정현, "군 장교집단의 사기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광운대 박사학위논문,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