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I) - 폼알데하이드·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 및 연소 형상 -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Bonded with Different Adhesives for Thermal Insulation (II) - Formaldehyde·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 Properties and Combustion Shapes -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5, 2017년, pp.580 - 587  

장재혁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이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강은창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이상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섬유 단열재는 친환경 고단열성에 기인하여 저에너지 및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한 핵심 건축재료로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폼알데하이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방출 및 화염에 의한 연소 형상을 조사하였다. 멜라민 요소 폼알데하이드(MUF), 페놀 폼알데하이드(PF), emulsified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eMDI) 및 라텍스 수지 접착제 등으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 4종의 HCHO TVOC 방출 특성 및 연소 형상은 각각 챔버법과 화염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MUF, eMDI, 라텍스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들은 Super $E_0$급의 우수한 HCHO 저방출 성능을 나타냈다. 반면 PF 수지로 제조된 저밀도섬유판은 $E_0$급 성능을 나타내었다. TVOC 방출량은 모든 저밀도섬유판이 국내 실내공기질 기준(이하 $400{\mu}g/m^2{\cdot}h$)을 만족하였으며, 기존 석유계 합성원료 기반의 단열재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중에서도 특히 eMDI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경우에서는 HCHO 및 TVOC 방출량이 각각 $0.14mg/{\ell}$, $12{\mu}g/m^2{\cdot}h$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eMDI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에서 방출된 VOC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톨루엔 성분($3{\mu}g/m^2{\cdot}h$)이 소량 검출되었다. 화염에 의한 연소시험에서는 MUF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이 다른 경우에 비하여 연소 후 비교적 가장 양호한 형상을 나타내었다. HCHO 및 TVOC 방출 특성, 연소 형상을 고려하였을 때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은 MUF 수지 접착제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odfiber insulation board can be considered as a one of the key material for low energy consumption, comfortable and safety construction of residential space because of its eco-friendly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rmaldehyde (HCHO)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로부터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이 실내공기질에 미치는 영향과 화재 시 연소 형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 결과, 압출 발포 폴리스티렌과 유사한 단열 성능을 나타내는 저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물리적 성질은 한국산업규격의 기준을 만족하였다. 본보에서는 이의 후속 연구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폼알데하이드 및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과 연소(화재)에 의한 목섬유 단열재의 형상 변화 분석을 통해 실제 단열재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재료 기반의 것으로 대체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절실한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북미나 유럽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패시브하우스 공법으로 많은 건축물들이 설계되어 축조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당연히 난방에 소요되는 유효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친환경⋅고성능 단열재의 적용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단열재는 그 원료를 석유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재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는 환경에 부하를, 얻어진 최종 제품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합성재료 기반 단열재를 천연재료 기반의 것으로 대체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며, 이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재료는 바로 목재라 생각한다.
목질계 건축재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물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996년에 환경부가 처음으로 제정한“지하생활공간 공기질 관리법”은 2003년에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으로 개정되면서 어린이집 등 다중이용시설로 관리 범위가 확대되었고, 2016년 말에는 건축자재의 사전 적합 확인제도 도입 및 품질 관리 기준을 더욱 강화하여 “실내공기질 관리법”으로 법명이 개정되었다. 특히, 여기에는 목질계 건축재료에서 방출될 수 있는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의 기준은 개정을 거듭하면서 점차 강화되어 왔다. 한편, 국토교통부에서 제정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과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은 국가적인 에너지 절약 및 안전한 생활 공간 조성을 위한 법률로, 여기에 포함된 단열성 및 난연성에 관한 관리 기준 또한 해를 거듭할수록 강화되고 있다.
패시브하우스란 무엇인가? 이러한 관점에서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란 에너지 소비는 대폭 절약하면서 적당한 가격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최신 건축 공법으로, 각종 첨단 단열 기술을 적용하여 난방시스템을 간소화하는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Feist et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unky, M. 2005. Resins for ultra low formaldehyde emission according to the Japanese F**** quality. In: Frihart, C.R. (ed), San Diego, USA, Proc. of the Wood Adhesives 2005 Conference. pp. 343-349. 

  2. Feist, W., Schnieders, J., Dorer, V., Haas, A. 2005. Re-inventing air heating: Convenient and comfortable within the frame of the passive house concept. Energy and Buildings 37: 1186-1203. 

  3. Hirata, T., Kawamoto, S., Okuro, A. 1991. Pyrolysis of melamine-formaldehyde and urea-formaldehyde resin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42: 3147-3163. 

  4. Jang, J.-H., Lee, M., Lee, S.-M., Kang, E.-C. 2017a.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for insulation material with different adhesives (I)-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physical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5(3): 360-367. 

  5. Jang, J.-H., Lee, M., Lee, S.-M., Park, S.-B. 2017b. Formaldehyde emiss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effect of carbonized board on their reduction.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5(3): 327-334. 

  6. Kamke, F.A., Lee, J.N., 2007. Adhesive penetration in wood -A review. Wood and Fiber Science 39(2): 205-220. 

  7. Kang, Y.-J., Lee, J.-H., Lee, H.-Y., Kim, S.-M. 2017. Heating and cooling energy demand evaluating of standard houses according to layer component of masonry, concrete and wood frame using PHPP.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5(1): 1-11. 

  8. Kim, J.-H., Lee, J.-H., Jeong, S.-G., Kim, S.-M. 2015. Formaldehyde emissions from particle board made with phenol-urea-formaldehyde resin prepared by different synthesis methods. Journal of Adhesion Science and Technology 29(19): 2090-2103. 

  9. Kim, G.-N., Chun, Y.-C., Oh, S.-T., Park, S.-H., Lee, C.-H., Yoo, C.-S., Min, B.-K. 1994. Modification of SBR latex and its adhesion characteristic.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Rubber Industry. 29(5): 444-452. 

  10. Kim, S.-H., Yu, S.-G., Seo, J.-K., Kim, S.-M. 2013. Thermal performance of wooden building envelope by thermal conductivity of structural member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1(6): 515-527. 

  11. Korea Standard KS F 2271. 2006. Testing method for incombustibility of internal finish material and element of buildings. Korea Standards Associ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2. Korea Standard KS F 3200. 2016. Fiberboards. Korea Standards Associ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3. Korea Standard KS F ISO 5660-1. 2008. Reaction to fire test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Korea Standards Associ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4. Korea Standard KS M 1998.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 rate of formaldehyd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building interior products, 2009. Korea Standards Associ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5. Missia, D.A., Demetriou, E., Michael, N., Tolis, E.I., Bartzis, J.G. 2010. Indoor exposure from building materials: A field study. Atmospheric Environment 44: 4388-4395. 

  16. Pizzi, A. 2015. Synthetic adhesives for wood panels: Chemistry and Technology. In: Progress in adhesion and adhesives. Ed. by Mittal, K.L., Scrivener Publishing, Beverly, MA, USA. pp. 85-123. 

  17. Salem, M.Z.M., Bohm, M. 2013. Understanding of formaldehyde emissions from solid wood: An overview. Bioresources 8(3): 4775-4790. 

  18. Salem, M.Z.M., Bohm, M., Barcik, S., Berankova, J. 2011. Formaldehyde emission from wood-based panels bonded with different formaldehyde-based resins. Drvna Industrija 62(3): 177-183. 

  19. Woolley, W.D., Fardell, P.J. 1977. The prediction of combustion products. Fire Safety Journal 1: 11-21. 

  20. Yu, C., Crump, D. 1998. A review of the emission of VOCs from polymeric materials used in buildings. Building and Environment 33(6): 357-3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