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성인에서 경사로의 사용 방향이 다리근육의 활성도 및 안쪽/가쪽넓은근의 비율에 대한 연구
The Comparison of Lower Limb Muscle Activities and VMO/VLO Ratio according to Direction for Using the Ramp in the Normal Adul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5 no.3, 2017년, pp.57 - 61  

이상열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수경 (동의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risk factor that can be easily occurred imbalance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direction for using the ramp during one legged standing. Method : The subjects were 20 normal adults with a mean age of $23.15{\pm}2.14year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양한 방향의 경사로에서 한 발 서기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평지를 포함한 5가지 경사면에서의 발목의 위치에 따른 하지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고 하지의 중간관절인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안쪽과 가쪽넓은근의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쪽넓은근의 경우 가쪽서기 시 높은 활성도를 보였는데, 불안정한 발목관절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안쪽넓은근을 선택적으로활성화시켜 무릎의 안정화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며, 긴종아리근의 경우 평지서기와 오름 경사로를 제외한 나머지 경사로에서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그 중 안쪽경사로의 경우 발이 엎침되어 있는 자세와 동시에 긴종아리근이 수축하는 자세이기 때문에 다른 경사로 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도가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사로가 사용되는 예는? 경사로는 옥외 공간에서 높낮이의 변화를 연결시켜주는 등 수직이동을 하는 수단으로 매우 중요하며, 유모차, 휠체어, 자전거 등의 바퀴달린 기구들의 운행과 관련하여 계단을 이용하기보다 훨씬 유용하다(류남형, 1995). 이외에도 턱이 높은 보도블럭과 횡단보도를 연결시켜 보행 시 턱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완화시켜주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경사로의 설치규격은 법적으로 제시되어 있는데(이동훈 등, 2010),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보건복지부, 2010)으로 경사로의 기울기는 1:12, 1:8 까지 만들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계단과 비교해 경사로가 유용한 경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활동하는 환경은 편평하다고는 볼 수 없으며, 경사로 보행 및 경사로 위에서의 서기는 인간에게 있어서 필수적 요소이다(윤남식 등, 1998). 경사로는 옥외 공간에서 높낮이의 변화를 연결시켜주는 등 수직이동을 하는 수단으로 매우 중요하며, 유모차, 휠체어, 자전거 등의 바퀴달린 기구들의 운행과 관련하여 계단을 이용하기보다 훨씬 유용하다(류남형, 1995). 이외에도 턱이 높은 보도블럭과 횡단보도를 연결시켜 보행 시 턱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완화시켜주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긴종아리근의 역할은? 긴종아리근의 역할은 발의 엎침과 벌림, 들림을 하는 근육으로 고르지 못한 지면에서 발의 형태를 지면에 맞게 형성하며 발목의 안정성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주며, 신체의 정렬을 바르게 하여 균형을 유지하게 한다. 이에 반해 발목에서의 부정렬은 또한 불안정한 발목을 만들어 신체중심이 무너지고 저하된 균형능력을 보상하는데 발목만이 아닌 무릎의 안정화 전략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나타내며(한진태 등, 2009), 앞서 나타난 결과와 같이 안쪽, 가쪽넓은근의 비율이 높아지는 연관성을 가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동훈, 유일영, 이건철(2013). 다양한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무릎관절 근력 및 위치감각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학지, 1(2), 47-57. 

  2. 류남형(1995). 보행자세분석에 의한 경사로의 보행성. 한국조경학회지, 23(3), 35-42. 

  3. 보건복지부(2010).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4. 성일훈(2000). 족부의 생체역학과 당뇨발. 서울, 최신의학사. 

  5. 송근찬, 박민지, 조수연 등(2015). 중창의 높이가 건강한 젊은 남성들의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3(3), 49-57. 

  6. 오태영, 송현주, 이슬기 등(2010). 경사로 오르기 동안 슬관절 굴곡각도와 족저압의 특성 비교. 한국컨텐츠학회지, 10(2), 268-276. 

  7. 유원규, 이현주, 이충휘(2005). 내.외측 Wedge와 넙다리네갈래근 각의 차이가 안쪽빗넓은근/가쪽넓은근 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2(2), 11-19. 

  8. 윤남식, 이경옥, 김지연(1998). 경사도에 따른 보행의 운동학적 비교.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3(1), 89-101. 

  9. 이동훈, 박동국, 이호진 등(2010). 휠체어 탑승자 및 보조자를 고려한 경사로 설계방안 제시. 대한인간공학회지, 10, 193-198. 

  10. 이현주, 김소정, 김순종 등(2014). 신발굽 높이와 Wedge 위치 변화가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공학회지, 8(4), 291-297. 

  11. 정도영(2003). Wedged insole 각도가 슬관절 내번 토크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조규권, 김유신(2001). 트레드밀 보행 시 경사도와 속도에 따른 보행형태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1(2), 175-191. 

  13. 조웅, 추권수, 노창균 등(2015). 고령자 직선 및 경사로 보행 특성 평가. 한국정밀공학회지 2015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576-577. 

  14. 한진태, 조정선, 배성수(2006). 정상인의 경사로 보행 시경사각에 따른 시공간적 보행 특성 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8(1), 95-106. 

  15. 한진태, 공원태, 이윤섭(2009). 근전도를 이용한 노인의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시 하지 근활성도 비교.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1(1), 35-40. 

  16. Earl JE, Schmitz RJ, Amold BL(2001). Activation of the VMO and VL during dynamic mini-squat exercise with and without isometric hip adducion. J Electromyography Kinesiol, 11(6), 381-386. 

  17. Gallery PM, Foster AL(1987). Function evaluation of normal and pathological knees during gait. Arch Phys Med Rehabil, 57(12), 571-577. 

  18. Lee SY, Lee SM, Jung JM(2017). Peroneus longus activity according to various angles of a ramp during cross-ramp walking and one-legged standing. J Back Musculoskelet Rehabil, (Preprint), 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