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revundimonas diminuta를 이용한 돈분뇨에서 발생되는 황화합물의 저감
Reduction of Sulfur Compounds Produced from Swine Manure, Using Brevundimonas diminuta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5 no.3, 2017년, pp.257 - 264  

오민환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은영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혼합유박은 황화물, 암모니아 그리고 아민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악취 저감 미생물을 선별하기 위해 물과 혼합유박이 포함된 바이얼을 농화 배양하였다. 황화물 저감 미생물의 분리를 위해 황화수소메틸메르캅탄 저감 활성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에는 100 ml 바이알에 혼합유박(0.25 g)과 증류수(10 ml)를 넣어 악취를 발생시켰으며 실험군에는 대조군 바이알과 같은 상태에서 분리균주를 접종하였다. 분리균주 중에서 황화합물의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균주를 일반적인 동정 방법인 16S rRNA sequence 분석으로 동정 결과 Brevundimonas diminuta로 동정되었으며 KCTC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11724BP를 부여받았다. B. diminuta는 황화수소 표준가스를 200 ppmv까지 24시간내에 모두 제거하였다. 또한,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의 최대 제거 효율은 바이알 실험에서 453 ppmv과 98 ppmv에서 각각 100% 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돈분을 이용한 악취발생반응기에서는 접종량 20% (v/weight of swine manure)일 때 황화물 95% 이상 제거 효율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xed substrate oil cakes are known to emit sulfides, ammonia, and amines. Microorganisms capable of removing odorous gases related to these sulfu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colonies enriched in vials containing oil cakes and water. Activity tests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redu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물리· 화학적인 방법의 경우 경제성과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어 실제 농가 단위의 현장에서 적용이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축산악취 제거방법 개발 중 생물학적 악취저감제 개발을 목표로 악취저감 능력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하고 이를 이용한 실제적 악취저감제 개발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축산악취저감을 위한 악취저감 미생물을 돈분과 폭기조 활성슬러지로부터 분리 및 동정을 실시하였으며 분리 미생물의 황화합물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Brevundimonas diminuta R2-3을 분리하였으며 KCTC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11724BP를 부여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균제로 많이 이용되는 미생물의 종류는? 환경개선제 종류로는 미생물제제, 효소제, 추출물제제, 무기물제제 등이 이용되고 있다[13−15]. 현재 생균제로 많이 이용되는 미생물은 Lactobacillus acidophilus, Entrococcus bovis, Streptococcus intestinalis, Lactobacillus, Streptococcus 등이 있다. 토양 중에는 곰팡이, 박테리아, 방선균, 사상균, 조류 외에 바이러스 등 1천여 종의 미생물이 공생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약 900여 종이 유익 미생물이며 100여 종이 유해 미생물로 분류되고 있다.
축산분뇨에서 야기된 수질 환경오염과 악취가 축산 산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된 배경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연간 부산되는 가축 분뇨량은 약 4천만 톤에 이른다[1]. 근래에와서 축산업의 고도성장으로 인한 집약화, 대규모화에 따라 가축분뇨의 생산량은 급증하며, 축산분뇨에서 야기된 수질 환경오염과 악취는 축산산업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남게 되었다[2]. Rall의 연구진에 따르면 돼지 분뇨에서 분리할 수 있는 미생물은 Clostridium sp.
가축분뇨의 처리 및 악취의 규제 정책에 대한 현 농가들의 실정은 어떠한가? 축산업이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과의 갈등요인을 제거하고 점점 강화되는 가축분뇨의 처리 및 악취의 규제 정책에 대한 합리적인 대응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9]. 이러한 실정임에도 축산농가에서는 가축의 집단화에 따른 열악한 환경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들을 화학소독 [10, 11]과 항생제로만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화학소독은 저렴하게 악취물질을 처리할 수는 있지만, 토양의 과도한 유기 질화로 인한 2차적 오염이 문제가 되며 그에 따라서, 가축사육 개선제 및 분뇨자원화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 국내 축산 농가에서 환경개선제로 미생물제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12], 많은 농가에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eo D. 2005. A Study on the Direct Payment Pilot Project for Environmental Friendly Livestock Farming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 Lowe PD. 1995. Social issues and animal wastes: A European perspective.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Livestock Odor Conference. pp 168-171. Iowa State Univ. College of Agric., Ames. 

  3. Rall GD, Wood AJ, Westcott RB, Dommert AR. 1970. Distribution of bacteria in feces of swine. Appl. Microbiol. 20: 789-792. 

  4. Nuru S, Osbaldiston GW, Stowe EC, Walker D. 1972. Fecal microflora of healthy cattle and pigs, The Cornell Veterinarian LXII: 242-253. 

  5. Salanitro JP, Blake IG, Muirhead PA. 197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ecal bacteria from adult swine. Appl. Environ. Microbiol. 33: 79-84. 

  6. Russell EG. 1979. Types and distribution of anaerobic bacteria in the large intestine of pigs. Appl. Environ. Microbiol. 37: 187-193. 

  7. Mackie RI. 1994. Microbial production of odor components. In: Proc. of International Round Table on Swine Odor Control, 13-15 June at Ames, IA, USA, pp. 18-19. 

  8. Zhu J. 2000. A review of microbiology in swine manure odor control. Agric. Ecosyst. Environ. 78: 93-106. 

  9. Oh CM. 2016.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trends on the odor emission of pig manure. Master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10. Watkins BD, Hengemuehle SM, Person HL, Yokoyama M, Masten SJ. 1997. Ozonation of swine manure wastes to control odors and reduce the concentrations of pathogens and toxic fermentation metabolies, Ozone Sci. Eng. 19: 425-437. 

  11. Wu JJ, Park SH, Hengeuehle SM, Yokoyama M, Person HL, Masen SJ. 1998. The effect of storage and ozonation on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wine manure slurries. Ozone Sci. Eng. 20: 35-50. 

  12. Lee EY. 2008. Problems and verification system of probiotics as livestock-environment improving agent produced and circulated.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87-95. 

  13. Chiang SH, Hsieh WH. 1995. Effect of direct-fed microorganisms on broiler growth performance and litter ammonia level. Asian-Aus. J. Anim Sic. 8: 159-162. 

  14. Kim JH, Kim CH, Ko YD. 2001.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feed ( $Bio-{\partial}{(R)}$ ) on performance of finishing pigs and fecal ammonia gas emission. J. Anim. Sci. & Technol. 43: 193-202. 

  15. Jung, J.H., Hong, S.M., Kim, H.Y., Meng, Q.W., and Kim, I.H. 2010. Effect of probiotics in die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al count, noxious gases emission from the feces, and blood profile in early-finishing pigs. J. Anim. Sci. & Technol. 52: 23-28. 

  16. Hayes ET, Leek ABG, Curran TP, Dodd VA, Carton OT, Beattie VE, et al. 2004. The influence of diet crude protein level on odour and ammonia emissions from finishing pig houses. Biores. Tech. 91: 309-315. 

  17. Zhu J, Riskowski GL, Torremorell MT. 1998. Volatile fatty acids as odor indicators in swine manure-A critical review. Trasactions of the ASAE. 42: 175-182.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7. Official odor test method. 

  19. Hongoh Y, Yuzawa H, Ohkuma M, Kudo T. 2003. Evaluation of primers and PCR conditions for the analysis of 16S rRNA genes from a natural enviroment. FEMS Microbiol. 221: 299-304. 

  20. Sim HS, Kim MD. 2016. Antipathogenic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4: 98-105. 

  21. Lee EY, Lee SJ. 2010. Emission characterization of ammonia produced from swine nightsoil.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308-314. 

  22. Kwon HG, Jung JO. 2007.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vel ammonia oxidizing bacteria Brevundimonas diminuta. Korean J. Env. Hlth. 33: 293-298. 

  23. Hassan SHA, Van GSW, Kim SM, Yoon SH, Joo JH, Shin BS, et al. 201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ithiobacillus caldus from a sulfur-oxidizing bacterial biosensor and its role in detection of toxic chemicals. J. Microbiol. Methods. 82: 151-155. 

  24. Stefanie M, Jorge V, David H, Mark D. 2011. Sulfur metabolism in the extreme acidophile Acidithiobacillus caldus. Frontiers in Microbiology 2: 1664-16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