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모형명세화 오류와 소표본에서 구조방정식모형 모수추정 방법들 비교: 모수추정 정확도와 이론모형 검정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ree methods of estimation in SEM under conditions of misspecification and small sample siz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5, 2017년, pp.1153 - 1165  

서동기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정선호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조방정식모형은 사회과학 및 행동과학 연구 분야에서 이론검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통계방법이다. 최근 이 통계기법에 대한 방법론적 이슈로서 모형명세화 오류와 소표본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이 문제들이 구조방정식모형의 대표 추정 방법인 최대우도법에 위한 이론검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최대우도법 그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된 2단계최소자승법과 2단계능형최소자승법을 정확도와 검정력 관점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체계적으로 비교해 본다. 이 실험 결과에 따르면, 모형이 정확하게 설정된 경우, 정확도 기준에서 추정방법들 간의 차이는 미미했다. 하지만 모형오류가 발생한 경우, 2단계능형최소자승법은 다른 방법들보다 표본 크기가 작을 때 훨씬 더 정확한 모수추정치를 산출해 내었다. 그러고 이 방법은 명세화 오류에 관계없이 표본 크기가 작을 때에도 제 2종 오류 (Type II error) 수준이 상대적으로 작거나 만족할만한 수준의 검정력을 보여주었다. 이에 반해 다른 두 방법들은 표본이 작은 경우 또는 명세화 오류가 있는 경우 상당히 높은 수준의 제 2종 오류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s a basic tool for testing theories in a variety of disciplines. A maximum likelihood (ML) method for parameter estimation is by far the most widely used in SEM. Alternatively, two-stage least squares (2SLS) estimator has been proposed as a more robust procedure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2. 구조방정식모형에서 2단계최소자승법

  • 또한 각 모수에 대한 가설검정을 위해 필요한 모수추정치의 표준오차는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통해 추정된다 (Efron, 1982). 본 연구에서는 500개의 부트스트랩 표본을 추출한 뒤 각 모수추정치의 표준오차를 비모수적인 방식으로 추정한다.
  • 3. Monte Carlo study

  • ai + ui,        (2.4)
  • + ζ,        (2.1)
  • 하지만 ML은 완전정보 (full information) 접근에 따라 모수를 추정하기 때문에 명세화 오류에 취약하다 (Olsson 등, 2000). 따라서 Bollen (1996)은 그 대안으로서 2단계최소자승법 (two stage least squares; 2SLS)을 제안하였다. Jung (2013)은 표본이 작은 경우 구조방정식모형의 모수들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2단계능형최소자승법 (two stage ridge least squares; 2SRLS)을 최근에 개발하였다.
  • 따라서 Bollen (1996)은 그 대안으로서 2단계최소자승법 (two stage least squares; 2SLS)을 제안하였다. Jung (2013)은 표본이 작은 경우 구조방정식모형의 모수들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2단계능형최소자승법 (two stage ridge least squares; 2SRLS)을 최근에 개발하였다.
  • 따라서 Bollen (1996)은 그 대안으로서 2단계최소자승법 (two stage least squares; 2SLS)을 제안하였다. Jung (2013)은 표본이 작은 경우 구조방정식모형의 모수들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2단계능형최소자승법 (two stage ridge least squares; 2SRLS)을 최근에 개발하였다.
  • 따라서 Bollen (1996)은 그 대안으로서 2단계최소자승법 (two stage least squares; 2SLS)을 제안하였다. Jung (2013)은 표본이 작은 경우 구조방정식모형의 모수들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2단계능형최소자승법 (two stage ridge least squares; 2SRLS)을 최근에 개발하였다.
  • 본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모수추정의 정확도는 평균제곱오차 (mean square error; MSE)를 사용해서 평가하였다. 모수추정치가 모수로부터 얼마나 가까운 값인지를 측정하는데 모수에 근접할수록 MSE의 값은 작아진다.
  • 본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모수추정의 정확도는 평균제곱오차 (mean square error; MSE)를 사용해서 평가하였다. 모수추정치가 모수로부터 얼마나 가까운 값인지를 측정하는데 모수에 근접할수록 MSE의 값은 작아진다.
  • 본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모수추정의 정확도는 평균제곱오차 (mean square error; MSE)를 사용해서 평가하였다. 모수추정치가 모수로부터 얼마나 가까운 값인지를 측정하는데 모수에 근접할수록 MSE의 값은 작아진다.
  • 2는 구조방정식모형이 정확하게 설정된 경우, 모수추정방법이 산출한 경로계수 추정치의 정확도를 다양한 표본크기에 따라 비교한 평가결과를 보여준다. 표본크기가 작은 경우 (n < 100) 상대적으로 2SRLS이 다른 두 방법보다 MSE가 가장 작고 반대로 표본크기가 커지면서 ML이 가장 낮은 MSE를 산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추정방법 간 실질적인 차이는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 하지만 표본크기가 작은 경우 2SRLS에 비해 더 큰 MSE 수치를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2SRLS가 모형 오류가 있고 표본 크기가 작은 경우 가장 정확한 모수추정치를 산출해 내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능형회귀 기법 특성상 모수추정 편향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비록 편향이 발생하더라도 이보다 훨씬 더 큰 크기로 분산이 줄어들기 때문에 식 (3.1)에서 보이듯이 전체적으로 MSE는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통계 연구에서 모수추정 방법을 평가할 때 불편향성을 고려하므로 여기서도 이를 별도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그런데 2SLS 추정방법은 현재 구조방정식 프로그램 중 하나인 LISREL에서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응용연구자들에게 낯선 방법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2SLS와 2SRLS의 공통된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먼저 중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그러고 나서 소표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2SRLS의 방법론적 특성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 그런데 2SLS 추정방법은 현재 구조방정식 프로그램 중 하나인 LISREL에서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응용연구자들에게 낯선 방법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2SLS와 2SRLS의 공통된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먼저 중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그러고 나서 소표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2SRLS의 방법론적 특성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 하지만 모형명세화 오류가 발생한 경우, 모수추정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특히 표본크기가 충분히 크더라도 (n > 200) 여전히 높은 편향성을 보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이런 문제를 접하는 경우, 실증연구에서는 보통 PLS (partial least squares)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한다 (Hair 등, 2011). 그런데 이는 성분형 구조방정식모형으로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공분산구조분석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접근법과 다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2SRLS 방법이 모형명세화오류와 소표본 상황에서 공분산구조분석의 모수추정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실증연구에서 가장 대표적인 모수 추정방법은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L)이다. 하지만 ML은 완전정보 (full information) 접근에 따라 모수를 추정하기 때문에 명세화 오류에 취약하다 (Olsson 등, 2000).
  •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실증연구에서 가장 대표적인 모수 추정방법은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L)이다. 하지만 ML은 완전정보 (full information) 접근에 따라 모수를 추정하기 때문에 명세화 오류에 취약하다 (Olsson 등, 2000).
  • 구조방정식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은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이론검정(theory testing)을 위한 분석도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Choi 등, 2013; Hong 등, 2016; Min과 Choi, 2016; Steenkamp와 Baumgartner, 2000). 이와 같은 구조방정식의 대중적 인기의 이유는 응용연구자들이 이론기반의 연구모형 (conceptual model)에 따라 잠재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잠재변수모형을 유연하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변수와 관찰변수와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측정모형을 통해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Kaplan, 2009).
  • 구조방정식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은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이론검정(theory testing)을 위한 분석도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Choi 등, 2013; Hong 등, 2016; Min과 Choi, 2016; Steenkamp와 Baumgartner, 2000). 이와 같은 구조방정식의 대중적 인기의 이유는 응용연구자들이 이론기반의 연구모형 (conceptual model)에 따라 잠재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잠재변수모형을 유연하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변수와 관찰변수와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측정모형을 통해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Kaplan, 2009).
  • 조방정식에 대한 응용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높은 활용도는 새로운 통계모델의 개발을 촉진해 왔는데, 대표적으로 마케팅 분야에서 소비자 특성의 이질성을 모형에 반영하는 기법 (Ansari 등, 2000)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런 연구뿐만 아니라 부적해 (improper solution)와 비수렴 문제 (Chen 등, 2001)처럼 구조방정식모형의 활용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를 다루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 1)에 해당하는 새로운 연립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내생잠재변수의 개수만큼의 방정식이 존재한다. 예시로서 내생변수 i에 해당하는 방정식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조방정식모형의 역할은? 구조방정식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은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이론검정(theory testing)을 위한 분석도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Choi 등, 2013; Hong 등, 2016; Min과 Choi, 2016; Steenkamp와 Baumgartner, 2000). 이와 같은 구조방정식의 대중적 인기의 이유는 응용연구자들이 이론기반의 연구모형 (conceptual model)에 따라 잠재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잠재변수모형을 유연하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변수와 관찰변수와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측정모형을 통해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Kaplan, 2009).
구조방정식모형에서의 모형명세화 오류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진 이유는? 최근에 가장 활발하게 다루어진 방법론적 이슈들 중 첫 번째는 구조방정식모형에서의 모형명세화 오류 (model misspecification)에 관한 것이다 (Bagozzi와 Yi, 2012; Bollen 등, 2007; Fan과 Sivo, 2005; Jarvis 등, 2003; Olsson 등, 2000; MacKenzie 등, 2005). 이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진 이유는 구조 방정식모형이 연구가설 검정을 위한 확인적 분석기법인데 (James 등, 2006)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이 이와 같은 확인적 기법을 사용할 때 모형명세화의 오류를 사전에 쉽게 파악하기 어렵고 (Jarvis 등, 2003), 사후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통계프로그램에서 산출하는 모형 합치도 지수 (goodness-of-fit index) 또한 모형이 자료에 잘 적합한지를 평가할 뿐 모형의 정확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Hayduk 등, 2007). 실제로 모형이 잘못 설정되더라도 수용수준 이상의 높은 합치도 지수를 얻을 수 있다 (Bollen 등, 2007).
구조방정식의 대중적 인기 이유는? 구조방정식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은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이론검정(theory testing)을 위한 분석도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Choi 등, 2013; Hong 등, 2016; Min과 Choi, 2016; Steenkamp와 Baumgartner, 2000). 이와 같은 구조방정식의 대중적 인기의 이유는 응용연구자들이 이론기반의 연구모형 (conceptual model)에 따라 잠재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잠재변수모형을 유연하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변수와 관찰변수와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측정모형을 통해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Kapla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sari, A., Kamel J. and Sharan J. (2000). A hierarchical Bayesian methodology for treating heterogeneit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Marketing Science, 19, 328-347. 

  2. Bagozzi, R. P. and Yi, Y. (2012). Specification,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40, 8-34. 

  3. Baron, R. M. and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4.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John Wiley & Sons, New York. 

  5. Bollen, K. A. (1996). An alternative two stage least squares (2SLS) estimator for latent variable equations. Psychometrika, 61, 109-121. 

  6. Bollen, K. A. and Bauer, D. J. (2004). Automating the selection of model-implied instrumental variable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32, 425-452. 

  7. Bollen, K. A., Kirby, J. B., Curran, P. J., Paxton, P. and Chen, F. (2007). Latent variable models under misspecification: Two-stage least squares (2SLS) and maximum likelihood (ML) estimator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36, 48-86. 

  8. Boomsma, A. and Hoogland, J. J. (2001). The robustness of LISREL modeling revisit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esent and Future (Cudeck, R., Du Toit, S. & Sorbom, D., eds), SSI Scientific Software, Chicago, 139-168. 

  9. Budaev, S. V. (2010).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d factor analysis in animal behaviour research: Caveats and guidelines. Ethology, 116, 472-480. 

  10. Chen, F., Bollen, K., Paxton, P., Curran, P. J. and Kirby, J. (2001). Improper solution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Causes, consequences, and strategie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9, 468-508. 

  11. Choi, H. S., Kwon, Y. J. and Ha, J. C. (2013).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participation in election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379-390. 

  1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Lawrence Erlbaum, New Jersey. 

  13. Efron, B. (1982). The jackknife, the bootstrap and other resampling Plans, SIAM, Philadelphia. 

  14. Fan, X. and Sivo, S. A. (2005). Sensitivity of fit indices to misspecified structural or measurement model components: Rationale of two-index strategy revisi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2, 343-367. 

  15. Fox, J. (2006).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em package in R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3, 465-486. 

  16. Grace, J. B., Anderson, T. M., Olff, H. and Scheiner, S. M. (2010). On the specif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ecological systems. Ecological Monographs, 80, 67-87. 

  17. Grewal, R., Cote, J. A. and Baumgartner, H. (2004). Multicollinearity and measurement error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mplications for theory testing. Marketing Science, 23, 519-529. 

  18. Hair, J. F., Ringle, C. M. and Sarstedt, M. (2011). PLS-SEM: Indeed a silver bulle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9, 139-151. 

  19. Hastie, T., Tibshirani, R. and Friedman, J. (2001).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Data mining, inference, and prediction, Sringer-Verlag, New York. 

  20. Hayduk, L., Cummings, G. G., Boadu, K., Pazderka-Robinson, H. and Boulianne, S. (2007). Testing! testing! one, two three-Testing the theor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841-850. 

  21. Henseler, J. (2012). Why generalized structured component analysis is not universally preferabl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40, 402-413. 

  22. Hoerl, A. E. and Kennard, R. W. (1970). Ridge regression: Biased estimation for nonorthogonal problems. Technometrics, 12, 55-67. 

  23. Hong, Y., Jang, G. and Choi, C. (2016).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class: Testing mediation model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179-189. 

  24. James, L. R., Mulaik, S. A. and Brett, J. M. (2006). A tale of two method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9, 233-244. 

  25. Jarvis, C. B., MacKenzie, S. B. and Podsakoff, P. M. (2003). A critical review of construct indicators and measurement model misspecification in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 199-218. 

  26. Jung, S. (201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mall sample sizes using two-stage least-squares estimation. Behavior Research Methods, 45, 75-81. 

  27. Kaplan, D.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undations and extensions, 2nd ed., Sage, California. 

  28. Lee, S. (2007). Problems caused by model equivalence in developing and testing model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0, 125-146. 

  29. McArdle, J. J. and McDonald, R. P. (1984). Some algebraic properties of the reticular action model.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37, 234-251. 

  30. MacKenzie, S., Podsakoff, P. and Jarvis, C. (2005). The problem of measurement model misspecification in behavioural and organizational research and some recommended solu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710-730. 

  31. Min, D. K. and Choi, M. K. (2016). How depression affects girls who experienced violence in home or at school: Using mixe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101-110. 

  32. Olsson, U. H., Foss, T., Troye, S. and Howell, R. (2000). The Performance of ML, GLS, and WLS estima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nder conditions of misspecification and non-normal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7, 557-595. 

  33. Sideridis, G., Simos, P., Papanicolaou, A. and Fletcher, J. (2014).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ssess functional connectivity in the brain: Power and sample size considerations. Educational & Psychological Measurement, 74, 733-758. 

  34. Steenkamp, J. B. E. M. and Baumgartner, H. (2000). On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marketing m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7, 195-202. 

  35. Tenenhaus, M., Pages, J., Ambroisine, L. and Guinot, C. (2005). PLS methodology to study relationships between hedonic judgments and product characteristic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6, 315-325. 

  36. Tenenhaus, M. (200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small samples, HEC school of management (GRECHE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