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간 역전조건 하의 지표기온 경시변화 추정
Estimation of Temporal Surface Air Temperature under Nocturnal Inversion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3, 2017년, pp.75 - 85  

김수옥 (국가농림기상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명미풍 조건에서 기온역전층 높이와 기온역전강도의 매시 변화를 정량적인 경험식으로 나타내어 야간의 매시 기온을 추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2007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초단파 온도 프로파일러 (Model MTP5H)로 지면으로부터 높이 600m까지 50m 간격의 기온 연직 분포를 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연직기온에서 가장 기온이 높은 고도를 기온역전층 높이로, 역전층의 기온과 지면 위 100m의 기온 편차를 역전강도로 간주하고 야간 동안 시간에 따라 기온 역전층이 발달되는 정도를 모의하는 추정식을 작성하였다. 산사면에서 작물이 실제 경험하는 기온을 추정하기 위해 2014년 10월부터 2015년 11월 23일까지 전남 구례군과 광양시 사이의 중대리 계곡에서 사면의 고도별 기온을 수집하여 연직기온의 역전층 높이 및 역전강도 추정모수를 보정하였다. 지리산 남쪽의 집수역 3개 내에 구축된 검증관측망으로부터 2015년 한 해 동안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상청 방재 및 종관기상관측망으로부터 배경기온을 제작, 기온감률과 함께 기온역전 조건하의 매시 기온을 추정한 다음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명미풍 조건에 대해 19지점 평균 ME $-0.69^{\circ}C$, 평균 RMSE $1.61^{\circ}C$이었고 2000-0100 시간대에서 과소추정오차가 증가되었다.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최저기온 모형으로 0600 기온을 추정하고 새로운 모의 방법으로 산출된 결과와 추정 오차를 비교한 결과, 평균 ME는 기존 $-0.86^{\circ}C$에서 $-0.12^{\circ}C$로, 평균 RMSE는 $1.72^{\circ}C$에서 $1.34^{\circ}C$로 개선되었다. 청명미풍 조건에서 도출된 기온 추정식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추정 오차를 개선하고 다양한 기상조건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ethod to estimate hourly temperature profiles on calm and clear nights was developed based on temporal changes of inversion height and strength. A meteorological temperature profiler (Model MTP5H, Kipp and Zonen) was installed on the rooftop of the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loc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다수의 모델과 검증 결과가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산간 농경지대의 야간 기온 분포를 예측⋅모의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동네예보 기온 상세화 과정에 적용해왔던 추정기법과 결합 가능한 형태의 단순한 모의 방법이 별도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맑은 날 일몰 후부터 일출 직전까지 기온역전이 발달하는 현상을 단순화시켜 매시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냉기류 또는 냉기호가 형성되지 않는 지역도 적용할 수 있도록 현재의 냉기집적효과 모의 기술을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기존의 야간 기온 추정기법이‘최저기온’ 또는 ‘0600 LST’ 시간대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Kim and Yun(2016)의 기온감률 추정기법과 연계하여 기온역전이 발생하는 야간 동안 매시간대 연직기온분포를 모의하였고, 최종적으로는 이 방법을 산사면의 고도별 기온 추정에 적용하여 산간지의 농작물이 실제적으로 경험하는 야간 기온을 모의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기온 역전층 역시 일몰 후부터 최대 높이 ZIH⋅max에 이르기까지 시간 t에 따라 점차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온역전이 발달할 때 지표 부근의 기온이 농작물의 한계 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맑은 날 야간에는 순복사에너지 손실로 인한 지표냉각으로 기온역전이 발달하며, 이때 지표 부근의 기온이 농작물의 한계 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해당 작물⋅과수는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만일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동네예보에 기온역전과 찬 공기의 집적으로 인한 저온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면, 작물⋅과수의 기상재해 위험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맑은 날 야간 기온역전이 발달하는 이유는? 맑은 날 야간에는 순복사에너지 손실로 인한 지표냉각으로 기온역전이 발달하며, 이때 지표 부근의 기온이 농작물의 한계 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해당 작물⋅과수는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만일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동네예보에 기온역전과 찬 공기의 집적으로 인한 저온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면, 작물⋅과수의 기상재해 위험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기온역전 모의기법으로 매시 야간 기온을 추정한 결과 각 지점에서 발생하는 최소, 최대 RMSE 값은? 61℃이었다(Table 2). 각 지점마다 ME와 RMSE에 차이가 있었는데, 최소 RMSE는 0.97℃,최대 RMSE는 2.32℃ 였다. RMSE가 가장 컸던 7번은 과소추정경향이 크게 나타났는데, 남향사면에 위치한,한옥체험관 옆에 장비가 설치되었던 지점으로써 주변 지형지물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ung, U., H. H. Seo, K. H. Hwang, B. S. Hwang, J. Choi, J. T. Lee, and J. I. Yun, 2006: Minimum temperature mapping over complex terrain by estimating cold air accumulation potential.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7, 15-24. 

  2. Devasthale, A., U. Willen, K. G. Karlsson, and C. G. Jones, 2010: Quantifying the clear-sky temperature inversion frequency and strength over the Arctic Ocean during summer and winter seasons from AIRS profile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0, 5565-5572. doi:10.5194/acp-10-5565-2010 

  3. Geiger, R., R. H. Aron, and P. Todhunter, 2008: The climate near the ground (7th e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623pp. 

  4. Hanna, S. R., and R. Yang, 2001: Evaluations of mesoscale model's simulations of near-surface winds, temperature gradients, and mixing depth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0, 1095-1104. 

  5. Hauge, G., and L. R. Hole, 2003: Implementation of slope irradiance in mesoscale model version 5 and its effect on temperature and wind fields during the breakup of a temperature invers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 AAC 5-1-12. doi:10.1029/2002JD002575 

  6. Hole, L. R., and G. Hauge, 2003: Simulation of a morning air temperature inversion break-up in complex terrain and the influence on sound propagation on a local scale. Applied Acoustics 64, 401-414. 

  7. Hudson, S. R., and R. E. Brandt, 2005: A look at the surface-based temperature inversion on the Antarctic plateau. Journal of Climate 18, 1673-1696. 

  8. Kyung Hee University (KHU), 2010: The final report of digital climate modeling for agrometeorological forecasting at watershed scale. 160pp. 

  9. Kim, S. O., and J. I. Yun, 2016: Feasibility of the lapse rate prediction at an hourly time interva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1), 5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6.18.1.55 

  10. Kim, S. O., and J. I. Yun, 2011: A quantification method for the cold pool effect on nocturnal temperature in a closed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4),176-1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1.13.4.176 

  11. Muller, H., and C. D. Whiteman, 1988: Breakup of a nocturnal temperature inversion in the Dischma Valley during DISKU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7, 188-194. 

  12. Sorbjan, Z., 1996: Effects caused by varying the strength of the capping inversion based on a large eddy simulation model of the shear-free convective boundary layer.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53(14), 2015-2024. 

  13. Whiteman, C. D., 1982a: Breakup of temperature inversions in deep mountain valleys: Part I. Observation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1, 270-289. 

  14. Whiteman, C. D., 1982b: Breakup of temperature inversions in deep mountain valleys: Part II. Thermodynamic Mode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1, 290-302. 

  15. Whiteman, C. D., 1986: Temperature inversion buildup in Colorado's Eagle Valley. Meteorology and Atmospheric Physics 35, 220-226. 

  16. Whiteman, C. D., X. Bian, and S. Zhong, 1999: Wintertime evolution of the temperature inversion in the Colorado plateau basi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8, 1103-1117. 

  17. Zhang, D. L., and W. Z. Zheng, 2004: Diurnal cycles of surface winds and temperatures as simulated by five boundary layer parameterization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3, 157-1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