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공간평균 기준기후에 기인한 농업기상특보의 불확실성
Uncertainty of Agrometeorological Advisories Caused by the Spatiotemporally Averaged Climate Reference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3, 2017년, pp.120 - 129  

김대준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진희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수옥 ((재)국가농림기상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해상도 전자기후도 기반의 농가맞춤 조기경보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측기상자료가 없는 곳의 평년기후를 복원해야 한다. 일별 기상자료 복원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기 위해 간이산출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간소화된 방식을 통해 제작된 평년 기후값이 어느 정도의 오차를 수반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년기간(1981-2010)에 대한 일별 기상 값을 모두 복원하고, 이를 '시간적', '공간적' 간소화를 진행한 평년기후값과의 비교를 통해 기상위험의 예측 결과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재해관련 지수 중에서 많은 종류의 기상자료를 필요로 하는 농업가뭄지수를 이용하였으며, 섬진강 유역 일대의 10개 시군을 선정하였다. '시간'규모를 간소화한 평년 값은 30개년(1981-2010)에 대해 일별로 평균한 값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분포를 제작하였으며, '공간'규모를 간소화 평년 값은 실험지역에 대하여 집수역 단위로 제작한 평년 값을 이용하였다. 먼저 '잔여수분지수'의 경우 '시간'규모 간소화 평년 값의 경우 과대 추정되었으며, '공간'규모 간소화 평년 값의 경우 과소 추정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2017년 1월부터 7월까지의 가뭄지수를 제작한 결과, 평년 자료 별로 가뭄의 정도를 모의한 결과에 차이가 있었으며, 지역적인 편차 또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소화'된 제작방식을 통한 평년 기후 값이, 이를 이용해 재해위험을 산출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rometeorological advisories for farms and orchards are issued when daily weather exceeds a predefined range of the local reference climate, which is a long-term average of daily weather for the location. The reference climate at local scales is prepared by various simplification methods, resul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평년과 비교하여 기상위험을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 고려되는 평년 기후자료가 그 제작방식에 따라 기상위험 예측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확인해 보았다. 평년 기후자료는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간소화’ 되어 제작되는데, 단순히 지정학적, 기후학적 유사성으로 인해 간소화된 평년 자료가 반드시 그 정확도를 보장할 수는 없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평년기간에 대한 일별 기상 값을 모두 분포도로 복원하고, 평년기후분포도의 시간적, 공간적 간소화를 진행한 평년기후분포도와의 비교를 통해 기상위험예측 등에 사용되고 있는 평년기후분포도의 간이산출방식이 어느정도 오차를 수반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일별 기상자료 복원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기 위해 간이산출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간소화된 방식을 통해 제작된 평년 기후값이 어느 정도의 오차를 수반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년기간(1981-2010)에 대한 일별 기상 값을 모두 복원하고, 이를 ‘시간적’, ‘공간적’ 간소화를 진행한 평년기후값과의 비교를 통해 기상위험의 예측 결과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상청에서 제작한 ‘한국기후표’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이처럼 평년과 비교하여 재해위험을 산출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준이 되는 평년 기후값인데, 단순한 지점값이 아닌 분포도 형태일 경우 넓은 범위를 상세화 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기상청에서는 ‘한국기후표’를 10년 단위로 제작하고 있는데, 30년 단위의 전국의 종관기상관측지점의 관측 정보를 바탕으로 시군 단위로 변환된 기후 평년값을 제공하고 있다(KMA, 2011). 하지만 기상청의 지점 단위(혹은 시군행정단위라 할지라도) 관측자료를 이용해서는 농작물 등의 생장을 국지적으로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일찍이 국지기상을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시간’ 규모의 간소화란 무엇인가? 한편 이들 평년 자료의 경우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공간적, 시간적으로 간이 산출된 평년기후값을 이용한다. 여기서 ‘시간’ 규모의 간소화란 평년의 고해상도 분포도 제작 시 매년의 일기상자료를 월 평균, 혹은 년 평균한 값에 소기후모형을 적용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현재 제작되고 있는 평년의 고해상도 전자기후도의 경우 일별 분포도를 제작 후 이를 월, 또는 년 평균을 한 것이 아니라, 모두 전술한 간소화된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공간’ 규모의 간소화란 일정 단위로 통합된 구역에 따라 평년 값을 통일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기상청이 시군 단위로 기상, 기후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평년대비 기상조건을 바탕으로 기상재해 위험을 제공하는 농촌진흥청의 ‘농업기상 재해 조기경보 시스템’ (http://new.
한국기후표 자료의 한계점은? 기상청에서는 ‘한국기후표’를 10년 단위로 제작하고 있는데, 30년 단위의 전국의 종관기상관측지점의 관측 정보를 바탕으로 시군 단위로 변환된 기후 평년값을 제공하고 있다(KMA, 2011). 하지만 기상청의 지점 단위(혹은 시군행정단위라 할지라도) 관측자료를 이용해서는 농작물 등의 생장을 국지적으로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일찍이 국지기상을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국내에서는 기상청 종관 지점 평년기상자료를 바탕으로 고해상도의 공간정보와 소기후모형에 의해 경관규모(landscape scale)로 개선한 전자기후도(Digital Climate Map)가 평년단위로 제작된 바 있다(Yun, 2004; Yu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len, R. G., L. S. Peretira, D. Raes, and M. Smith,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UN-FAO, Rome, Italy. 

  2. Byun, H. R., and D. A. Wilhite,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12, 2747-2756. 

  3. Chung, U., H.-C. Seo, J. I. Yun, S.-J. Jeon, K. H. Moon, H.-H. Seo, and Y. S. Kwon, 2009: Extrapola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a mountainous terrai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45(4), 473-482. 

  4. Chung, U., H. H. Seo, K. H. Hwang, B. S. Hwang, J. Choi, J. T. Lee, and J. I. Yun, 2006: Minimum temperature mapping over complex terrain by estimating cold air accumulation potential.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7(1-2), 15-24. 

  5. Chung, U., K. Yun, K.-S. Cho, J. H. Yi, and J. I. Yun, 2009: The PRISM-based rainfall mapping at an enhanced grid cell resolution in complex terra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2), 7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D.-J., and J. I. Yun, 2013: Improving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2. refining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amou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3), 171-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3.15.3.171 

  7. Kim, D. J., S.-O. Kim, J.-H. Kim, K-M. Shim, and J. I. Yun, 2015: A drought index designed for field-scale water management.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51(3), 197-203. 

  8. Kim, S. J., 2006: Agricultural disas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6(4), 87-102. (in Korean) 

  9. Kim, S.-O., and J. I. Yun, 2011: A quantification method for the cold pool effect on nocturnal temperature in a closed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4), 176-1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1.13.4.176 

  10. Kim, S.-O., J.-H. Kim, D.-J. Kim, and J. I. Yun, 2012: Wind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across a cold pooling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4), 277-2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10.5532/KJAFM.2012.14.4.277 

  11. Kim, S.-O., J.-H. Kim, D.-J. Kim, K. M. Shim, and J. I. Yun, 2015: Combined effects of wind and solar irradiance on the spatial variation of midday air temperature over a mountainous terrai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51(3), 239-247. DOI:10.1007/s13143-015-0074-5 

  12. KMA, 2011: Climatological normal of Korea (한국기후 표). 158pp. (in Korean) 

  13.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C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79-184. 

  14.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Water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ww.wamis.go.kr) 2017.08.01 

  15.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7: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http://new.agmet.kr) 2017.08.01. 

  16.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2002: Fruit Disaster Patterns and Countermeasures (과수 재해양상과 대책).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40pp. (in Korean) 

  17. Proebsting, E. L., and H. H. Mills, 1978: Low temperature resistance of developing flower buds of six deciduous fruit speci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03, 192-198. 

  18. Shin, Y. S., J. H. Park, S. K. Kim, W. S. Kang, K. M. Shim, and E. W. Park, 2015: An operational site-specific early warning of weather hazards for farmers and extension workers in a mountainous watershed.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4), 290-3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5.17.4.290. 

  19. Sievers, U., and W. G. Zdunkowski, 1986: A micro-scale urban climate model. Beitrage zur Physik der Atmosphare 69(1), 13-40. 

  20. Son, C., S. J. Kim, and S. O. Han, 2013: Impact based weather warning using probability of high impact weather and past disaster weather information. Proceeding of 2013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Conference, Ansan, Korea,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18p. 

  21. Wilhite, D. A., M. J. Hayes, C. Knutson, and K. H. Smith, 2000: Planning for drought: moving from crisis to risk managemen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4), 697-710. 

  22. Yun, J. I., 2004: Visualization of local climates based on geospatial climatolog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4), 272-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Yun, J. I., 2007: Applications of "high definition digital climate maps" in restructuring of Korean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1), 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un, J. I., 2013: User-specific agrometeorological service to local farming community: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320-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3.15.4.320 

  25. Yun, J. I., 2014: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a service infrastructure for climate-smart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403-4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4.16.4.4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