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기상가뭄의 시공간 패턴으로부터 농업가뭄의 시공간 패턴 분리하기
Decoupling of the Spatiotemporal Pattern of Agricultural Drought from that of Meteorological Drough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3, 2017년, pp.140 - 152  

김대준 ((재)국가농림기상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청에서는 다양한 가뭄지수를 주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기상학적인 가뭄지수로 농업적인 부분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표 지점에 대하여, 같은 기간 동안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농업가뭄지수를 각각 계산하여 보고, 이를 비교하여 가뭄의 성격에 따른 지리적 분포의 차이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복수의 가뭄지수가 추정한 전반적인 가뭄의 양상은 비슷하였지만, 성격에 따른 모의 방식이 다른 것으로 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농업가뭄지수(ADI)는 기상학적 가뭄지수(SPI, PN)에 비하여 식물의 토양가용수분에 대하여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ADI를 바탕으로 분석한 최근의 가뭄발생 양상은 봄과 초여름의 경우 평년에 비해 최근에 가뭄의 강도가 심했으며, 가을과 겨울의 경우는 평년에 비해 약화되는 패턴을 보였다. 또한 내륙지방이 해안지방에 비해 최근의 가뭄 정도가 더 심했다. 분야별로 특화된 가뭄지수를 고려하는 것은 각각의 성격에 맞는 가뭄에 대한 대책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regularly publishes various drought indices. However, most of these are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that are not only difficult but often inappropriate to apply to agriculture. In this study,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and the agricultural dro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기상학적인 가뭄지수로 농업적인 부분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표 지점에 대하여, 같은 기간 동안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농업가뭄지수를 각각 계산하여 보고, 이를 비교하여 가뭄의 성격에 따른 지리적 분포의 차이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복수의 가뭄지수가 추정한 전반적인 가뭄의 양상은 비슷하였지만, 성격에 따른 모의 방식이 다른 것으로 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농업가뭄지수(ADI)는 기상학적 가뭄지수(SPI, PN)에 비하여 식물의 토양가용수분에 대하여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표 지점에 대하여, 같은 기간에 대해 복수의 가뭄지수를 통해 가뭄의 성격에 따른 분포 차이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가뭄의 양상은 비슷하였지만, 지점 별, 년도 별로 일정 부분 차이가 발생하였음을 확인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표 지점을 선정하고, 같은 기간 동안, 같은 지역에 대하여,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농업가뭄지수를 각각 추정하고, 이를 비교하여 가뭄의 성격에 따른 지역적 분포의 차이와 특성을 분석하여, 농업 분야에 차별화된 가뭄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가뭄지수의 기능은 무엇인가? 농업 분야에서 가뭄을 판단하기 위해 최근 ‘농업가뭄지수’(ADI, Agricultural Drought Index)가 제시된 바 있는데(Kim et al., 2015), 이 가뭄지수는 농작물이 생육에 이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의 상태를 일 기상자료로부터 추정하며, 장기간의 물 공급(강수량)과 물 소비(증발산, 유출량)를 모두 고려하여, 토양의 물수지를 기반으로 한 토양수분 상태의 경시변화를 시공간적인 분포로 모의할 수 있다. ADI는 토양수분과의 변화 흐름에 있어 SPI에 비해 높은 신뢰도를 나타낸 바 있다(Kim et al.
농업가뭄지수의 신뢰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2015), 이 가뭄지수는 농작물이 생육에 이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의 상태를 일 기상자료로부터 추정하며, 장기간의 물 공급(강수량)과 물 소비(증발산, 유출량)를 모두 고려하여, 토양의 물수지를 기반으로 한 토양수분 상태의 경시변화를 시공간적인 분포로 모의할 수 있다. ADI는 토양수분과의 변화 흐름에 있어 SPI에 비해 높은 신뢰도를 나타낸 바 있다(Kim et al., 2015).
기상학적 가뭄과 수문학적 가뭄은 각각 무엇인가? 가뭄은 그 특성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되는데, 먼저 기상학적 가뭄은 일정 기간 동안 예년의 평균적인 강수량보다 적은 강수로 인해 건조한 날이 지속되는 가뭄을 뜻하며, 수문학적 가뭄은 수자원의 공급 부족을 의미한다. 또한, 농업적 가뭄이라 함은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 부족을 말하며, 강수량뿐 아니라, 증발산, 유출량, 작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며, 토양수분, 식물수분량 등을 고려한다(Wilhite and Glantz,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len, R. G., L. S. Peretira, D. Raes, and M. Smith,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UN-FAO, Rome, Italy. 

  2. Byun, H. R., and D. A. Wilhite,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12, 2747-2756. 

  3.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4. Kim, D. J., S.-O. Kim, J.-H. Kim, K-M. Shim, and J. I. Yun, 2015: A drought index designed for field-scale water management.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51(3), 197-203. 

  5. Kim, J.-S., M.-H. Choi, and J.-H. Lee, 2012: Analysis of reg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atmospheric teleconnections. Proceedings of 2012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Conference, Seoul, Korea,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269-271. 

  6.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Abnormal Climate Report 2012, 12-21. (In Korean) 

  7.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Drought. Press Release (2015.6.3). (In Korean) 

  8.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기상 자료개방포털, http://data.kma.go.kr (2017.08.01) 

  9.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종합 가뭄정보시스템, http://drought.kma.go.kr (2017.08.01) 

  10. Kwak, J. W., S. D. Lee, Y. S. Kim, and H. S. Kim, 2013: Return period estimation of droughts using drought variables from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8), 795-8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10.3741/JKWRA.2013.46.8.795 

  11. Lee, B. R., B. G. Bae, and S, H. Choi, 2015: Drought analysis using comparison of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social big data. Proceeding of Korea Computer Congress 2015, Jeju, Korea,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16-18. 

  12. Lee, J. H., J. W. Seo, and C. J. Kim, 2012: Analysis on trends, periodicities and frequencies of Korean drought using drought indic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 75-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W., S.-S. Jang, S.-R. Ahn, K.-W. Park, and S.-J. Kim, 2016: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in-situ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 64-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10.11108/kagis.016.19.1.06 

  14.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ater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2017: http://www.wamis.go.kr (2017.08.01) 

  15. Morid, S., V. U. Smakhtin, and M. Moghadasi, 2006: Comparison of seven meteorological indices for drought monitoring in Ira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6, 971-985. doi:10.1002/joc.1264 

  16. Nam, W. H., J. Y. Choi, M. W. Jang, and E. M. Hong, 2013: Agricultural drought risk assessment using reservoir drought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3), 4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10.5389/KSAE.2013.55.3.041 

  17. Wilhite, D. A., and M. H. Glantz,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10(3), 11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