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디지털 도서관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Digital Library Research Trends in Korea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4 no.3 = no.105, 2017년, pp.49 - 66  

강보라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김희섭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digital libraries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78 author-assigned English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272 major LIS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during last ten years-period, i.e., 2007-2016. The collecte...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곽기영 (2017). 소셜네트워크분석. 서울: 청람.(Kwak, Ki-Young (2017).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ChungRam.) 

  2. 김정환, 김재훈, 황재영 (2011). 디지털 환경에서 학술연구자들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189-208. https://doi.org/10.16981/kliss.42.3.201109.189(Kim, Jeong-Hwan, Kim, Jayhoon, & Hwang, Jae-Young (2011). A study on information users'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doctoral researchers in digital age.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189-208. https://doi.org/10.16981/kliss.42.3.201109.189) 

  3. 서은경, 유소영 (2013). Detect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정보관리학회지, 30(4), 215-239.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15(Seo, Eun-Gyoung, & Yu, So-Young (2013). Detect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215-239.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15) 

  4. 이기헌, 정효정, 송민 (2015). 문헌정보학 분야 핵심 학술지들의 가중 주제-방법네트워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457-488.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3.457(Lee, Keehoen, Jung, Hyojung, & Song, Min (2015). Weighted subject - method network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457-488.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3.457) 

  5. 이성신 (2016).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도서관마케팅 연구 경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383-402. http://dx.doi.org/10.4275/KSLIS.2016.50.3.383(Lee, Seongsin (2016). A study on the library marketing research trend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3), 383-402. http://dx.doi.org/10.4275/KSLIS.2016.50.3.383) 

  6.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Lee, Soo-Sang (2012). Network analysis methods. Seoul: NonHyung.) 

  7. 이재윤 (2006).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https://doi.org/10.4275/kslis.2006.40.3.191(Lee, Jae-Yun (2006). Centrality measures for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191-214. https://doi.org/10.4275/kslis.2006.40.3.191) 

  8. 임종균 (1994). 가상 사전 편찬 작업을 통한 멀티미디어 디지털도서관 구현. 1994년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651-659.(Im, Jong-Gyun(1994). Creating a multimedia digital library with virtual programming work.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in 1994, 651-659.) 

  9. 장령령, 홍현진 (2014).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295-318.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1.295(Zhang, Ling Ling, & Hong, Hyun Jin (2014).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ading studies with co-word analysis based on the importance of journals and sequence of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1), 295-318.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1.295) 

  10. 장윤금, 이지수, 이혜영 (2014).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이용자의 만족도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201-220.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2.201(Chang, Yunkeum, Lee, Jisu, & Lee, Heyyoung (2014).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behavior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201-220.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2.201) 

  11. 정우성, 양현재 (2013). 과학계량학 연구동향 및 과학기술정책 분야 응용가능성.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Jung, WooSung, & Yang, Hyun-Jae (2013). Research trend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Korean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12. 정재영 (2012).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333-352.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333(Chung, Jae-Young (2012).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333-352.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333) 

  13. 정재영, 박진희 (2011).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71-191. https://doi.org/10.16981/kliss.42.2.201106.171(Chung, Jae-Young, & Park, Jin-Hee (2011).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field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71-191. https://doi.org/10.16981/kliss.42.2.201106.171) 

  14. 조재인 (2011).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 경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8(4), 65-83.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4.065(Cho, Jane (2011).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65-83.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4.065) 

  15. Arif, M., & Mahmood, K. (2012). The changing role of librarians in the digital world: Adoption of Web 2.0 technologies by Pakistani librarians. The Electronic Library, 30(4), 469-479. https://doi.org/10.1108/02640471211252184 

  16. Borgman, C. L. (1999). What are digital libraries? Competing vision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35(3), 227-243. 

  17. Borgman, C. L. (2000). From Gutenberg to the 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Access to information in the networked world. Cambridge, MA: MIT Press. 

  18. Chowdhury, G., & Chowdhury, S. (1999). Digital library research: Major issues and trends. Journal of Documentation, 55(4), 409-448.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7154 

  19. Chowdhury, G., & Chowdhury, S. (2003). Introduction to digital libraries. London: Facet Publishing. 

  20. Digital Library Federation (2016). 2016 Digital Library Federation forum. Retrieved from https://osf.io/view/dlf2016/ 

  21. Frosio, G. (2011). Google books rejected: Taking the orphans to the digital public library of Alexandria. Santa Clara Computer and High - Technology Law Journal, 28(1), 81-141. 

  22. Hamilton, S., & Pors, N. O. (2003). Freedom of access to inform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The internet as a tool for global social inclusion. Library Management, 24(8/9), 407-416. https://doi.org/10.1108/01435120310501086 

  23. Lee, J. Y., Kim, H., & Kim, P. J. (2010). Domain analysis with text mining: Analysis of digital library research trends using profiling method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6(2), 144-161. https://doi.org/10.1177/0165551509353251 

  24. Liu, G., Hu, J. & Wang, H. (2012). A co-word analysis of digital library field in China. Scientometrics, 91(1), 203-217. https://doi.org/10.1007/s11192-011-0586-4 

  25. Shiri, A. (2003). Digital library research: Current developments and trends. Library Review, 52(5), 198-202. https://doi.org/10.1108/00242530310476689 

  26. Sturges, P. (2001). The library and freedom of information: Agent or icon? Alexandria, 13(1), 3-16. https://doi.org/10.1177/095574900101300102 

  27. Theng, Y. (2009). Handbook of research on digital libraries: Design, development, and impact. Pennsylvania: IGI Global. 

  28. Xiao, L., Chen, G., Sun, J., Han, S., & Zhang, C. (2016). Exploring the topic hierarchy of digital library research in China using keyword networks: A K-core decomposition approach. Scientometrics, 108(3), 1085-1101. https://doi.org/10.1007/s11192-016-2051-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