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기반 물량 및 내역정보 생성을 위한 내역서 개선방안
Improvement of BoQ Documents for the BIM based Quantity Takeoff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7 no.2, 2017년, pp.16 - 24  

안지원 (경상대학교 건축공학과) ,  윤석헌 (경상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accurate construction total cost needed early in the project. In the initial phase of the design, the project cost estimates are determined by total quantity from design documents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cost of the project. In or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연구들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기존 견적의 개념을 알아보고, 한계점을 알아본다. 그리고 현행 내역서의 항목을 분석하여 모델링의 한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다음으로 BIM기반으로 산출되는 내역항목과 현행 내역서 세부항목의 비교분석을 통해 BIM모델 링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 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역서를 구성하는 항목의 상세도와 구성체계를 조정하여 BIM 모델의 상세도가 비효율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한 내역 정보를 BIM모 델에서 확보하기 위한 내역항목의 적정수준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IM 모델을 통해 내역서를 구성하는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물량관련 속성 정보와 현행 내역서 구성체계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IM 물량산출을 위한 기존 내역서의 문제점 분석을 위하여, 사례 현장을 선정하고 내역서를 조사하여 구성 내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IM기반 견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BIM 추출정보와 현행 내역서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 실제로, 기존의 내역서 항목들을 분석해보면,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볼 수 있으며, 각 항목 들의 단가 차이가 과도하여 물량산출에 있어서 동일한 상세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견적의 기본적인 원칙에도 위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BIM기반 견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BIM추출정보와 현행 내역서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BIM 모델을 통해 내역서를 구성하는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물량관련 속성 정보와 현행 내역서 구성체계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3개 내역서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BIM으로 도출이 가능한 정보를 5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분류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번기준인 ‘바로 사용가능한 항목’으로 분류된 정보는 전체 항목중 약 40%를 차지하였고 2번 기준인 ‘1차가공 후 사용가능한 항목’은 전체의 약 29%, 3번 기준 ‘2차가공 후 사용가능한 항목’ 은 약 14%, 4번기준 ‘엔지니어링 분석 이후 사용가능한 항목’은약 8%, 마지막으로 ‘불가능한 항목’은 약 6%로 분석되었다.
  • 연구에서는 교육시 설물의 분류체계를 제시하고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2D견적과 3D BIM 기반 견적을 통해 공사비와 물량의 차이를 확인하여 견적업무의 효율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과도한 모델링으로 인한 모델링 시간과 견적시간의 부족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계도서를 기반으로 세부 물량을 산출하여 상세 내역서를 작성할 때 문제점은? 최초의 사업 예산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개산견적을 사용하지만, 최종적인 금액의 검토와 시공사에서 적정한 공사비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설계도서를 기반으로 세부 물량을 산출하여 상세 내역서를 작성하게 된다. 하지만, 물량산출과정부터 내역서를 작성하는 과정이 여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물량이나 내역서의 오류로 인해 시공단계에 많은 시행착오가 발생한다.
설계초기단계의 사업비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소요예산의 산출은 매우 중요하다. 설계초기단계의 사업비 관리는 공사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총공사비와 세부내역의 적정 산정을 전제 조건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예산의 산정은 개산견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개산견적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사업의 수익성 여부와 경쟁력 있는 입찰금액의 제시를 위한 토대를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개산견적의 역할은? 설계초기단계의 사업비 관리는 공사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총공사비와 세부내역의 적정 산정을 전제 조건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예산의 산정은 개산견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개산견적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사업의 수익성 여부와 경쟁력 있는 입찰금액의 제시를 위한 토대를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최초의 사업 예산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개산견적을 사용하지만, 최종적인 금액의 검토와 시공사에서 적정한 공사비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설계도서를 기반으로 세부 물량을 산출하여 상세 내역서를 작성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S. I. (1997), A conceptual cost estimating process for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pp. 5-18. 

  2. Han, N. H., Kim, J. J. (2015). A Case Study on BIM Operating and Performance Measurement in Construction Phase, Journal of KIBIM Magazine, 5(2), pp. 1-11. 

  3. Joo, S. I., Jun, H. J. (2009) A Study on the BIM-basd Material Take Off That is Usable as 4D Simul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1), pp. 335-338. 

  4. Kang, M. K. (2008). A Method of Cost, Breakdown, Process, Progress Unified Management based on BIM, masters The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pp. 8-20. 

  5. Kim, B. M., Jeon, H. J., Jang, S. J., Yun, S. H., Paek, J. H. (2008) A study on the Improving Effectiveness of Quantity Estimation with BI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1), pp. 705-708. 

  6. Kim, K. H., Park, C. S., Chang, S. H. (2005). web-Based Cost Planning Program for High-Rise Office Build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6(2), pp. 69-79. 

  7. Kwon, O. B., Son, J. H., Lee, S.H. (2009). Study on Applicationo 3D - based BIM for School Facilities to Increase Cost Management Efficienc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0(6), pp. 49-60. 

  8. Lee, C. H., Kim, S. A., Chin, S. Y. (2011). An Index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mpleteness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Journal of Korea Institute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6), pp. 79-92. 

  9. Lee, J. H. (2010). A Case Study on the Detailed Estimation using BIM,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pp. 35-37. 

  10. Lee, M. C. (2008). A Study on the BIM Property Information Modeling for the Cost Estimate of the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Masters Thesis, Hou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pp. 4-16. 

  11. Li, Q., Tian, Z. (2014). Construction project cost management under the mode of bill of quantities, Proceedings of the 1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and Real Estate, pp. 769-780. 

  12. Lim, D. H., Lee, H. S., Park, M. S., Son, B. S. (2008). Analyzing the Schematic Cost Estimating Model Based on Quantity Variation in Building Projects Using the Case Study - Applying to Structure Cost of Residential Complex Building Project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6), pp. 109-118. 

  13. Noh, H. R. (2017). A Case Study on the Educational Facility Project for the Improvement of BoQ Information Structure, pp. 181-190. 

  14. Park, S. M. (2003).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stimation method of historical cost data for estimating the proper construction cos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24. 

  15. Park, Y. J., Won, S. K., Han, C. H., Lee, J. B. (2011). A Study on 3D BIM Collaborative Approximate Estimating Model of Structural Work for Apartment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6), pp. 123-130. 

  16. Sim, H. W. (2012). A Study on The Usability of a BIM-based Integration Solution to The Preliminary Estimate of the Public Sonstruction Projec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5-6. 

  17. Suh, B. G. (2014). A study on way to build combination DB of the building element types for BIM based preliminary estimate.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p. 1-15. 

  18. Yoo, M. K. (2008). A study on Improving Estimating practices of Building Projects Using BIM,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pp. 16-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