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에 내재된 한·일 미적관점 비교연구(2보) - 일본의 미적 관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Japan and Korea Aesthetic Point of View in the Modern Fashion - Japanese Aesthetic Points of View in Modern Fashion -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9 no.3, 2017년, pp.75 - 87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 ,  김주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nsitivity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relation to design in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In the West, the concept of aesthetics has long been established but in the East, only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China did the discussion begin. In Korea, where the first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비교미학은 미와 예술의 본질을 추구함에 있어서 유사한 대상으로부터 명확하게 구별하고자 할 때 비교라는 방법이 생겨나며, 이는 문화의 특수성에 관심을 가지고 상대적 가치를 존중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최광진, 2015). 다시 말해 자신의 문화가 아닌 다른 문화와 비교하여 존재하는 특징적인 미적 개념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미적인 특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미적 원리는 비교분석에 의해서 인식할 수 있는 단계까지 점차적으로 발전되었을 때,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예술과 패션에 대한 공감적인 이해가 이루어진다.
  • 둘째, 한국과 일본의 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미적 관점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 한국과 일본의 패션을 비교한 선행연구가(김인숙, 윤순봉, 1995; 김효진, 2010; 윤보연, 2001; 이선희, 2008) 있으나, 미학이라는 학문적 범주를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학이라는 학문적 범주를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의 미를 분석하고 이를 현대 패션에 적용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앞서 1보를 통해 한국미학의 범주에서 한국미를 분석하고 무작위의 미와 무작위적 작위의 미를 현대패션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비교미학은 자신의 문화가 아닌 다른 문화와 비교하여 특징적인 미적 개념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미적인 특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미적 차이를 이해하여 현대 패션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일본의 미적 특성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불완전성에 대해 언급한다. 불완전의 사전적 의미는 ‘완전하지 못하거나 완전하지 않음’을 뜻하는 것으로 완결성을 깨고 다시 원래의 자연으로 되돌아온 것과 같은 완성의 부정으로의 미완성, 또는 미완성의 완성의 미라고 할 수 있다.
  • 비교미학은 자신의 문화가 아닌 다른 문화와 비교하여 존재하는 특징적인 미적 개념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미적인 특성을 부각시킨다. 한국과 일본의 미학을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서 미적 특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완전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일본의 미적 특성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불완전성에 대해 언급한다. 불완전의 사전적 의미는 ‘완전하지 못하거나 완전하지 않음’을 뜻하는 것으로 완결성을 깨고 다시 원래의 자연으로 되돌아온 것과 같은 완성의 부정으로의 미완성, 또는 미완성의 완성의 미라고 할 수 있다. 불균형, 불규칙, 비대칭 또한 완벽한 것의 자기부정과 같은 불완전성과 미완성의 표현 방법이다.
일본의 대표적 미의식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일본의 대표적 미의식인 와비와 사비가 있다. 와비는 간결, 단순, 빈곤의 아름다움, 그리고 사비는 엄격한 소박미, 자연성으로 설명된다.
한국의 미가 일본과는 확연히 다름을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강조함에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된 이유는 무엇인가? 극동에 위치한 한국과 일본은 아시아 문화권임을 공통으로 하나, 다른 문화와 감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대 시대에 일본으로 한국의 문화가 전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패션은 빠른 해외 진출과 산업 발달로 세계무대에서 그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이에 한국의 미가 일본과는 확연히 다름을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강조함에는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인숙, 윤순봉. (1995). 현대패션에 나타난 한국과 일본 복식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효진. (2010). 한국과 일본 현대패션에 표현된 전통미의식의 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영필. (1992). 한국 전통 미술의 미학적 과제. 한국학 연구, 4, 228-231. 

  4. 권영필.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서울: 돌베게. 

  5. 민주식. (1992). 비교미학의 과제와 방법. 인문연구, 13(2), 181-209. 

  6. 박세정. (2005). 일본적 공간 개념의 분석에 의한 실내 공간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사사키겡이치. (2002). 미학사전. 서울: 동문선. 

  8. 사사키차가. (2007). 일본 현대 패션에 나타난 일본전통미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7(1). 17-27. 

  9. 선승혜. (2007). 일본의 미의식. 미학대계 제1권.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0. 쓰지노부오. (1994). 일본미술 이해의 길잡이. 서울:시공사. 

  11. 야나기쟌 세이자. (1995). 禪과 日本文化. 서울: 불광출판사. 

  12. 양취경, 김효진. (2001). 전통 미의식적 관점에서 본 요지 야마모토의 작품세계 연구. 생활문화연구, 15, 1-31. 

  13. 윤보연. (2001). 현대패션에 반영된 전통 미의식의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길호. (2008). 현대 일본 실내 디자인의 일상미학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와비-사비의 미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선희. (2008). 현대패션에 표현된 일본 전통 미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3), 15-25. 

  16. 조요한. (1999). 한국미의 탐구를 위한 서론. 한국미학예술학회, 9, 5-27. 

  17. 채금석. (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반꾸밈 미학. 한국복식학회지, 54(8), 129-146. 

  18. 채금석. (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꾸밈 미학. 한국복식학회지, 54(3), 113-127. 

  19. 채금석, 김주희. (2016). 현대 패션에 내재된 한.일미적관점 비교연구(제1보): 한국의 미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8(2), 161-175. 

  20. 최광진. (2015). 한국의 미학. 경기: 예술문화. 

  21. 킴바라세이코. (1978). 동양의 마음과 그림. 서울:새문사. 

  22. 토머스 먼로. (2002). 동양미학. 서울: 열화당.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