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남성 장신구의 조형미를 적용한 넥타이 디자인 제시
A Study on the Necktie Design Application of Traditional Korea Men's Orna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9 no.3, 2017년, pp.99 - 108  

배리듬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dern society,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 can be an enabler of the state in the flow of culture, and the process of modernizing traditional costumes is meaningful work. Neckties are essential in modern Korean men's wear, and they are an important part of men's ornamentation. A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자인2는 율동미와 강조미를 적용하고자 하며, 갓과 갓끈의 형태를 응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갓의 평면 실루엣과 갓을 머리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갓끈을 이미지화 하여 흑색으로 디자인 하였고, 이를 통해 갓끈이 가진 리듬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흑색 무늬 위에 청색과 홍색 핫픽스를 부착하여 나무, 유리, 보석류 등의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화려하게 표현되었던 갓끈을 형상화하였다.
  • 넥타이의 소재는 한국 전통소재의 직물 종류에 따라 거칠고 소박한 표현성이나 정교하고 섬세하게 보이는 이미지와 소재의 얇은 두께감으로 투명하게 안이 보이는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거친 질감의 소재들은 직조과정을 상기시켜 줌으로써 생성감의 동감이 감지되면 제작과정의 생명력을 느끼게 하며(금기숙, 1988), 얇은 두께감의 사(絲)는 안에 받쳐 입은 옷이나 신체의 형태가 확실하지 않고 아련한 형태로 공개 되어 직설적이고 명쾌한 아름다움에 비해 은근한 아름다움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소재의 성질을 디자인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금기숙, 1988). 이상으로 형태, 소재, 색상을 분석한 결과를 적용한 넥타이 디자인은 다음의 <표 2> 와 같다.
  • 무늬는 정해진 틀 없이 자유롭게 디자인하였으며 넥타이의 색은 황색 바탕에 흑색을 사용하였다. 넥타이의 소재는 한국 전통소재 중 실크 사(絲)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고자 하였다.
  • 넥타이의 소재는 한국 전통소재의 직물 종류에 따라 거칠고 소박한 표현성이나 정교하고 섬세하게 보이는 이미지와 소재의 얇은 두께감으로 투명하게 안이 보이는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거친 질감의 소재들은 직조과정을 상기시켜 줌으로써 생성감의 동감이 감지되면 제작과정의 생명력을 느끼게 하며(금기숙, 1988), 얇은 두께감의 사(絲)는 안에 받쳐 입은 옷이나 신체의 형태가 확실하지 않고 아련한 형태로 공개 되어 직설적이고 명쾌한 아름다움에 비해 은근한 아름다움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소재의 성질을 디자인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금기숙, 1988).
  • 넥타이의 형태는 조형을 이루는 선을 중심으로 갓의 양태와 대우에서 나타나는 한국적인 곡선과 갓끈의 움직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갓끈의 선은 전통한복의 고름, 배래선, 치마의 주름에서 보이는 선과 같이 정적인 순간에는 직선이지만 동적인 움직임과 함께 곡선이 되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김민자, 2009).
  • 디자인1은 강조미를 적용하고자 하며, 한국 남성의 전통 장신구인 갓을 착용한 남성의 이미지를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갓의 실루엣과 갓과 함께 착용하는 포의 실루엣을 이미지화한 형태를 넥타이 전체에 배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넥타이 형태에 한국적인 소재와 무늬를 적용한 디자인을 제시하고자하며 전통 복식미의 현대적인 활용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각 잇기, 자수, 직조 방법의 변화와 같이 구조적인 변화가 아닌 텍스타일 디자인 개념의 문양이나 장식물의 변화로 넥타이에 무늬를 표현하여 실제적인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의 디자인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한국 고유의 이미지가 표현된 디자인의 넥타이는 대중에게 제안하기 좋은 패션 스타일링 아이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넥타이 형태에 한국적인 소재와 무늬를 적용한 디자인을 제시하고자하며 전통 복식미의 현대적인 활용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각 잇기, 자수, 직조 방법의 변화와 같이 구조적인 변화가 아닌 텍스타일 디자인 개념의 문양이나 장식물의 변화로 넥타이에 무늬를 표현하여 실제적인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의 디자인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남성들의 장신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넥타이 디자인에 한국 전통 남성 장신구인 입, 입영, 망건식의 조형미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도는 한국 특유의 전통과 감성을 가진 고유의 문화상품 제안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형태에서는 갓의 한국적인 곡선과 갓끈의 좌・우로 흔들리는 한국적인 리듬감을 율동미로 제시하였고, 색상에서는 오방색을 기초로 한 원색과 백색의 조화를 강조미로 제시하였다. 소재에서는 한국 전통소재의 거칠고 소박한 이미지와 여백의 이미지를 자연미로 제시하였다. 조형미 분석결과 율동미, 강조미, 자연미로 제시되었으며, 이를 넥타이 디자인에 적용하여 디자인 1, 2, 3, 4 로 표현하였다.
  •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갓끈을 착용 위치와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 활동적인 이미지, 남성의 목장신구 중 장식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넥타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갓끈 끝에 부착된 술이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면서 한국적인 리듬감이 표현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넥타이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한국적 조형요소를 적용한 넥타이 디자인 개발은 현재의 복식이 서양의 것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이는 현재의 상황에 있어서 한국 전통문화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발전적인 방향을 탐구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의미가 있으며, 한국 남성 장신구 조형미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갓끈의 선은 전통한복의 고름, 배래선, 치마의 주름에서 보이는 선과 같이 정적인 순간에는 직선이지만 동적인 움직임과 함께 곡선이 되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김민자, 2009). 이에 갓끈의 좌・우로 흔들리는 이미지를 한국적인 리듬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 색은 각 시대, 풍습, 문화 등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상징적 이미지와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현재 전통복식이라 표현하는 조선시대 복식의 고유한 색채현상인 백색 애호사상과 화려함과 강렬한 원색의 조화(금기숙, 1988) 중 흑색과 원색의 사용을 통해 시각적으로 대비되는 이미지를 주고자 하였다.
  • 또한 관자는 한국 전통 남성의 장신구에 있어서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지만 형태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다. 이처럼 중요성이 큰 한국 전통 남성 장신구의 조형미를 도출하기 위해 갓, 갓끈, 관자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 한국 전통 남성 장신구의 형태적 특징을 통해 남성 장신구에 표현된 조형미를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적 패션디자인을 위한 전통미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김민자의 연구에 제시된 전통복식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가치에 대한 기준을 참고 하였다.

가설 설정

  • 한국 전통 남성 장신구에는 두식, 수식, 입식, 요식품 등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발달하였으며, 그 중 최고의 장신구는 조선시대 상류층 남성들의 멋이 집약된 두식이라 할 수 있다(장숙환, 2009). 그러나 한국 전통 남성 두식은 그 범위가 너무 광대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입 중갓, 입영, 망건식 중 관자로 한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식분야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렇기 때문에 전통 문화유산을 활용하고 현대에 맞도록 발전시키는 것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과제이자 의무이다(최경숙, 2001). 특히 복식분야는 문화의 전체 영역 중에서도 현대와 전통을 조화시킨 제품을 직접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중에게 자연스럽게 수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신초식남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0세기 이전의 남성은 외모를 치장하는 것에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을 문화규범으로 생각하여 단조롭고 제한적인 스타일을 추구하였으나 최근에는 남성들의 이미지와 자기관리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다양한 스타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에 따라 ‘자기관리가 철저한 남자’라는 의미의 ‘신초식남’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현대의 남성들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해서 의복뿐만 아니라 헤어 스타일, 액세서리와 같은 외모 단서의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사회와 문화적 환경에 대한 적응을 수행 하고자한다(송원영, 2009).
한국 전통사회의 남성들이 여성들 못지않게 화려하고 다양한 장신구를 착용한 예로 무엇이 있는가? 한편 한국 전통사회의 남성들도 동시대 여성들 못지않게 화려하고 다양한 장신구를 착용해왔다. 특히 조선시대 남성의 두식(頭飾)은 단조로운 남성 스타일에 포인트가 되어 장식적인 역할을 하였다. 남성의 두식 중 입(笠)은 흑색 갓을 의미하는 것으로 성인 남성의 관모 중 하나이고, 입영(笠纓)은 갓을 머리에 고정하는 갓끈을 의미하는 것으로 턱 아래에 긴 띠의 형식으로 되어 긴 길이의 띠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좌ㆍ우로 흔들리면서 동적인 이미지를 형성한다. 망건식(網巾纓)에는 풍잠과 관자가 있으며 이는 의관을 정제하기 위해 착용하는 갓과 함께 남성 장신구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명관. (2001).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2. 강진주. (2003). 남자는 스타일로 승부한다. 서울: 리즈앤북. 

  3.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4). 한국 전통 매듭: 균형과 질서의 미학.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4.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민자. (2009).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 김은정, 임린. (2009). 역사 속의 우리옷 변천사.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7.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편). (2001). 우리 옷 이천 년. 서울: 미술문화. 

  8. 송원영. (2009). 남성의 액세서리 착용과 헤어스타일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엄지은. (2007).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유송옥. (1998). 韓國服飾史. 서울: 修學社. 

  11.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12. 장숙환. (2003). 전통 남자 장신구. 서울: 대원사. 

  13. 장숙환. (2009). 조선후기 笠纓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1), 1-16. 

  14. 전재국. (1997). 남자의 옷 이야기 1. 서울: 시공사. 

  15. 정용순. (2016). 전통조각보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조형디자인연구, 19(4), 9-28. 

  16. 정흥숙. (1992). 서양복식사. 서울: 교문사. 

  17. 최경숙. (2001). 한국 전통미의 조형적 표현 연구 : 전통장신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홍선영. (2008). 한국 전통 장신구를 모티프화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문화상품디자인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