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층 건축공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설계단계의 시공엔지니어링 업무 도출 - 가설공사를 중심으로 -
Identifying Construction Engineering Tasks at the Design Phase for Enhancing Constructability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Focused on Temporary Work -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7 no.5, 2017년, pp.453 - 463  

이진웅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  조규만 (School of Architecture, Chosun University) ,  김태훈 (School of Architecture, Chosu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물의 고층화와 규모의 증가로 인해 프로젝트 설계단계에서의 시공성을 반영한 엔지니어링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설계단계에서의 가설작업을 위한 설비, 장비 및 공법과 관련된 엔지니어링 기술적용의 노력은 시공성 및 프로젝트 성과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축공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가설공사를 중심으로 설계단계에 요구되는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면접을 통해 27개의 예비 업무를 도출하였으며, 그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업무의 필요성 및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골조공사 및 양중장비 계획과 관련된 대부분의 업무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21개의 엔지니어링 업무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업무는 크게 1)골조공사 및 측량/동선계획, 2)양중 및 콘크리트 압송계획, 3)공간구획계획, 4)용수계획, 5)가설건물 및 전력/조명계획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설계단계에서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프로세스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buildings and scale, the importanc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that reflects the constructability from the design stage of the project is increasing. Especially, engineering efforts related to facilities,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temporary work a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설공사를 대상으로 한 시공엔지니어링업무 도출을 위해 국내 고층 건축물의 가설공사계획 및 시공성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공성 향상을 위한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는 크게 1) 가설건물, 2) 골조공사, 3) 양중장비, 4) 측량/계측 및 동선, 5) MEP로 분류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고층 건축물은 엔지니어링 도입 필요성 및 효과, 전문가 면담 결과를 고려하여 40층 이상의 규모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가설공사를 대상으로 한 시공엔지니어링은 가설 및 장비 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거나 최적의 해법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정의되며, 이를 설계단계에 진행함으로서 설계변경 및 재작업 등 프로젝트 운영상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고, 본공사 진행시 시공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업무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시공엔지니어링 업무의 범위는 기존 가설공사계획에 필요한 주요 공사 지원 시설 및 설비, 장비, 공법 등을 포함하는 반면, 안전시설(안전 발판, 가설울타리, 가설 구대 등), 토공사를 위한 공사용 가설시설물, 비계 등은 설계단계에서의 엔지니어링 적용성이 낮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 각 집단간 업무 인식 차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수행하였다. 이는 두 표본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검토할 때 사용하는 분석방법으로[34],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간 각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들의 필요성 및 중요도 값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E1.
  • [18]은 국내 건축공사의 설계단계에서 시공엔지니어링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적용효과, 장애요인 및 필요 업무 등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시공엔지니어링업무의 효율적인 도입을 위해 전문가 양성 및 업무수행효과의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더불어 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 정립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의 설계단계에서 요구되는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우선적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 특히, 설계단계의 적절한 시점에서의 엔지니어링 수행은 시공성 및 전반적인 프로젝트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반드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축공사의 가설시설, 설비 및 장비운영을 효율적으로 도모하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요구되는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문헌고찰 및 전문가 집단면접을 통해 27개 예비업무를 도출하였으며, 설문조사 및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1) 골조 및 측량/동선계획, 2) 양중장비 및 압송계획, 3) 공간구획계획, 4) 용수계획, 5)가설건물 및 전력/조명계획의 5개 대분류 및 21개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제시하였다.
  • 특히, 설계단계에서의 가설작업을 위한 설비, 장비 및 공법과 관련된 엔지니어링 기술적용의 노력은 시공성 및 프로젝트 성과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축공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가설공사를 중심으로 설계단계에 요구되는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면접을 통해 27개의 예비 업무를 도출하였으며, 그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각 업무의 필요성 및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축공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가설공사를 중심으로 설계단계에 요구되는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설계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시공엔지니어링 업무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국내 건설업체의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 및 프로젝트 운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시공엔지니어링을 설계단계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참여주체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요구되므로 각 집단의 업무 인식에 대한 차이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CM업무자 집단과 시공자 집단간의 업무 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계단계에서 건축 프로젝트의 가설공사를 위한 시설, 설비, 장비 및 공법과 관련한 엔지니어링 노력으로 할 수 있는 것은? 한편, 설계단계에서 건축 프로젝트의 가설공사를 위한 시설, 설비, 장비 및 공법과 관련한 엔지니어링 노력은 시공 효율성 및 성과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Peurifoy and Oberlender[4]는 설계단계에서 거푸집공사의 시공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를 진행할 시 빠른 숙련도 향상에 따른 공기단축 및 약 25%의 골조공사비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건축물의 규모가 증가될수록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시공 경험 및 지식을 활용한 설계 결과물은 어떻게 전반적인 프로젝트 운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는가? 건축물의 고층화와 규모 증가에 따라 프로젝트의 설계단계에서부터 시공성(Constructability)을 반영한 엔지니어링 및 이에 따른 설계 수행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1]. 설계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의사결정은 프로젝트의 시공 성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2], 이에 적절한 시점에서 시공 경험 및 지식을 활용한 설계 결과물은 시공성 향상, 설계변경 및 재작업 최소화를 통해 전반적인 프로젝트 운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3]. 국내에서도 설계단계에서 설계감리, VE(Value engineering) 제도의 도입 등을 통한 시공성 향상 노력을 보이고 있으나 참여자 구성 및 시행시기 측면에서 근본적인 설계 성능 향상에 한계를 갖는다[2].
거푸집공사의 시공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를 진행할 시 빠른 숙련도 향상에 따른 공기단축 및 약 25%의 골조공사비 절감효과를 가져온다는 연구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적용 현황은? 일례로Peurifoy and Oberlender[4]는 설계단계에서 거푸집공사의 시공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를 진행할 시 빠른 숙련도 향상에 따른 공기단축 및 약 25%의 골조공사비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건축물의 규모가 증가될수록 크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경우 가설공사의 시공성 검토 기술은 주로 시공 계획단계에 국한된 채 거푸집, 양중장비 등의 생산․판매 또는 관련 전문건설업체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시공엔지니어링기술력 확보 및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im MH. Management and organization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Seoul(Korea): Kimoondang; 2006. 425 p. Korean. 

  2. Pulaski MH, Horman MJ. Organizing constructability knowledge for desig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5 Aug;131(8):911-9. 

  3. Arditi D, Elhassan A, Toklu YC. Constructability analysis in the design firm.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2 Apr;128(2):117-26. 

  4. Peurifoy RL, Oberlender GD. Formwork for Concrete Structures. 4th ed. United Stated of America: McGraw-Hill; 2011. p. 35-132. 

  5. Fischer M, Tatum CB. Characteristic of design-relevant constructability knowledg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997 Sep;123(3):253-60. 

  6. Othman AAE. Improving building performance through Integrating constructability in the design process. Organiz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in Construction. 2011 Feb;3(2):333-47. 

  7. Lam PTI, Wong FWH, Chan APC. Contributions of designers to improving buildability and constructability. Design Studies. 2006 Jul;27(4):457-79. 

  8. Fisher DJ, Anderson SD, Rahman SP. Integration constructability tools into constructability review proces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0 Mar/Apr;126(2):89-96. 

  9. Oh JW, Song KR, Ahn Y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nstructability in construction project proces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2 Dec;18(12):157-64. 

  10. Park M, Ham Y, Lee HS, Kim WY. Development of design process management model using dependency structure matrix for constructability.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0 Sep;11(5):65-74. 

  11. Yoon H, Kim YS. Analysis of constructability factors affecting on the productivity of tall building construction : with focus on the area of steel work.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4 Jul;15(4):30-8. 

  12. Kim DS, Choi HM, Kim JH. A proposal BIM work process to support construct-ability analysis from practitioners viewpoi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4 Oct;14(6):561-9. 

  13. Park JS, Hyun CT, Hong TH, Park SH, Moon HS.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improving constructability in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9 Dec;25(12):197-206. 

  14. Jang JS, Park SH, Lee DH, Song SH, Choi MS, Lee JK. Method of construction stability for the curved concrete pylon of cable stayed bridge by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Proceeding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2016 May 11; Yeosu, Korea. Seoul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2016. p. 691-2. 

  15. Son Y, Hong HS, Paik H, Cho N. Construction engineering of the 3rd bosphorus brid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016 Oct;64(10):74-8. 

  16. Kim SI, Lee GJ, Yang GJ, Kim KS. Review on the behavior and construction method changing of steel composite stayed-cable bridge by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Korea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article. 2009 Sep;21(5):35-43. 

  17. Shon YJ, Jang KS. Understanding temporary work engineering. The Korean Structure Engineers Association. 2008 Sep;15(3):80-5. 

  18. Lee JW, Cho K, Kim T. Basic research on applying temporary work engineering at the design phase. International Journal of Civil, Environmental, Structural,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2017 Feb;11(2):214-7. 

  19. Lee JS, Kwon W, Chun JY. Web-based knowledge database of temporary facility site-layout planning for high-rise buildings. Proceeding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2003 Apr 12; Samcheok, Korea. Seoul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3. p. 427-30. 

  20. Ahn BJ, Kim JJ, Kim K, Kim SG.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ite layout in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999 Dec; 15(12):107-18. 

  21. Kim T. Advanced system formwork and construction planning model for tall building construction [dissertation]. [Seoul (Korea)]: Korea University; 2013. 1-3 p. 

  22. Jung YC. Lee BY, Kim GH. Application possibility of folding pre-fabricated rebar cage in domestic construction field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0 Apr;10(2):125-32. 

  23. Kim MS. A study on the planning for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project [dissertation]. [Busan (Korea)]: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0. 70 p. 

  24. Ahn BJ. A decision-making model of integrated vertical and horizontal move plan for finishing material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dissertation].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2004. 190 p. 

  25. Park MS, Ha SB, Lee HS, Kim SY. An optimization model of temporary lift’s vertical zoning for worker lifting operation in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1 Nov;27(11):193-202. 

  26. Ahn BJ, Kim JJ, Jee N. Planning an optimized horizontal move for finishing material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1 Aug;17(8):119-30. 

  27. Lim YJ, Yun JI, Joung EI, Lee SJ. A study on the emergency exitways in super high-rise buildings. Proceeding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2007 Oct 26; Chungju, Korea. Seoul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7. p. 355-8. 

  28. Choi GL, Kang SJ. Disaster prevention plan during the construction of super high-rise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3 Jun;3(2):50-5. 

  29. Sho KH, Jung DW, Yang KY. A study on the survey method for compensation of column shortening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section). 2003 May;19(5):169-76. 

  30. Lee JH. A study on the design of heating and cooling system in super high-rise building [dissertation]. [Seoul (Korea)]: Chung-Ang University; 2013. 69 p. 

  31. Cho JK, Jeong CS, Kim BS. The energy conservational HVAC system design approaches of the large-scale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section). 2008 Jun;24(6):347-54. 

  32. Cho CS. Water supply system planning of high-rise building. Korean Association of Air Conditioning Refrigerating and Sanitary Engineers. 2005 Jan; 22(1):36-41. 

  33. Chun BJ. A study on development of fire protection system in super high rise building [dissertation]. [Suwon (Korea)]: Kyonggi University; 2009. 58 p. 

  34. Kim WP. Basic Statical Analysis. Seoul(Korea): WiseIN Company; 2017. 328-74 p. 

  35. Chen Y, Okudan GE, Riley DR. Sustainable performance criteria for construction method selection in soncrete building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0 Mar;19(2):235-44. 

  36. Lee HS, Lim JH.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12.0 manual. Paju(Korea): Bobmunsa; 2005. Chapter 14, Factor analysis; p.338-64 

  37. Song JH. SPSS/AMOS Statistic analysis method. 2nd ed. Paju(Korea): 21CBOOK; c2013. Chapter 7, Factor analysis; p.61-114. 

  38. Jung CY, Kim JJ, Jung YG. Recycling factor analysis on wood wastes in the construction site by classification origination reas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7 Feb;8(1):107-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