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이 적용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강우 특성에 따른 효율 분석
Analysi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Removal Efficiencies according to Rainfall Characteristics in Low Impact Development Facilities with Vegetation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3 no.3, 2017년, pp.247 - 255  

구수환 (대림산업) ,  임지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어성욱 (우송대학교 철도건설시스템학부) ,  길경익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removal efficiencie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NPS) in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with vegetation. In this research, removal efficiencies of NPS were calculated using rainfall monitoring data for 5 years in grassed swale (GS) and vegetative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 서 비점오염물질은 대부분 입자상 물질로 존재하며 시설로 유입되기 떄문에 현재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효율 검증은 입자상 물질의 저감 효율로 실시하고 있다(Kwon, 2011; MOE, 2014). 따라서 TSS의 저감 효율 분석으로 해당 시설의 강우 특성에 따른 비점오염 물질 저감 효율 변화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절의 강우 특성에 따른 저감 효율 분석에서는 3.
  • 본 연구에서는 식생이 적용된 비점오염 저감시설 (식생수로와 식생여과대)에서 5년간의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강우 특성이 비점오염 저감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외에도 유입수 유출 특성과 EMC를 분석하여 해당 시설 배수 구역 토지 이용의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을 분석하고, 강우 모니터링 자료 기반으로 한 연구 대상 시설의 비점오염 저감효율을 산정하였다.
  • 5절에서 분석된 결과 식생수로와 식생여과대에서 일정 강우량과 평균 강우강도 이상 강우에서는 50% 이상의 TSS 저감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강우량, 평균 강우강도 그리고 TSS 저감 효율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TSS 저감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건기일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건기일수는 토양의 함수율과 관계가 있기에 추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 저감 시설에는 무엇이 있는가? 비점오염 관리 초기에는 단지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오염부하량을 감소시켜 수계 수질을 보호하고자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면, 최근에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효과 이외에 유출량 저감, 지하수 충진 등과 같은 효과를 보유한 비점오염 저감 시설이 주목을 받고 있다(Lee, 2016; Valinski and Chandler, 2015). 이와 같은 시설들은 Low Impact Development(LID) 시설이라 구분하며, 대표적으로 식생수로, 식생여과대, 인공습지 및 침투 저류지 등이 이에 속한다(Hong and Kim, 2016). LID 시설에 포함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공통점은 비점오염 물질의 농도 저감과 더불어 유출량 저감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Lee et al.
팔당호의 오염부하량 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얼마인가? 특히, 일부에서는 비점오염으로 인한 오염부하량은 수계별로 차이가 있지만,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같은 점오염원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Gil et al., 2011a) 또한 팔당호의 경우에는 오염부하량의 약 45% 정도가 비점오염원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Gil et al., 2011b).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시설로 선정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시설은 경기도 A시에 위치하고 있는 식생수로와 식생체류지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시설인 식생수로와 식생체류지는 식생이 적용된 대표적인 비점오염 저감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il, K., Kim, T., and Jung, M. (2011a).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South-Han River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and Dry Seas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7(3), 306-313. [Korean Literature] 

  2. Gil, K., Shin, J., and Hur, J. (2011b). Loading of Organic Matter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into Lake Paldang during Non-storm Peri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7(4), 433-437. [Korean Literature]. 

  3. Li, H., Li, K., and Zhang, X. (2016). Performance evaluation of grassed swales for stormwater pollution control, Procedia Engineering, 150, 898-910. 

  4. Haukos, D., Johnson, L., Smith, L., and McMurry, S. (2016). Effectiveness of Vegetation Buffers Surrounding Playa Wetlands at Contaminant and Sediment Amelior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81, 552-562. 

  5. Hong, J. and Kim, L. (2016). Assessment of Performances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with Vege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3(2), 100-109. [Korean Literature] 

  6. Humann, M., Schuler, G., Muller, C., Schneider, R., Johst, M. and Caspari, T. (2011). Identification of Runoff Processes-The Impact of Different Forest Types and Soil Properties on Runoff Formation and Floods, Journal of Hydrology, 409, 637-649. 

  7. James, H., Allen, P., Eliea, J., and Kim, H. (2012). Performance of Grass Swale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from Highway Runoff, Water research, 46, 6731-6742. 

  8. Jeon, C., Kown, K., Lee, S. and Lee, J. (2013). EMC and Unit Loads of Pollutants Generated from Tomato Cultivation during Rainfall,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5(4), 555-566. [Korean Literature] 

  9. Kwon, K. (2011). Characterization of Runoff Properties of Non-point Pollutant from Various Landuse Watersheds and Evaluation of BMPs/ Docto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Korean Literature] 

  10. Lee, B. and Gil, K. (2008). Effect of Plant Coverage on the Treatment Efficiency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Vegetative Filter Stri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4), 499-503.[Korean Literature] 

  11. Lee, B., Jung, Y., Park, M, and Gil, K. (2008). A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Kyong-an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2), 169-173. [Korean Literature] 

  12. Lee, D. (2016). Restoration of Water Cycle by a Rainwater Management System Applied to Low Impact Development (LI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3(2), 130-133. [Korean Literature] 

  13. Lee, E., Son, H., Kang, H., and Kim, L. (2007).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from Highway Toll Gate Landu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9(4), 185-192. [Korean Literature] 

  14. Lee, S., Choi, J., Hong, J., Choi, H., and Kim, L. (2016). Cost-effective Assessment of Filter Media for Treating Stormwater Runoff in LID Facilitie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2), 194-200.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4). Manual for the BMPs Installation, Management and Maintenanc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Korean Literature] 

  16. Moore, T. and Hunt, W. (2012). Ecosystem Service Provision by Stormwater Wetland and Ponds - A Mean for Evaluation, Water research, 46, 6811-6823. 

  17. Shin, J. and Gil, K. (2015). Determination of Removal Efficiency using Vegetative Filter Strips based on Various Efficiency Evaluation Method, Environmental Earth Science, 73, 6437-6444. 

  18. Valinski, N. and Chandler, D. (2015). Infiltration Performance of Engineered Surfaces Commonly Used for Distributed Stormwater Manage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60, 297-305. 

  19. Wee, S., Kim, L. H., Jung, Y., and Gil, K. (2008). Washoff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of Nonpoint Pollutants in a Bridge Storm Runoff,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3), 378-382.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