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적재하시험을 통한 PSC 거더교의 횡분배 측정
Lateral Load Distribution Estimation of a PSC Girder Bridge from Dynamic Loading Test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1 no.3, 2017년, pp.60 - 68  

김성완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  정진환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  김성도 (경성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 ,  박재봉 (한국시설안전공단 시설성능연구소) ,  이명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초록

교량은 사회간접시설물의 핵심이 되는 도로의 주요 시설물이므로 공용기간 동안 안정성과 사용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건설되며, 교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현재 상태에서 건전성을 평가하는 것은 유지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내하력 평가를 위해 차량재하시험을 통하여 횡분배율을 측정함으로써 교량의 중첩거동 및 대칭거동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공용중인 교량의 횡분배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적재하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교통통제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적재하시험 및 상시진동시험에서 측정된 교량의 변위응답 데이터를 경험적 모드분해기법을 이용하여 정적 성분의 변위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정적 성분의 변위를 이용하여 횡분배율을 추정하였으며, 정적재하시험에서 측정된 횡분배율과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bridge is the main facility of the road that is the core of the civil infrastructure, the bridge is constructed to ensure stability and serviceability during the traffic use.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bridges, evaluating the integrity of bridges at present is an important task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량의 횡분배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적재하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공용중인 교량에서는 차량을 통재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통재가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교통흐름에 방해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을 통재하지 않고 횡분배율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 계측된 변위응답은 교량의 정적 및 동적인 성분 모두 포함되어 계측되므로 교량의 횡분배율 측정을 위해 필요한 정적인 성분은 경험적 모드분해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모드분해기법을 이용하여 교량의 횡분배율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적재하시험 및 상시진동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정적재하시험을 통하여 측정한 횡분배율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적재하시험을 이용하여 횡분배율 측정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적재하시험과 동적재하시험을 수행하여 두 시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차량재하시험의 각 Load Case는 Table 2와 같으며, Load Case1, 5 및 9는 정적재하시험이며 나머지 Load Case는 동적재하시험이다.
  • 노후화된 교량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유지관리가 필요한 교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교량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횡분배율을 측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의 통행 상태에서 횡분배율 측정하는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정적재하시험, 동적재하시험 및 상시진동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량의 주형간에 어떠한 연결 구조가 없는 경우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교량의 주형간에 어떠한 연결 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하중이 작용한 주형만이 휨이 발생하게 되나 교량에는 주형 간에 연결하는 교축직각방향의 하중 전달 구조가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하나의 주형에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하중의 일부분이 횡방향으로 연결된 하중 전달 구조에 의하여 이웃하는 주형에 하중을 횡분배하게 된다.
교량의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교량의 시공품질이 양호하고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성질과 외적으로 작용하는 환경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교량은 설계당시에 설정한 설계수명 및 내구년동안 안전하게 교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교통 환경의 변화 및 재료의 열화 등과 같은 여러 원인에 의해서 손상을 받게 되기 때문에 적절한 유지관리를 통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안전성과 사용성을 확보(Chang et al., 2003; Wang et al., 2011)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현재상태에서 교량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것은 교량의 유지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교량이란? 교량은 사회간접시설물의 핵심이 되는 도로의 주요 시설물로 공용기간 동안 안정성과 사용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건설된다. 교량의 시공품질이 양호하고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성질과 외적으로 작용하는 환경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교량은 설계당시에 설정한 설계수명 및 내구년동안 안전하게 교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ng, P. C., Flatau, A.,and Liu, S. C. (2003), Review Paper: Health monitoring of civil infrastructur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2(3), 257-267. 

  2. Chang, S. J., and Kim, N. S. (2012), Estimation of Displacement Response from FBG Strain Sensors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Technique, Experimental Mechanics, 52(6), 573-589. 

  3. Cheng, J., Yu, D., and Yang, Y. (2006). Research on the intrinsic mode function (IMF) criterion in EMD method, 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 20, 817-824. 

  4. Huang, N. E., Shen, Z., Long, S. R., Wu, M. C., Shih, H. H., Zheng, Q., Yen, N. C., Tung, C. C., and Liu, H. H. (1998).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and the Hilbert spectrum for nonlinear and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Royal Society of London Proceedings Series A, 454, 903-995. 

  5. Jung, C. M. (2011), Investigation of the behavior of lateral load distribution of railway PSC girder bridg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 422-428. 

  6. Kim, S. W., Lee, S. S., Kim, N. S., and Kim, D. J. (2013), Numerical model validation for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by using image signal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7(3), 509-517. 

  7. Ohgaki, K., Yabe, J., Kawaguchi, Y. F. (1999), Experimental study on ultimate strength of plate girders with large web aspect ratio and web width to thickness ratio, 2nd European conference on steel structures. 

  8. Tarhini, K. M., and Frederick, G. R. (1992), Wheel Load Distribution in I-Girder Highway Bridg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18(5), 1285-1294. 

  9. Wang, N., O'Malley, C., Ellingwood, B. R., and Zureick, A. H. (2011), Bridge rating using system reliability assessment. I: Assessment and verification by load testing.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16, 854-862. 

  10. Yoon, D. Y. and Eun, S. W. (2006), Effect of cross beams on live load distribution in rolled H-beam brid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18(5), 535-541. 

  11. Yoon, D. Y. and Lee, S. C. (2005), Effects of Cross Beam on Live Load Distribution in Steel Box Girder Brid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1(1), 422-4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