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 하구둑 담수 방류에 따른 하구 건강성 평가
Assessment of Ecosystem Health during the Freshwater Discharge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1, 2017년, pp.46 - 56  

이다혜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박건우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이창희 (명지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산강 하구는 연안지역에 하구언이 축조되어 인공적으로 환경이 변화된 시스템이다. 또한 최근에는 담수역에 보가 건설되었고 담수 조류가 대증식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담수가 간헐적으로 하구언 수문을 통해 해수역으로 방류되면서 하구의 해수역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 변화에 대한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개 정점을 대상으로 담수 방류 이전과 이후 4일 동안 시행된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현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질 및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강성 평가를 위해 WQI, TRIX, P-IBI 등의 기법을 활용하였고 P-IBI 기준 설정을 위해 장기간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 공간적으로 하구언의 수문과 가까운 정점에서 건강성 등급이 낮았고 외해로 갈수록 등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간적으로는 평가기법에 따라 건강성 지수의 차이를 보였다. WQI와 TRIX는 방류 중에 지수가 증가하였다가 방류 후에 전 상태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P-IBI는 방류 후에 오히려 증가함으로써 건강성이 악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하구와 같이 급변하는 환경에서는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유생물인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지표로 포함된 P-IBI와 같은 기법이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Youngsan River estuary was physically changed by the construction of a sea embankment at near the mouth of estuary. Weirs were also constructed recently in the freshwater zone and it was reported that algal blooms occur more frequently. The freshwater introduced into saltwater zone from sluice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영산강 하구와 같은 변형된 특성을 가진 국내 하구의 건강성에 대한 평가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담수 방류와 같은 단기적 환경 변화에 대한 생태계의 건강성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류가 발생하기 전과 중, 그리고 방류 후에 조사 자료(Sin and Jeong, 2015)를 활용하여 담수 유입이 해양생태계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지표 (WQI, TRIX, P-IBI)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담수가 간헐적으로 하구언 수문을 통해 해수역으로 방류되면서 하구의 해수역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 변화에 대한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3개 정점을 대상으로 담수 방류 이전과 이후 4일 동안 시행된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현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질 및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강성 평가를 위해 WQI, TRIX, P-IBI 등의 기법을 활용하였고 P-IBI 기준 설정을 위해 장기간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 계수 및 동정에는 광학현미경 Axioskop 2 MAT (Carl Zeiss®, Germany)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in and Jeong (2015)이 보고한 우점종의 개체수 그리고 전체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종수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건강성 지수와의 연관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영산강 하구를 대상으로 담수 유입이 영산강 하구의 수질 및 생태계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의 평가지표들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산강 하구에서 측정된 환경인자들은 하구둑의 담수 방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Si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란 무엇인가? 하구는 하천과 바다가 만나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전이수역으로 연간 최소 약 10조 원에 달하는 경제적 가치를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uffman, 2011). 또한 육상에서 공급되는 영양염에 의해 매우 생산적인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Ryther, 1969).
호주의 하구 관리 프로그램명은 무엇인가? 하구의 이러한 경제적, 생태적 가치와 오염의 가속화로 인해 미국에서는 하구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하여 국가하구프로그램 (Poole, 1996)을 수립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영국에서는 템즈하구프로그램 (TEP, 1999), 호주에서는 더웬트하구프로그램 (Humphries and Robinson, 1995) 등의 하구 관리 프로그램이 시행되면서 하구 오염의 최소화와 생태계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하구 관리 프로그램 중에서 하구의 수질 및 생물 서식지 상태를 평가하는 생태계 건강성은 해역의 오염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관리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van Niekerk et al.
하구의 부영양화나 적조 등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1997)은 실제로 하구의 유기물 생산량이 옥수수 밭의 4~10배에 달하며, 생태적 가치가 1 ha당 US$ 22,832 yr-1 로 지구상의 생태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동시에 연안에서의 인간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부영양화나 적조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수역이기도 하다(Li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eak, S.H., H.W. Choi and Y.O. Kim. 2010. A Preliminary study for marine ecosystem health assessment using the planktonic organism in Jinhae Ba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8: 125-132. 

  2. Borja, A., J. Franco and V. Perez. 2000.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ine Pollution Bulletin 40: 1100-1114. 

  3. Borja, A., A.B. Josefson, A. Miles, I. Muxika, F. Olsgard, G. Phillips, J.G. Rodriguez and B. Rygg. 2007. An approach to the intercalibration of benthic ecological status assessment in the North Atlantic ecoregion, according to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ine Pollution Bulletin 55: 42-52. 

  4. Carlson, R.E. and J. Simpson. 1996. A Coordinator's Guide to Volunteer Lake Monitoring Methods. North American Lake Management Society. p. 96. 

  5. Cho, Y.G. and K.Y. Park. 1998.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Youngsan Estuar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7: 549-557. 

  6.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R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7. Han, J.H. and K.G. An. 2012. The applications of a multi-metric LEHA model for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of lake ecosystems and the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 483-501. 

  8. Humphries, R. and S. Robinson. 1995. Assessment of the success of the Peel-Harvey estuary system management strategy - A Western Australian attempt at integrated catchment management.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2: 255-264. 

  9. Jeon, D.Y., S.L. Lee, J.W. Son, Y.U. Cha, K.W. Kwon and P.J. Yoo. 2010.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middle Reach of Suyoung River using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faun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 934-942. 

  10. Jung, S.W., O.Y. Kwon, S.M. Yun, H.M. Joo, J.H. Kang and J.H. Lee. 2014. Impacts of dam discharge on river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a regulated river system, the lower Han River of South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 1-11. 

  11.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 21-27. 

  12. Kauffman, G.J. 2011. Economic value of the Delaware Estuary Watershed. (Institute for public administration). 

  13. Kim, Y.O., H.W. Choi, M.C. Jang, P.K. Jang, W.J. Lee, K.S. Shin and M. Jang. 2007. A brief review of approaches using planktonic organisms to assess marine ecosystem health. Ocean and Polar Research 29: 327-337. 

  14. Kwon, Y.S. and K.G. An. 2006. Biological stream health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Keum-Ho 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9: 145-156. 

  15. Lacouture, R.V., J.M. Johnson, C. Buchanan and H.G. Marshall. 2006. Phytoplankton index of biotic integrity for Chesapeake Bay and its tidal tributaries. Estuaries and Coasts 29: 598-616. 

  16. Li, H.M., H.J. Tang, X.Y. Shi, C.S. Zhang and X.L. Wang. 2014. Increased nutrient loads from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have led to increased Harmful algal blooms. Harmful Algae 39: 92-101. 

  17. Li, J.P., S.K. Dong, S.L. Liu, Z.F. Yang, M.C. Peng and C. Zhao. 2013. Effects of cascading hydropower dams on the composition, biomass and biological integrity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the middle Lancang-Mekong River. Ecological Engineering 60: 316-324. 

  18. Llanso, R.J. and D.M. Dauer. 2002. Methods for calculating the Chesapeake Bay benthic index of biotic integrity. Final report. Chesapeake Bay Benthic Monitoring Program p. 24. 

  19. Ludwig, J.A. and J.F. Reynolds. 1988. Statistical ecology: 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Wiley. 

  20. Lugoli, F., M. Carmendia, S. Lehtinen, P. Kauppila, S. Moncheva, M. Revilla, L. Roslli, N. Slabakova, V. Valencia, K.M. Dromph and A. Basset. 2012. Application of a new multimetric phytoplankton index to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status in marine and transitional waters. Ecological Indicators 23: 338-355. 

  21. Margalef, R. 1958. Temporal succession and sparial heterogeneity in phytoplankton. pp. 323-347. In: Perspectives in Marine biology (Buzzati-Traverso, ed.). Univ. Calif. Press, Berkeley.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3. Muxika, I., A. Borja and J. Bald. 2007. Using historical data, expert judgement and multivariate analysis in assessing reference conditions and benthic ecological status, according to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ine Pollution Bulletin 55: 16-29. 

  24. Park, H.B., K.R. Kang, G.H. Lee and H.J. Shin. 2012.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temperature due to the freshwater discharge in the Yeongsan Estuary in the summer of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139-148. 

  25.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ess. 

  26. Poole, S. 1996. Recent development and announcements - The United State States National Estuary Program. Ocean & Coastal Management 30: 63-67. 

  27. Ra, K.T., J.K. Kim, E.S. Kim, K.T. Kim, J.M. Lee, S.K. Kim, E.Y. Kim, S.Y. Lee and E.J. Park. 2013. Evalu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Lake Shihwa and outer sea by using water quality index in Korea: a case study of influence of tidal power plant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6: 102-114. 

  28. Rapport, D.J. 1998. Dimensions of ecosystem health. pp. 34-40. In: Ecosystem health. Blackwell, Oxford. 

  29. Rapport, D.J. 1999. Epidemiology and ecosystem health: Natural bridges. Ecosystem Health 5: 174-180. 

  30. Rapport, D.J., C. Thorpe and H.A. Regier. 1980. Commentary: Ecosystem medicine. pp. 180-189. In: Perspectives on Adaptation, Environment and Population. Praeger, New York. 

  31. Ryther, J.H. 1969. Photosynthesis and fish production in the sea. The production of organic matter and its conversion to higher forms of life vary throughout the world ocean. Science 166: 72-76. 

  32. Shin, Y.S. and B.B. Yoon. 2011. Change in taxonomic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fter construction of Dike in Yeongsan River Estuar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9: 212-224. 

  33. Shin, Y.S., H.S. Yu, H.Y. Lee, D.H. Lee and G.W. Park. 2015. The change in patterns and conditions of algal blooms resulting from construction of weirs in the Youngsan River: long-term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 238-252. 

  34. Sin, Y.S., B.K. Hyun, B.K. Jeong and H.Y. Soh. 2013. Impacts of eutrophic freshwater inputs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in a temperate estuary altered by a sea dike.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85: 54-63. 

  35. Sin, Y.S. and B.K. Jeong. 2015. Short-term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response to anthropogenic stressors in a highly altered temperate estua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56: 83-91. 

  36. Sin, Y.S., E.J. Lee, Y.J. Lee and K.H. Shin. 2015. The riverestuarine continuum of nutri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an estuary physically divided by a sea dik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63: 279-289. 

  37.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38. TEP (Thames Estuary Partnership). 1999. Management Guidance for the Thames Estuary (Strategy). 

  39. van Niekerk, L., J.B. Adams, G.C. Bate, A.T. Forbes, N.T. Forbes, P. Huizinga, S.J. Lamberth, C.F. Mackay, C. Petersen, S. Taljaard, S.P. Weerts, A.K. Whitfield and T.H. Wooldridge. 2013. Country-wide assessment of estuary health: an approach for integrating pressures and ecosystem response in a data limited environment.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30: 239-251. 

  40. Vollenweider, R.A., F. Giovanardi, G. Montanari and A. Rinaldi. 1998. Characterization of the trophic conditions of marine coastal water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W Adriatic Sea: proposal for a trophic scale, turbidity and generalized water quality index. Environmetrics 9: 329-357. 

  41. Watanabe, T., K. Asai, A. Houki, S. Tanaka and T. Hizuka. 1986. Saprophilous and eurysaprobic diatom taxa to organic water pollution and diatom assemblage index (DAIpo). Diatom 2: 23-73. 

  42. Whittaker, R.H. 1972. Evolution and measurement of species diversity. Taxon 21: 213-251. 

  43. Yang, E.R., B.K. Jeong, E.J. Lee, D.K. Ryu and Y.S. Shin. 2014. Siz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related to anthropogenic environmental changes in Doam bay.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 1183-1197. 

  44. Yoon, B.B., E.J. Lee, T.A. Kang and Y.S. Shin. 2013. Long-term change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 a), environmental factors and freshwater discharge in Youngsan Estuary.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 205-214. 

  45. Zoriasatein, N., S. Jalili and F. Poor. 2013. Evaluation of ecological quality status with the trophic index (TRIX) values in coastal area of Arvand, Northeastern of Persian Gulf, Iran. World Journal of Fish and Marine Sciences 5: 257-2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