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일대 동래단층 연장성 확인을 위한 물리탐사 적용
Application of geophys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ongrae Fault in the Oedong-eup area, Gyeongju City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7 no.3, 2017년, pp.207 - 215  

황학수 (세코지오)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이철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이충모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성욱 ((주)지아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래단층 북단부는 경상북도 경주시 동남쪽 약 15km 떨어진 외동읍 구어리 일대에서 울산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 동래단층의 존재유무를 파악하고, 또한 동래단층대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표지질조사와 지구물리탐사(자력탐사, 전기비저항탐사, 주파수영역 전자탐사)를 수행하였다. 지질학적 자료와 지구물리탐사 자료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동래단층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동래단층의 주 연장방향이 N14E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 방향성에 의하면 동래단층은 관거리 입실교 부근에서 울산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충적층에 의해 덮여 있어서 야외 지표지질연구로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지구물리탐사에 의하면, 연구지역 내에서 단층파쇄대의 폭은 약 200 m 이상이며 그 폭은 연구지역의 북부보다 남부에서 더 넓은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orthern extension of the Dongrae Fault is inferred to transect the Ulsan Fault in the Gueo-ri area, Oedong-eup, ~15 km SE of Gyeongju City, Gyeongbuk province, S Korea. We conducted geological and geophysical (magnetic, electrical resistivity, and frequency domain electromagnetic) surveys to 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지구물리탐사들을 이용하여 충적층 하부에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동래단층의 북단부 위치와 단층파쇄대의 규모 및 주향연장성을 파악하고, 최종적으로 동래단층과 울산단층이 교차하는 삼중점의 위치를 해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교차삼중점이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외동읍내는 탐사환경(예, 전기자기잡음, 접촉저항 등)이 매우 불리하여 양질의 물리탐사자료를 획득하기가 불가능하다.

가설 설정

  • Fig. 8의 공면 루프배열과 동축 루프배열의 전자탐사 측정자료에 대한 1차원 복합역산에서 높은 전자반응을 보이는 구간은 3층 구조, 그 외의 측점에서는 2층 구조를 가정하여 지전기적 단면도를 만들었다. 지전기적 단면도에서70 Ω-m 이내의 낮은 전기비저항대가 측선의 600~750 m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 같은 결과는 전자탐사 단면·해석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래단층 북단부의 위치는? 동래단층 북단부는 경상북도 경주시 동남쪽 약 15km 떨어진 외동읍 구어리 일대에서 울산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 동래단층의 존재유무를 파악하고, 또한 동래단층대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표지질조사와 지구물리탐사(자력탐사, 전기비저항탐사, 주파수영역 전자탐사)를 수행하였다.
동래단층은 주 방향성에 의하면 어떻게 해석되는가? 지질학적 자료와 지구물리탐사 자료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동래단층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동래단층의 주 연장방향이 N14E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 방향성에 의하면 동래단층은 관거리 입실교 부근에서 울산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충적층에 의해 덮여 있어서 야외 지표지질연구로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지구물리탐사에 의하면, 연구지역 내에서 단층파쇄대의 폭은 약 200 m 이상이며 그 폭은 연구지역의 북부보다 남부에서 더 넓은 것으로 해석된다.
NNE-SSW 방향의 양산단층계 중 하나의 동래단층의 특징은? 1). 동래단층은 부산시의 동래에서 부터 울산시 서쪽 범서면 일대를지나 경주시 외동읍까지 NNE-SSW 방향으로 계곡을 따라 발달되며, 서쪽의 양산단층과는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동래단층은 울산을 가로지르는 태화강을 중심으로 남쪽 지역 지질도폭(Lee and Lee, 1972)과 양산지역지질도폭(Lee and Kang, 1964)에는 그 연장이 잘 기재되어 있으나, 그 보다 북쪽의 울산지역 지질도폭(Park and Yoon, 1968)과 감포지역 지질도폭(Tateiwa, 1922)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hwae, U., Lee, D. Y., Lee, B. J., Ryoo, C. R., Choi, P. Y., Choi, S. J., Cho, D. L., Kim, J. Y., Lee, C. B., Kee, W. S., Yang, D. Y., Kim, I. J., Kim, Y., Yoo, J. H., Chae, B. G., Kim, W. Y., Kang, P. J., Yu, I. H., and Lee, H. K., 1998, An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capable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R-98(C)-22, 301p. 

  2. Jupp, D. L. B. and Vozoff, K., 1975, Stable interative methods for the inversion of geophysical data, Geophys. J. Int., 42(3), 957-976. 

  3. Kim, J. H., 1998, Dipro 4 for Windows user manual, Hee Song Geotek. Co. 

  4. Lee, M. S. and Kang, P. C., 1964, Geological map of Yangsan sheet, Sheet-7020-III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5. Lee, Y. J., and Lee, I. K., 1972, Geological map of Eonyang sheet, Sheet-7020-IV (1:50,000), Geological map of Korea. 

  6. Park, Y. D., and Yoon, H. D., 1968, Geological map of Ulsan sheet, Sheet-7020-I (1:50,000), Geological map of Korea. 

  7. Tateiwa, I., 1922, Gyeongju, Yeongcheon, Deagu, Waeguan geological sheet (1:50,000), Geological Atlas Chosen, No.10, Geological Survey of Chose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