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Members' Value Innovative Culture Perception on Innovative Performances and Management Outcomes -The Roles of Mediating Innovative Behaviors and knowledge-sharing- 원문보기

서비스연구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7 no.3, 2017년, pp.71 - 91  

이금심 (건양대학교 경영학과) ,  황복주 (건양대학교 마케팅비즈니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행동 및 지식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혁신행동과 지식공유를 매개로 조직의 혁신성과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함으로써 기업 경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각 변수의 측정변인들을 추출하고 가설검정을 위해 423명의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SPSS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과 LISREL 9.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개인 창의성의 창의적 사고기술과 조직의 가치혁신 문화 인식의 의미 있는 업무, 위험감수문화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의 가치혁신 문화 인식의 의미 있는 업무 요인만이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행동은 지식공유 및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영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는 혁신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corporate management by examining how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members' value innovation culture perception affect innovation behavior and knowledge sharing, and how innovation behavior and knowled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혁신행동이 혁신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지식공유가 이들의 성과에 미치는 구체적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혁신행동과 지식공유 두 변수가 혁신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파악은 필요하다고 하겠다.
  •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의 가치혁신문화에 대한 연구가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동시에 두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혁신행동 및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연구는 아주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이 혁신성과와 경영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의 가치혁신문화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개인의 창의적 사고기술, 전문성이 구성원들 간 공유되고, 자발적,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치혁신 중심의 조직문화일수록 지식공유가 강화되어 조직의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 이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문화에 대한 통섭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이며, 개별적인 측정 변수들 간의 관계에 집중하던 혁신 연구의 기존 방향에서 벗어나 개인 창의성과 조직의 가치혁신문화를 동시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혁신행동과 지식공유 간의 직접적 영향관계와 이들을 매개로 한 조직의 혁신성과와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검정함으로써 기업경영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정 결과를 종합해보면, 개인 창의성 하위차원의 창의적 사고기술과 조직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에서 의미 있는 업무와 위험감수문화는 혁신행동을 매개로 하여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혁신문화 인식의 의미 있는 업무 요인만이 지식공유를 매개로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 및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어떠한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이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문화에 대한 통섭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이며, 개별적인 측정 변수들 간의 관계에 집중하던 혁신 연구의 기존 방향에서 벗어나 개인 창의성과 조직의 가치혁신문화를 동시적으로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 문화 인식, 혁신행동, 지식공유, 혁신성과, 경영성과 간에 어떠한 관계를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이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모형은 다음 [Fig.
  • 개인 창의성은 다양한 변수들이 창의적 활동과정에서 상호관련이 있다(Lee and Kim, 2009).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보유한 전문지식, 창의적 사고기술을 통해 발생하는 아이디어가 높은 수준의 창의성이라고 주장한 Amabile(1995, 1998)의 연구를 기본으로 개인 창의성을 창의적 사고기술(creative thinking skills)과 전문지식(expertise)의 요인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 및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어떠한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이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문화에 대한 통섭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이며, 개별적인 측정 변수들 간의 관계에 집중하던 혁신 연구의 기존 방향에서 벗어나 개인 창의성과 조직의 가치혁신문화를 동시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혁신행동과 지식공유 간의 직접적 영향관계와 이들을 매개로 한 조직의 혁신성과와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검정함으로써 기업경영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기존의 연구는 개인의 창의적 사고기술, 전문성이 구성원들 간 공유되고, 자발적,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치혁신 중심의 조직문화일수록 지식공유가 강화되어 조직의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혁신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조직의 공동체적인 지식 공유는 중요한 요인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계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의 궁극적 목적은 기업의 성과를 창출하는 것(Kogut and Zander, 1992)으로 이는 기업의 경쟁우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2-1: 창의적 사고기술은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은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4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5는 기각되었다. 가설 2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의 가치혁신문화가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하기 위함이다. 창의적 사고 기술과 전문지식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각각 경로계수 -0.
  • 가설 3: 혁신행동은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혁신행동은 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지식공유는 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지식공유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 창의성 및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어떠한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 본 연구는 무엇을 시도한 결과인가?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 및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어떠한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이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문화에 대한 통섭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이며, 개별적인 측정 변수들 간의 관계에 집중하던 혁신 연구의 기존 방향에서 벗어나 개인 창의성과 조직의 가치혁신문화를 동시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혁신행동과 지식공유 간의 직접적 영향관계와 이들을 매개로 한 조직의 혁신성과와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검정함으로써 기업경영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인 창의성이란? 본 연구에서 개인 창의성이란 구성원 개인주체별 업무영역의 문제해결 및 새로운 영역활동 전개를 위한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조직의 가치혁신문화란? 본 연구에서 조직의 가치혁신문화란 새로운 가치 창출과 조직 구성원들이 혁신적인 사고방식이 정착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며,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체계화하여 역량을 강화하는 조직의 문화라고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mabile, T. (1998). How to Kill Creativity, Harvard Business Review, 76(5), 76-87. 

  2. Amabile, T. (1995). Discovering the Unknowable, Managing the Unmanageable, in Ford, C. and Gioia, D.(Eds), Creative Action in Organization: Ivory Tower Visions and Real World Voices, SAGE, 77-82. 

  3. Behavior of Nurse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4. Bhatt, G. (2001). Knowledge Management in Organization: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ies, Techniques, and People,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5(1), 76-85. 

  5. Bukhari, A. and Hilmi, M. (2012). Challenges and Outcome of Innovative Behavior: A Qualitative Study of Tourism Related Entrepreneurs,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Innovation, 7(2), 131-142. 

  6. Cha, J. H. (2014). The Effec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on Managerial Performances in Hospital Organizations: Focused on Roles of Mediating Organization Competencies,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차재희(2014), 의료기관 인증제도 인식이 병원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역 량의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Choi, S. B. and Lee, D. H. (2013).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Entrepreneurial and Market Orientations on Innov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s in Korean Venture and SMEs,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16(3), 109-129. (최석봉. 이도형(2013), 기업가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의 하위변수가 혁신성과 및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 벤처 및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략경영연구, 16(3), 109-129). 

  8. Choi, S. B. and Yang, P. S. (2011).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Innovation Performance : The Role of Core Self-Evaluations and Intrinsic Motivation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5), 2827-2848. (최석봉.양필석(2011), 혁신성과의 선행요인으로서 조직구성원의 개인특성에 관한 연구:핵심자기평가와 내재적 동기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4(5), 2827-2848). 

  9. Crosswhite, D. and Rufat-Latre, J. (2009). Systematically Innovate! What Sounds Like An Oxymoron is Actually a Recipe for Dependable Results, Business Strategy Series, 10(2), 79-85. 

  10. Damanpour, F. (1991). Organization Innovation: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3), 555-590. 

  11. Dillon, T., Lee, R. and Matheson, D. (2005). Value Innovation Passport to Wealth Creation,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48(2), 22-36. 

  12. Fiol, C. (1991). Managing Culture as a Competitive Resource: An Identity-based View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 191-211. 

  13.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Y: Basic Books. 

  14. Gardner, H., Gino, F. and Staats, B. (2012). Dynamically Integrating Knowledge in Teams: Transforming Resources into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5(4), 998-1022. 

  15. Grant, R. (1996). Toward a Knowledge-Based Theory of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7(2), 109-122. 

  16. Hamel, G. (1998). Strategy Innovation and the Quest for Value, Sloan Management Review, 39(2), 7-14. 

  17. Han, Y. J. (2012). Impact of Individual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n Innovative Behavior of Nurse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한윤자(2012),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이 간호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Hu, L. and Randel, A. (2014). Knowledge Sharing in Teams: Social Capital, Extrinsic Incentives, and Team Innovation,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39(2), 213-243. 

  19. Hult, G. and Ketchen, D. (2001). Does Market Orientation Matter? A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onal Advantage and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9), 899-906. 

  20. Hult, G., Hurley, R. and Knight, G. (2004). Innovativeness: Its Antecedents and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3(5), 429-438. 

  21. Janssen, O. (2000).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3), 287-302. 

  22. Kang, J. Y. and Kim, I. P.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otal Quality Management on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Innovation Performance, Korean Jouran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3), 1793-1813. (강종열.김일표(2012), 전사적 품질경영이 조직변화 수용성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5(3), 1793-1813). 

  23. Kaplan, R. and Norton, D. (1996).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29(1), 75-85. 

  24. Khanapuri, V., Soni, P., Sharma, S., Soni, M. and Shah, C. (2011). Assessing Value Innovation Potential of Indian Organiz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1301-1312. 

  25. Kim, H. J.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김흥재(2013), 조직구성원 혁신행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Kim, J. W. and Lee, J. W.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dimensional Innovative Behavior and Innovative Performance, Business Management Review, 46(1), 127-141. (김종우.이지우(2013), 다차원적 혁신행동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경제, 46(1), 127-141). 

  27. Kim, K. D. and Hong, W. S. (2011). Effect of Firm's Activities on Their Performance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4(2), 373-404. (김광두.홍운선(2011), 혁신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 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학회지, 14(2), 373-404). 

  28. Kim, M. J. and Kwon, G. H. (2015). The Effect of Transactive Memory System,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Application on Performance, Knowledge Sharing, Knowledge Application,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22(5), 249-267. (김문중.권기환(2015), 정보교류체제,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22(5), 249-267). 

  29. Kim, S. A. and Kim, Y. G. (200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Discovery Process, The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1), 91-107. (김선아.김영걸(2000), 조직지식 창출 프로세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식경영연구, 1(1), 91-107). 

  30. Kim, W. and Mauborgne, R. (2004). Blue Ocean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82(10), 76-84. 

  31. Kogut, B. and Zander, U. (1992). Knowledge of the Firm, Combinative Capabilities, and Replication of Technology, Organization Science, 3(3), 383-397. 

  32. Kwon, K. H. (2014). The effects of individual perceived organization's value innovation culture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champion behavior: Focus on SMEs and ventures companies of Daejeon regio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National Hanbat University. (권기환 (2014), 개인이 인지한 조직의 가치혁신문화가 개인창의성과 챔피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전 중소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한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Lee, D. R and Kim, T. Y. (2009). A Study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Individual Creativit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16(3), 167-192. (이덕로.김태열(2009), 개인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6(3), 167-192). 

  34. Lee, G. P. (2008).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novative Behaviors, and Innovation Performance: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Innovative Behavior, Department of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Dongyang University. (이건표(2008), 개인특성, 관계특성,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 다차원적 혁신행동을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Lee, G. S. (2017). The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the Perceptive Values of Innovative Cultures on Innovative Performances and Business Outcomes: The Roles of Mediating Innovative Behaviors and knowledge-shari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이금심(2017),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6. Lee, G. S., Hwang, B. J. and Lee, Y. H. (2016).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s Value Innovation Culture on Innovative Behavior and Innovation Performance, Korea Business Review, 31(4), 283-311. (이금심. 황복주.이영희(2016), 개인 창의성과 인식된 조직의 가치혁신문화가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1(4), 283-311). 

  37. Lee, G. S., Hwang, B. J. and So, K. S. (2016).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s Value Innovation Culture on Business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16(3), 143-169. (이금심.황복주.소권 섭(2016), 가치혁신문화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리회계연구연구, 16(3), 143-169). 

  38. Lee, J. W. (2013). The Influence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Innovation Behavior,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이주원(2013), 학교조직문화 유형이 혁신행동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Lee, K. H. (2015). The Effect of Creativity Management on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Dept. of Marketing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이근화 (2015), 창조경영이 혁신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Lee, M. S. and Kang, Y. S. (2003).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ve Behavior;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itu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7(1), 251-271. 이문선.강영순(2003), 창의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와 집단특성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7(1), 251-271). 

  41. Lim, S. J. (2012). Influenc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TQM Activ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Department of Accounting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임상종(2012), 조직의 지식 경영 및 TQM 활동 수준이 혁신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Lin, H. (2007). Knowledge Sharing and Firm Innovation Capability: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28(3/4), 315-332. 

  43. Mansfield, E. (2001). Size of Firm, Market Structure and Innov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71(6), 556-576. 

  44. Mintzberg, H. (1983). Power In and Around Origin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5. Nonaka, I. and Konno, N. (1998). The Concept of 'ba': Building a Foundation for Knowledge Cre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3), 40-54. 

  46. Oldham, G. and Cummings, A. (1996).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3), 607-634. 

  47. QI, H. L.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s shar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embers Cultural tendency,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기해란(2011),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및 구성원 문화성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Rosenbusch, N., Brinckmann, J. and Bausch, A. (2011). Is Innovation Always Beneficial?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nd Performance in SM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6(4), 441-457. 

  49. Salomo, S., Talke, K. and Strecker, N. (2008). Innovation Field Orientation and Its Effect on Innovativeness and Firm Performance, Th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5(6), 560-576. 

  50. Scott, S. and Bruce, R.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51. Shani, M. (2000). The Impact of Information on Medical Thinking and Health Care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58, 3-10. 

  52. West, M. and Farr, J. (1990). Innovation at Work, in West, M. and Farr, J.(eds.),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Chischester: Wiley, 9. 

  53. Yang, J. H. (2015). Structural Relations of Relational Fac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Knowledge Sharing and Service Innovative Behaviors among Airline Cabin Crew Members: Moder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Major of Service Management Service Business School Kyonggi University. (양지혜(2015),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관계적 요인, 조직몰입, 지식공유, 서비스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 Yesil, S., Buyukbese, T. and Koska, A. (2013). Exploring the Link Between Knowledge Sharing Enablers,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17(4), 331-357. 

  55. Zhang, P. and Hong, K. S. (2013).The Impacts of Complementariness on The Reciprocity,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Business Management Review, 46(1), 109-126. (장평.홍관수(2013), 보완적 지식이 호혜성, 지식이전활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영경제, 46(1), 109-1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