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다문화수용성이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Awareness of Un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0, 2017년, pp.1 - 7  

한승조 (국방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수용도가 통일 필요성 인식에 구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잠재변수로서 다문화수용도, 북한이탈주민 친근감, 통일 필요성 인식을 선정하여 완전매개와 부분매개모형을 구성하였다. 잠재변수에 대한 관측변수는 2015년에 통일연구원에서 수행한 남북한통합 국민의식 조사 자료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다문화수용도는 북한이탈주민의 친근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북한이탈주민 친근감도 통일필요성 인식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 친근감은 매개변수로서 부분매개보다는 완전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후세대에 통일에 대한 의식이 약해짐에도 다문화 사회로 변하는 현상이 통일 필요성을 인식하게 만드는데 일정부분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수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증가도 궁극적으로는 통일 필요성을 인식하게 만드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수용성의 증가가 통일의 필요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연구분야가 도출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ffects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unification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amiliarity with North Korean defectors, and awareness of unification were selected as the latent variab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민족의식, 경제력 확충, 군사적 위협 감소 등과 같이 통일의식에 영향을 주었던 기존의 영향이 아닌 단일민족 우월의식의 탈피 및 세계화 추세를 반영하여, 국민의 다문화수용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통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SEM :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다문화사회로의 급속한 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문화수용성이 통일 필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다문화 수용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포용여부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매개변수로 북한 이탈주민 친근감을 선정하여 그 효과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가정은 첫째, 다문화수용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근감을 증대시키고(H1),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친근한 인식의 향상은 통일의식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H2)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일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통일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로 경제적 부강, 국제사회의 영향력 확대, 전쟁위협의 감소 기대가 반영되거나[3], 민족 및 민주주의와 연관되어 민족적 정체성과 시민 정체성의 확대 기대[4] 등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남북 간의 우호정도에 따른 통일인식의 변화[5] 등이 연구되었다.
다문화수용성이란? 다문화수용성(Multi-cultural Acceptability)은 서로 다른 인종이나 문화적 배경을 지닌 집단들이 하나의 사회에서 수용되는 정도로 표현되며[6]. 본인 문화의 우월성만 강조(요)하지 않고 폭넓은 사고를 지니면서 공존과 협력의 대상으로 타집단 및 문화를 인정하는 태도이다 [7]. 이러한 다문화수용성은 통일교육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북한에 대해서도 다름을 인정하면서 대화와 신뢰로 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근거로도 활용되고 있다 [6].
2007~2011년에 서울대 평화통일연구원에서 조사한 국민들의 통일의식의 결과는 어떻게 나왔는가? 2007∼2011년에 서울대 평화통일연구원에서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연도마다 일부 차이가 있었지만 50~55%가 통일의 필요성에 공감을 하고 있었고, 사회 전체에 통일이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한 인원도 50.7% 수준이었다. 다만 통일이 개인에게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한 인원은 응답자의 27.8%뿐이었다[12]. 또한 2012년에 김경은과 윤노아에 의해 실시된 청소년들의 통일의식 조사결과에서도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 63%가 동의하고 있으며, 통일의 의의가 단일민족성의 회복이라는 응답은 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OI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 2017. 7. 7 

  2. DOI : Ministry of Unification, http://www.unikorea.go.kr. 2017. 7. 1 

  3. D. H. Baek and J. W. Lee, "Determinants of Korean Perception on National Unification: Focused on the Perception on Cost and Benefit of Unific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Studies, Vol. 25, No. 2, pp. 205-224, 2015. 

  4. S. D. Baek and T. J. A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National Identity on Their Unification Consciousness", The Korean Association of Yeolin Education, Vol. 24, No. 1, pp.39-58, 2016. 

  5. G. Y. Park, H. J. Cho and D. J. Park, "Factors Concerning the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and National Security", The Korean Association for Terrorism Studies, Vol. 9, No. 1, pp. 33-58, 2016. 

  6. K. E. Kimand N. A. Yoon, "Adolescent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Unifi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Implic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Multicultural Society", Social Studies Education, Vol. 51, No. 1, pp. 123-140, 2012. 

  7. I. J. Yoon and Y. H. Song, "South Korean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pp. 579-591, 2009. 

  8. S. W. Yoon and S. D. Kim, "An Empir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Korea: Focusing on the Effects of Social Values",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36, No. 1, pp. 91-117, 2010. 

  9. M. Y. Kim, "Effects of re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al approach on students' awareness of reunification", Ph. D. dissertation, Sungkonghoe University, 2010. 

  10. J. S. Kim, " The Adjustment of Korean Chinese and North Korean Refugees into Korean Society and Their Role in the Process of National Unification", Journal of DIASPORA Studies, Vol. 10, No. 2, pp. 291-310, 2016. 

  11. S. N. Baek, "South Korea'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Attitude over Reunifiction", Social Science Research, Vol. 32, No. 1, pp. 337-356, 2016. 

  12. Y. J. Lee, "Korean unification as a multi-cultural society : From the political frame of unification to integration in the social life", Studies of Northeast Asia, Vol. 29, No. 2, pp. 5-37, 2014. 

  13. P. Kim and K. H. Choi, "Comparative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Vol. 4, No. 1, pp. 101-139, 2012. 

  14. Y. J. Kim, "Research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Ordinal Variables : Transformation and Bayesian Approach", Ph. D. Dissertation, Kangwon University, 2016. 

  15. Y. K. Bae, S. Y. Ahn and J. H. Chung, " Analysis on Comparison of Highway Accident Severity between Weekday and Weeken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6, pp. 2483-2491, 2013. 

  16. J. S. Lee, H. S. Jeon and M. S. Jeong,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 intention to sharing ecomomy services : focusing on price sensitivity, reliabilit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7, pp. 57-72, 2016. 

  17. R. K. Kim and B. G. Park, "The effects of followship of coffee speciality members on LMX, Knowledge sharing, and job attitud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7, pp. 73-8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