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부머세대의 유형별 삶의 만족 영향 요인
Influential Factor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Baby Boomer Gener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0, 2017년, pp.19 - 29  

이형하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유형별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다차원적 요인을 규명하자고 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복지패널(10차년도) 응답자 중 1955년부터 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세대 가구주 1,895명이었다. 베이비부머세대를 유형화하는데 활용한 기준은 성(gender), 소득지위, 종사상 지위로 남성과 여성 각각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남성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대해 남성IV유형(B=.074, t=1.992, p<.05), 건강상태(B=.233, t=7.268, p<.001), 가구소득(B=.174, t=4.476, p<.001), 우울(B=-.182, t=-5.242, p<.001), 자아존중감(B=.255, t=7.027, p<.001), 신뢰(B=.064, t=2.036, p<.05)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대해 여성IV유형(B=.100, t=2.598, p<.05), 건강상태(B=.239, t=6.790, p<.001), 우울(B=-.181, t=-5.142, p<.001), 자아존중감(B=.320, t=8.600, p<.001)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by type of baby boomer gene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95 households who were born from 1955 to 1963 among the respondents in the Korea welfare panel (the 10th year). The baby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라는 비교적 긴 시간인 9년에 걸친 세대라는 출생코호트의 이질성과 성별, 현재의 소득지위, 현재까지의 일자리 특성 등의 차이에 주목하여 시작하였다. 이러한 베이비부머세대의 다양한 삶의 특성을 반영한 자료인 한국복지패널(제10차년도) 자료 [32]를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통합적 요인을 분석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유형별 삶의 만족의 차이와, 이들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다차원적 영향요인을 규명하자고 하였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유형별 특성과 인구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통합적 요인들과 삶의 만족간 관계를 규명하고, 베이비부머세대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제공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rean Welfare Panal Study) 데이터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이다. 2006년 1차 원표본 가구규모가 7,072가구로 출발하여 2015년 10차 조사에서는 7,188가구를 표집하여, 6,914가구를 조사완료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을 베이비부머세대가 자신의 삶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주관적 관점에서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즉, 베이비부머세대가 자신이 살아가는 생활에 책임감을 느끼며 주변 환경에 잘 적응하여 정서·심리·사회적으로 안정감과 충족감을 가짐을 의미한다[21, 22].
  • 이러한 베이비부머세대의 다양한 삶의 특성을 반영한 자료인 한국복지패널(제10차년도) 자료 [32]를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통합적 요인을 분석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한 성별, 교육 수준, 건강상태 등의 인구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소득지위, 가구소득, 심리적 요인으로 우울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요인으로 신뢰와 상호호혜성 등이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만족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1976)의 연구로부터 출발하여 연구자에 따라 삶의 만족도, 삶의질, 주관적인 행복감 등의 용어와 유사한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며, 삶의 질을 구성하는 하위차원으로 측정되기도 하고, 행복감에 비해 삶의 개별영역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14]. 이러한 삶의 만족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로는 건강, 교육, 소득, 고용, 여가 등을 지표화하여 측정한다[15]. 개인단위의 삶의 만족은 생활 전반에 걸쳐 느끼는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에 대한 판단 혹은 자신의 기대에 대한 충족의 정도이며, 현재 삶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미래의 삶을 예측하는 기초가 된다[16, 17].
삶의 만족이란?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은 자신이 삶아가는 생활에 책임을 느끼며 주변 환경에 잘 적응하여 정서·심리·사회적으로 안정감과 충족감을 가짐을 의미한다[22]. 이 척도는 ‘건강’, ‘가족의 수입’, ‘주거환경’, ‘가족관계’, ‘직업’, ‘사회적 친분관계’, ‘여가 생활’ 등 7개 영역별 만족 도로 구성된 5점 척도이며, 7문항을 합산하여 평균으로 측정하였다.
베이비부머세대의 생애 주된 일자리 퇴직시기와 국민연금 수급시기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이에 더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생애 주된 일자리 퇴직시기와 국민연금 수급시기가 일치하지 않는다. 보통 50대 중반에 퇴직하지만 연금수령은 61세가 넘어야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베이비부머세대는 빠른 고령화의 주역으로 그 숫자도 만만하지 않아 사회, 문화,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결코 무시할 수 없어 최근 이들 세대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 R. Kim,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of women's quality of Life by generation-babyboom, X and pre-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1, pp. 7-34, 2011. 

  2. J. H. Kim, W. M. Kang, "A Longitudinal Study on Household Income and Quality of Life Trajectory in Baby-boomers : focused on South-East Region in Korea,"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51, pp. 1-24, 2014. 

  3. Y. H. Kim, S. E. Lim, "A Critical Review on Definition of the Baby-boom years, Labor market shocks, and Inter-generational income transf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No. 2, pp. 36-59, 2011. 

  4. I. J. Rha, C. Y. Lim, So-Hwa Park, "Preparing for the Retiring Baby Boom Gneration(RBBG) in Korea: from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wspectiv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42, pp. 151-174, 2008. 

  5. S. K. Lee, "Health and Labor Ability of Baby Boomers," Labor Review, Vol. 2016, No. 6, pp. 37-47, 2016. 

  6. S. D. Chung, M. J. Koo,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 Comparison among Babyboomers,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2, pp. 305-324, 2011. 

  7. J. H. Kim, W. M. Kang,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Poor Baby Boomers and Non-Poor Baby Boomer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9, No. 3, pp. 423-443, 2014. 

  8. S. D. Chung, H. S. Jeon, J. H. Jeon, "The Influence of Lifestyle on Subjective Mental and Physical Health: Comparative Analysis Among Baby-boome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67, pp. 61-82, 2015. 

  9. E. J. Kim, "Leisure Activities and Volunteering among the Baby-boom Generation as it Influences Social Integra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40, No. 6, pp. 227-245. 2016. 

  10. M. R. Kim, "The Effect of Babyboomer Volunteers' Volunteering on the Social Integration: Whom Reside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5, No. 3, pp. 765-783, 2015. 

  11. J. Y. Son, G. H. Han, "The Effects of the Socio-economic Resources,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Trai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Korean Baby Boomers: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4, No. 4, pp. 185-216, 2014. 

  12. H. G. Shin, "Effect of Baby Boomers' Economic Status on Quality of Life : Mediated by Old Age Preparation and Moderated by Employment, Birth Cohort,"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30, No. 4, pp. 161-183, 2014. 

  13. K. H. Jung, Y. H. Oh, Y. K. Lee, B. M. Park, "A Study on the Diversity of Baby Boomers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14. A. N. Kim, S. A. Choi, "The Effects of Deprivation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Social Welfare Policy, Vol. 43, No. 1, pp. 81-105, 2016. 

  15. S. K. Kahng, "An Exploratory Study on Generation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Generational Comparisons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3, No. 4, pp. 91-119, 2012. 

  16. Schalock, R. L. (Ed.), Quality of life Volume I.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1996. 

  17. Y. O. Lim, J. E. Seok, Y. J. Kim, "A Study on the Flourishing Affecting Life Satisfac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46, pp. 81-103, 2015. 

  18. J. D. Kwon, J. Y. Cho,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0, No. 3, pp. 61-76, 2000. 

  19. S. J. Kang,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ife-satisfaction in Korea,"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 58, No. 1, pp. 5-36, 2010. 

  20. K. J. Kang, J. O. Im, M. Y. Le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Resources on Life Satisfac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Efficacy,"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9, No. 3, pp. 387-404, 2014. 

  21. Y. M. Yang, K. L. Hwang, J. S. Kim, "An Analysis of Female Householders' Life Satisfaction by their Poverty Status: Focused on Gender Role Perception and Volunteer Activ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6, No. 4, pp. 85-114, 2015. 

  22. Korea Labor Institut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Labor Review, Vol. 2005, No. 12, 2005. 

  23. S. M. Park, J. A. Son, S. W. Bae,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prospectiv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 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5, No. 3, pp. 1-24, 2009. 

  24. S. S. Choi, H. S. Park,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Focusing on Urban-rural Complex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4, pp. 1277-1293, 2009. 

  25. H. S. Yoon, S. W. Won, "The Impact of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of Health Status wi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4, pp. 1077-1093, 2010. 

  26. H. J. Kim, "The Impacts and Limitations of US Welfare Policies for One Parent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No. 13, pp. 77-102, 2004. 

  27. S. M. Moon,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6, pp. 259-271, 2017. 

  28. J. S. Lee,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oor Disabled Persons -Focus on Registration Disable Persons of Gwang-Ju City in South Korea-," The Korean Governance Review, Vol. 16, No. 1, pp. 79-105, 2009. 

  29. A. N. Kim, S. A. Choi, "The Effects of Deprivation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Social Welfare Policy, Vol. 43, No. 1, pp. 81-105, 2016. 

  30. M. H. Kim, "The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Health of Korean Elderly: Analysi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6-2008," Thesi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31. J. S. Park, Y. J. Yu,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 63-70, 2016. 

  3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Welfare Panal Study(the 10th), 2016. 

  33.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4. W. J. Le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health status of the baby boomers," Dissertation from Korea University,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