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baobab tree is a multipurpose, widely-used species with medicinal properties and numerous food uses. The aim of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baobab on the formalin-induced inflammatory pain in rat model injected into the orofacial regions. Methods: Mal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말한 것을 토대로 바오밥은 다양한 효능이 밝혀지고 있지만 안면부 통증에 관여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천연물인 바오밥 열매가 악안면 통증을 유발한 흰 쥐에서 항염증 통증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TMJ 통증이 발생하는 것은 TMJ와 유관되는 대부분 인체기관에 통증 유발과 연관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의 TMJ에 포르말린을 주입한 뒤 발생된 염증성 통증모델을 통해 TMJ 통증의 발생과 조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악관절 장애의 치료방법은 보통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 안정장치, 수술요법, 상담, 스트레스 관리, 침 치료 등이 있다[17].
  • 실험동물의 안면부 내에 포르말린으로 유도한 염증성 통증모델에서 바오밥 추출물이 통증 발생과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바오밥 추출물을 안면부와 TMJ 내에 투여한 후 통증 행위반응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오밥 나무의 특징은 무엇인가? 바오밥 나무(Adansonia digitata L.)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및 서부 마다가스카르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의학, 식품 및 음료와 같은 많은 용도로 사용되며 과일은 오렌지보다 10배 높은 비타민 C 함량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1]. 잎은 미네랄 함량이 높고 프로 비타민 A가 많으며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은 지방산 조성으로 인해 식용으로 여겨지며 실제로, 바오밥 나무는 의학적 특성과 수많은 식품 용도 및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다목적이며 널리 사용되는 종이다[1].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TMD로 인한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염증반응의 주요 매개체를 억제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약물(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약물은 뛰어난 진통효과가 있지만 위장관 독성, 고혈압, 특히 장기간 복용 시 혈전증 등의 부작용도 일으킬 수 있어 그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12,13]. 이러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최근에는 통증조절을 위해 보다 안전하고 효과가 나타나는 천연물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는 추세이다.
측두하악관절 장애의 유발 원인은 무엇인가? 측두하악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는 측두골과 하악골을 이어주는 관절인 측두하악관절(temp- oromandibular joint, TMJ)에 염증이 생기거나 탈구와 같은 기능장애가 발생하면 유발될 수 있다[8]. 측두하악관절 장애의 주요 증상은 턱관절에서 나는 소리와 하악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나타날 뿐 아니라 관절에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idibe M, Williams JT. Baobab, Adansonia digitata L. International Centre for Underutilised Crops University of Southampton, UK 2002. 

  2. Stadlmayr B, Charrondiere UR, Eisenwagen S, Jamnadass R, Kehlenbeck K. Nutrient composition of selected indigenous fruits from sub-Saharan Africa. J Sci Food Agric 2013;93(11):2627-36. 

  3. Gebauer J, El-Siddig K, Ebert G. Baobab (Adansonia digitata L.): a review on a multipurpose tree with promising future in the Sudan. Eur J Hort Sci 2002;67:155-60. 

  4. Buchmann C, Prehsler S, Hartl A, Vogl CR. The importance of baobab (Adansonia digitata L.) in rural West African subsistence-suggestion of a cautionary approach to international market export of baobab fruits. Ecol Food Nutr 2010;49:145-72. 

  5. Diop AG, Sakho M, Dornier M, Cisse M, Reynes M. Le baobab africain (Adansonia digitata L.): principales caracte 'ristiques et utilisations. Fruits 2005;61:55-69. 

  6. Fao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Aperc us nutritionnels par pays-Benin. ESNAFAO, Rome, Italy, 2003. 

  7. Codjia JTC, Assogbadjo AE, Ekue MRM. Diversite et valorisation au niveau local des ressources ve ge tales forestie res alimentaires du Be nin. Cahiers Agricultures 2003;12:321-31. 

  8. Yang KY, Kim MS, Kim EK, Kong MS, Ahn JS, Lee JH, et al. High dose of QX-314 produces anti-nociceptive effect without capsaicin in rats with inflammatory TMJ 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2013;38(4):135-40. 

  9. Cairns BE. Pathophysiology of TMD pain-basic mechanism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harmacotherapy. J Oral Rehabil 2010;37:391-410. 

  10. Scrivani SJ, Keith DA, Kaban LB. Temporomandibular disorders. N Engl J Med 2008;359:2693-705. 

  11. Wadhwa S, Kapila S. TMJ disorders: future innovations in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J Dent Educ 2008;72:930-47. 

  12. Barretto SR, de Melo GC, dos Santos JC, de Oliveira MG, Pereira-Filho RN, Alves AV, et al. Evaluation of anti-nociceptive and anti- inflammatory activity of low-level laser therapy on temporomandibular joint inflammation in rodents. J Photochem Photobiol B 2013;129:135-42. 

  13. Kim YK, Lee MK. Analgesic effects of triptolide and N-nitro-L-arginine methyl ester in rat’s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model. J Korean Soc Dent Hyg 2015;15:800-6. 

  14. Park MK, Lee JH, Yang GY, Won KA, Kim MJ, Park YY, et al. Peripheral administration of NR2 antagonists attenuates orofacial formalin-induced nociceptive behavior in rat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1;35(4):982-6. 

  15. Yoon IJ, Kang SK, Auh QS, Chun YH, Hong JP. The effects of repeated restraint stress on the rat parotid glands, ultramicroscopical and histochemical study.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2013;38(2):189-93. 

  16. Choi JL, Song CW. The study for treatment fo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The Korean Journal of Pain 1995;8(1):86-92. 

  17. Kim YS, Kim CH. 8 Case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996;13(1):429-35. 

  18. Kim YK, Hyun KY, Lee MK.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caiberry in formalin-induced orofacial pain in rats. J Dent Hyg Sci 2014;14(2):240-7. 

  19. Lee HJ, Kim YK, Choi JH, Lee JH, Kim HJ, Seong MG, el al. Effects of red or black ginseng extract in a rat model of inflammatory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J Dent Hyg Sci 2017;17(1):65-72. 

  20. Mpiana PT, Misakabu FS, Tshibangu DST, Ngbolua KN, Mwanangombo DT. Antisickling activity and membrane stabilizing effect of anthocyanins extracts from Adansonia digitata L. barks on sickle blood cells. International Blood Research& Reviews 2014;2(5):198-212. 

  21. Rahul J, Jain MK, Singh SP, Kamal RK, Anuradha, Naz A, et al. Adansonia digitata L. (baobab): a review of traditional information and taxonomic description.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Biomedicine 2015;5(1):79-84. 

  22. Tapsoba H, Deschamps JP. Use of medicinal plants for the treatment of oral diseases in Burkina Faso. J Ethnopharmcol 2006;104:68-78. 

  23. Dickenson AH, Sullivan AF. Subcutaneous formalin-inducedactivity of dorsal horn neurons in the rat: differential response to an intrathecal opiate administration pre- or post-formalin. Pain 1987;30:349-60. 

  24. Tjolsen A, Berge OG, Hunskaar S, Rosland JH, Hole K. The formalin test: an evaluation of the method. Pain 1992;51:5-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