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만새기(Coryphaena hippur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South S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5, 2017년, pp.541 - 546  

정재묵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최정화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임양재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김정년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eding habit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were analyzed.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using a purse seine, fishing and set net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5. The size of C. hippurus ranged from 23.8 to 127.4 cm in fork length. The species with the highest pe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크기군별, 계절별 먹이생물 조성 및 평균먹이생물의 개체수와 생체량에 대한 기초정보를 국내 최초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새기가 주로 분포하는 지역은? 만새기(Coryphaena hippurus)는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태평양 일대에 주로 분포하며, 농어목(Perciformes) 만새기과(coryphaenidae)에 속하는 어류로 줄만새기(C. equiselis)와 함께 전세계에 1속 2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만새기의 서식지 특징은? ,2005). 만새기는 표층성 부어류로 수온은 20℃ 이상의 해역에 출현하고, 30 m 미만의 수심이 주 서식 수층으로 알려져 있다(Palko et al., 1982).
만새기가 멸치와 같은 소형부어류를 많이 섭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멸치와 같은 소형부어류(small pelagic fishes)는 해양생태계 내에서 요각류(Copepoda), 부유성단각류(pelagic amphipoda), 십각류유생(Decapoda larvae),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와 같은 동물플랑크톤과 상위포식자를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영양단계에 위치해 있다고 알려져 있다(Atli, 1959; Kramer, 1969; Schaefer, 1980). 만새기가 멸치를 가장 많이 섭식한 이유는 풍부한 출현량과 에너지효율에 기반한 기회주의적 섭식(opportunistic feeding)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기회주의적 섭식은 다른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tli M. 1959. Kolyoz (Scomber colias L.)'un biolojisi hakkinda. Hidrobiol Mecm 5, 125-143 

  2. BCFM (Busan Cooperative Fish Market). 2017. Busan Cooperative Fish Market. Retrived from http://www.bcfm.co.kr/data/read-fish.jsp on Aug 21, 2017. 

  3. Brewton RA, Ajemian MJ, Young PC and Stunz GW. 2016. Feeding Ecology of Dolphinfish in the Western Gulf of Mexico. Trans Am Fish Soc 145, 839-853. http://dx.doi.org/10.1080/00028487.2016.1159614 

  4. Clarke KR and Gorley RN. 2001. Getting started with PRIMER v5: User Manual/Tutorial. Primer-E, Plymouth, Plymouth, UK. 

  5.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diego, U.S.A., 416 

  6. Hyslop E J. 1980. Stomach contents analysis: a review of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J Fish Biol 17, 411-429. 

  7. Huh SH, Park JM and Baeck GW. 2006. Feeding habits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japonicus in the Southern Sea, Korea. J Korean Fish Soc 39, 35-41. 

  8. Huh SH, Park JM, Park SC, Kim JH and Baeck GW. 2010. Feeding habits of 6 Shark Species in the Southern Sea, Korea. J Korean Fish Soc 43, 254-261. 

  9. Kang HJ, Kim YH, Lee EH, Lee DW and Chang DS. 2009. Fisheries biology of swordtip squid, Loligo edulis in jeju Island, Korea. J Korean Malacol 25, 23-28. 

  10. Kramer D. 1969. Synopsis of the biological data on the Pacific mackerel, Scomber japonicus Houttuyn (Northeast pacific). US Fish Wildl Serv Circ 302, 1-18. 

  11. Kim IS, Choi Y, Lee CR,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cation, Seoul, Korea, 615. 

  12. Massuti E, Deudero S, Sanchez P and Morales-Nin. 1998. Diet and Feeding of Dolphin (Coryphaena hippurus) in Western Mediterranean waters. Bull Mar Sci 63, 329-341. 

  13.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 Offshore Waters in Korea. Natlational Fisheries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Busan, Korea., 333. 

  14. Olson RJ and Galvan-Magana F. 2002. Food habits and consumption rates of common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Fishery Bull 100, 279-298. 

  15. Oxenford HA and Hunte W. 1999. Feeding habits of the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eastern Caribbean. Sci Mar 63, 303-315. 

  16. Palko BJ, Beardsley GL and Richards WJ. 1982. Synopsis of the biological data on dolphin-fishes, Coryphaena hippurus Linnaeus and Coryphaena equiselis Linnaeus. U.S. Dept Comm FAO Fish Synop 130. NOAA Tech Memo NMFS Circ. Seattle, U.S.A., 443, 1-28. 

  17. Park JM, Huh SH, Choi HC and Kwak SN. 2017. Larval distribution of the common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Linnaeus, 1758 (Coryphaenidae) in the East Sea/Sea of Japan. J Appl Ichthyol 33, 815-818. https://doi.org/10.1111/jai.13387 

  18. Pinkas L, Oliphant MS and Iverson ILK.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19. Schaefer KM. 1980. Synopsis of biological data on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Houttuyn, 1782) in the Pacific ocean. IATTC Spec Rep 2, 395-446. 

  20. Tripp Valdez A, Galvan Magana F and Ortega Garcia S. 2010. Feeding habit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southeastern Gulf of California, Mexico. J Appl Ichthyol 26, 578-582. 

  21. Varela JL, Lucas Pilozo CR and Gonzalez Duarte MM. 2017. Diet of common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Pacific coast of Ecuador. J Mar Biol Asso UK 97, 207-213. http://dx.doi.org/10.1017/S0025315416000175 

  22. Uyeno T, Matsuura K and Fujii E, 1983. Fishes trawled off Suriname and French Guiana. Mar Fish Resour Res Center, Tokyo, Japan, 519. 

  23. Whitney NM, Taquet M, Brill RW, Girard C, Schwieterman GD, Dagorn L and Holland KN. 2016. Swimming depth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associated and unassociated with fish aggregating devices. Fish Bull 114, 426-435. http://dx.doi.org/10.7755/FB.114.4.5. 

  24. Yoon SJ, Kim DH, Baeck GW and Kim JW. 2008. Feeding habit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South Sea of Korea. J Korean Fish Soc 41, 26-31. 

  25. Yoon SC, Yoo JT, Lee SI Kim ZG and Choi KH. 2015. Feeding habits of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Korean J Fish Technol 51, 553-560. http://dx.doi.org/10.3796/KSFT.2015.51.4.55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