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문기사에 나타난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이공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Newspaper Articles : Focusing on in Engineering Student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0 no.5, 2017년, pp.50 - 58  

허지숙 (아주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ajor newspaper articles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examin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each field and target. To do this, we reviewed prior research focusing on core competency co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체 핵심역량 연결망 안에서 그 단어의 위치와 어떤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지 살피므로(Wasserman & Faust, 1994) 어떤 특정 이슈에 대한 상징성과 공통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신문기사에 나타난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역량을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분야별, 대상별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살펴보는 것으로 이공계 인재 양성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산업체와 대학에서는 직무역량과 관련하여 핵심역량을 논하고 있지만 제 4차 산업혁명의 공통적인 핵심역량을 증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특히 신문사에서 나타난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을 사회연결망분석 방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신문이라는 미디어를 선정한 이유는 새로운 이슈의 확산 초기에는 미디어의 보도가 결정적 역할을 하며 어떤 이슈나 현상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핵심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최윤정 · 권상희, 2014 재인용).
  • 본 연구는 사회, 경제 분야에서 쏟아져 나오는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에 대해 신문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5대 신문사를 중심으로 제 4차산업혁명의 핵심역량을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신문사를 통해 나타난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을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ABC협회(http://www.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보스포럼에서 공개된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에서 일자리의 개수가 추후 어떻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는가? 과거와 마찬가지로 산업혁명이 사회 전반적으로 이슈 되는 이유는 산업혁명을 이끄는 혁신적인 기술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산업혁명이 생존, 소멸하는 일자리와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다보스포럼에서 공개된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s)’ 보고서는 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2020년까지 71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10만개의 새로운 직업이 생성됨으로 결국 5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예측했다(안상희․이인화, 2016).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번영의 시대를 열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있지만 대대적인 실업으로 인해 사회적, 정치적 파국이 일어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있어 불확실한 노동시장을 대비하는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조상식, 2016).
교육분야에서, 제 4차 산업혁명에서 주목받는 핵심역량은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는가? 핵심역량이란 개인의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고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요인으로(김창완 외, 2014 재인용) 20세기 중반부터 교육 분야에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즉,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역량기반의 교육과정을 통해 탈지식화를 지향하고 기본적인 자질을 키우는 것이다. 이미 OECD나 UNESCO에서는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HRD, 학교교육분야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Spencer & Spencer(1993)는 역량이 어떻게 구성된다고 생각했는가? McClelland(1973)은 역량이 전통적인 의미의 지능보다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의 성과를 더 잘 예언하며, 사회경제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했다. 또한 Spencer & Spencer(1993)는 역량을 효과적이고 우수한 수행과 인과관계가 있는 근본적인 개인의 특성이라 정의하며 지식(Knowledge), 기술(Skill), 동기(Motives), 자아개념(Self-concept), 특성(traits)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특히 Spencer & Spencer는 역량이 단순히 지식이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인 요인도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내어 역량에 대해 다면적으로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4), 687-716. 

  2. 김창완 외(2014).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연구(iii): 학생역량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 민철구?박기범?정승일?정기철(2010). 이공계대학 구조변화 추세 분석과 대학 경쟁력 확보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 박기문 외(2014). 융합인재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 기술교육학회지, 14(3), 214-234. 

  5. 송동주?강상희 (2012). 공학교육의 미래를 준비하는 현재: 공학교육인증제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3(3), 14-22. 

  6. 안상희?이민화(2016).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344-2363. 

  7. 이경화.신오순.김대권.태진미(2015). 핵심역량 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교육종합연구, 13(2), 1-24. 

  8. 이경희.권혁홍.이정례.이성진(2010). 공학교육정책: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3(6), 57-71. 

  9. 조동헌(2016).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도출과 평가지표개발.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조상식(2016).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미디어와 교육, 6(2), 152-185. 

  11. 진미석 외(2010). 2009년도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체제 구축, 교육과학기술부. 

  12. 진미석(2016).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핵심역량교육연구, 1(1), 1-24. 

  13. 최병삼(2016). 기업의 인재상에 기초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향상과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서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최상덕 외(2011).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 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5. 최상덕 외(2014).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II), 한국교육개발원. 

  16. 최윤정.권상희(2014). '빅데이터' 관련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1), 241-286. 

  17. 한국경제신문 특별 취재팀(2013). 융합형 인재의 조건. 서울: 한국경제신문. 

  18. 현영섭(2015). 신문기사에 나타난 평생교육실천동향: 1999년 부터 2015년까지 4개 일간지 게재기사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1(3), 1-37. 

  19. 황경수.권순철.고봉조(2015).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인식분석: J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9(3), 131-162. 

  20. AACU(2017). http://www.aacu.org/leap/essential-learningoutcomes 

  21. Astin, A. W. & anthony lising antonio(2012). Assessment for Excellence: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New York, NY: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an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2. Bowen, H. R.(1996). Investment in Learning. New Brunswick. 

  23.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24. NAE(2004). The Engineer of 2020: Visions of Engineering in the New Century. http://inside.mines.edu/UserFiles/File/Assessment/Engr2020.pdf 

  25. NCS(2017). http://www.ncs.go.kr/ncs/ 

  26. Kautz, T., Heckman, J. J., Diris, R., Weel, B., Borghans, L.(2008). Fostering and Measuring Skills : Improving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s to Promote Lifetime Success. http://www.oecd.org/edu/ceri/Fostering-and-Measuring-Skills-Improving-Cognitive-and-Non-Cognitive-Skills-to-Promote-Lifetime-Success.pdf 

  27. K-CESA(2017). https://www.kcesa.re.kr/intro.do 

  28.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29. Roberts, B. W.(2009). Back to the future: Personality and assessment and personality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43, 137-145. 

  30. SCANS(1991). What Work Requires of Schools: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Washington D.C.: The US Department of Labor. 

  31. Schwab, K.(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lony/Geneva: World Economic Forum. 송경진(역)(2016).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새로운 현재. 

  32. Spencer, L., & Spencer, S.(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3. Wang, W. & Rada, R.(1998). Structured hypertext with domain semantics. ACMTrans. Inform. Syst., 16, 372-412. 

  34. Wasserman, S. & Faust, K.(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