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중류에서 하천 증발이 안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vaporation from a Stream on Fog Events in the Middle Nakdong River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8 no.6, 2017년, pp.395 - 404  

박준상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김규랑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강미선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김백조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구미에 위치한 낙동강에서 발생한 안개를 분류하였고 안개 발생 전후의 기상특성을 분석하였다. 안개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시정계를 이용하여 관측되었다. 안개는 총 74회 발생하였고 대부분 증기안개로 분류되었다. 관측된 증기 안개는 내륙에서 발생한 안개보다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났는데 이는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야간 증발이 다른 지역보다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안개 지속시간에 대한 하천 증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Penman-Monteith(Penman법)와 Bulk aerodynamic (Bulk법) 방법을 사용하여 증발량을 추정하였다. 이 중 Bulk법은 실제 수면에서 측정한 증발량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Bulk법이 실제 수면 증발량 추정에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ulk법으로 추정한 증발량은 안개 비발생일 보다 안개 발생일에 06 LST와 07 LST에 더 높게 나타났다. 안개 발생일에 하천의 증발은 대기에 증발잠열 에너지를 공급하고 안개 내부의 난류를 유지하는 에너지원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안개내부의 풍속, 기온, 그리고 난류운동에너지의 증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lassified observed fog events in the Middle Nakdong River near Gumi and analyzed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fog formation. The observation was performed from 2013 to 2015 using visibility meter. A total of 74 fog events were observed and most of them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하천의 증발은 안개를 지속하게 하는 원인으로 판단하였고, 하천 주변의 지형적 특성은 증발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증발량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안개 발생일과 비발생일의 증발량을 추정해보고자 하였다. 안개 사례는 가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2013년-2015년 동안 9월과 10월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의 기능은 무엇인가? 하천은 일반적으로 여름에 냉원 역할을 하고 겨울에 열원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An and Lee, 2013). 하지만 관측 지점은 사계절 모두 월평균 수온이 기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낙동강 중류의 하천은 여름 냉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을 짐작할 수 있었다.
안개 종류는 발생 원인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안개 종류는 어디서 발생하고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따라 구분되며,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냉각, 증발, 혼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역에 따라 내륙에서는 복사냉각으로 발생하는 복사안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나며, 해안에서는 여름철 큰 규모의 이류안개가 자주 발생한다(Mun and Lee, 2013; So and Son, 1991).
증발량을 직접 관측하여 측정하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가? 최근에는 3차원 풍속계와 수증기 밀도를 측정하는 가스분석기로 잠열플럭스를 계산하여 증발량을 산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직접 관측은 비싼 측기로 인한 경제적 문제나 지속적인 유지보수의 어려움, 그리고 설치 지역 선정의 어려움 때문에 현실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직접 관측의 한계로 인해 수많은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험적, 물리적 방정식을 이용하여 증발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All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56, Rome, Italy: United Nations FAO. 

  2. An, J.H. and Lee, K.H., 2013, Correlation and Hysteresis Analysis of Air-Water Temperature in Four Rivers: Preliminary study for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2, 17-32. (in Korean) 

  3. Antonopoulos, V.Z. and Antonopoulos, A.V., 2017, Daily reference evaporanspiration estimates by artificial neural networks technique and empirical equations using limited input climate variables, Computers and Elctronics in Agriculture, 132, 86-96. 

  4. ASCE-EWRI, 2004, The ASCE standardize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quation: Standardiz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Task Committee Final Report, ASCE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Institute. 

  5. Choi, S.Y., Lee, Y.H., Cho, C., and Kim, K.R., 2015, Analysis of Local Wind Induced by Surface Heterogeneity and Sloping Terrain Near Nakdong River,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51, 249-257. 

  6. Degefie, D.T., El-Madany, T.S., Hejkal, J., Held, M., Dupont, J.C., Haeffelin, M., and Klemm, O., 2015, Microphysics and energy and water fluxes of various fog types at SIRTA, France, Atmospheric Research, 151, 162-175. 

  7. Dupont, J., Haeffelin, M., Protat, A., Bouniol, D., Boyouk, N., and Morille, Y., 2012, Stratus-fog formation and dissipation: A 6-day case study, Boundary-Layer Meteorology, 143, 207-225. 

  8. El-Madany, T.S., Griessbaum, F., Fratini, G., Juang, J.Y., Chang, S.C., and Klemm, O., 2013, Comparison of sonic anemometer performance under foggy condition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3, 63-73. 

  9. Falkovich, G., Fouxon, A., and Stepanov, M.G., 2002, Acceleration of rain initiation by cloud turbulence, Nature, 419, 151-154. 

  10. Hartmann, D.L., 1994, Global physical climatology, Academic Press, WA, USA, 101-102 p. 

  11. Irmak, S., Howell, T.A., Allen, R.G., Payero, J.O., and Martin, D.L., 2005, Standardized ASCE Penman-Monteith: Impact of sum-of-hourly vs. 24-hour timestep computations at reference weather station sit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8, 1063-1077. 

  12. Kang, M., Lim, Y.K., Cho, C., Kim, K.R., Park, J.S., and Kim, B.J., 2015, The sensitivity analyses of initial condition and data assimilation for a fog event using the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6, 567-579. (in Korean) 

  13. Kim, H.D., Cho, C.B., and Seo, K.S., 2016, On the Steam Fog in the Gumi Reservoir of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 163-171. (in Korean) 

  14. Kim, H.D., Cho, C.B., and Seo, K.S., 2016, Mic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eam Fog over the Gumi Reservoir of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 405-415. (in Korean) 

  15. Lee, H.S., Lee, B.Y., Jo, H.S., and Lee, J.J., 2014, Observation of evaporation on the reservoir surface using a large evaporation fan,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Water for future, 47, 54-67. (in Korean) 

  16. Liu, D., Yang, J., Niu, S., and Li, Z., 2011, On the evolution and structure of a radiation fog event in Nanjing,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8, 223-237. 

  17. Mun, S. and Lee, S., 2013, A Study on the Change of Fog Frequency and Duration Hours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8, 93-104. (in Korean) 

  18. Park, J.S., Lim, Y.K., Kim, K.R., Cho, C., Jang, J.Y., Kang, M., and Kim, B.-J., 2015, Atmospheric Characteristics of Fog Incidents at the Nakdong River: Case Study in Gangjeong-Goryeong Wei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 657-670. (in Korean) 

  19. Pereira, A.R., Nova, N.A.V., Pereira, A.S., and Barbieri, V., 1995, A model for the class A pan coefficient,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6, 75-82. 

  20. Rim, C.S., Yoon, S.E., and Song, J.I., 2009, Evaluation of Equations for Estimating Pan Evaporation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29, 47-62. (in Korean) 

  21. So, S.S. and Son, M.Y., 1991, Characteristics of Fog Occurrence in Taech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2, 217-229. (in Korean) 

  22. Tardif, R. and Rasmussen, R.M., 2007, Event-based climatology and typology of fog in the New York City regio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6, 1141-1168. 

  23. Wang, L.P. and Grabowski, W.W., 2009, The role of air turbulence in warm rain initiation, Atmospheric Science Letters, 10, 1-8. 

  24. Yi, C.Y., Kim, K.R., Choi, Y.J., Won, H.Y., and Scherer, D., 2012, Nocturnal surface cooling and cold air transport analysis based on high density observation-A case study of Eunpyeong new tow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 124-137. (in Korean) 

  25. Yoo, J.M., Yun, M.Y., Jeong, M.J., and Ahn, M.H., 2006, Fog detec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derived from satellite observations of polar-orbit (MODIS) and geostationary (GOES-9),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 450-463. (in Korean) 

  26. Zihua, L., Jianping, H., and Boyang, S., 1999, Burst characteristics during the development of radiation fog, Chinese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23, 623-6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