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Resources on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of Family Caregivers Performing Long-Term Care of the Elderly: A Focus on Using Home Car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3, 2017년, pp.121 - 139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resource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caregiving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aking car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servic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family caregivers utilizing 30 home care ce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족부양자가 느끼는 부양부담은 생활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족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주목한 체계적 실증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관련하여 하위 요인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장기 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생활만족도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을 더 광범위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족부양자들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실천적ㆍ정책적 개입방안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즉, 가족부양자의 노인에 대한 부양부담을 지각한 가족부양자일수록 생활만족도가 감소하지만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의 감소 정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가운데 정보적지지가 특히 그러한 효과를 갖는 것을 구별해낸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노인을 가족내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사회적지지 자원, 생활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를 밝혀낸 실증적인 연구로서 본 연구의 실천적ㆍ정책적 함의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들의 노인에 대한 부양부담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 재가서비스 이용 가족부양자들에게 제공되는 돌봄서비스의 질적 보완이 요청된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가 지각한 부양부담과 사회적 지지자원이 가족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가족부양자의 사회적 지지자원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지역 재가방문요양 센터를 30곳을 임의표출로 추출하여 기관의 협조를 통하여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 이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다음,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곱으로 이루어진 상호작용 항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항을 투입하기 전의 회귀분석 결과와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후의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조절변수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때, 독립변수와 상호작용 항간에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평균 중심화(Mean-Centering)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관련하여 하위 요인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장기 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생활만족도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을 더 광범위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족부양자들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실천적ㆍ정책적 개입방안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은 부양부담을 다차원적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부양부담은 가족부양자가 노인을 주로 부양하면서 겪게 되는 부양에 대한 다차원적인 부정적인 정서로서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크게 신체적ㆍ심리정서적ㆍ사회활동적ㆍ재정적 부담ㆍ가족관계부담의 5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최근 우리사회의 가족형태가 노인 부부가구의 증가와 부모 자녀 동거가구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가족 부양자의 상당수가 배우자임을 예상할 수 있다.한편 본 연구에서의 가족부양자는 재가급여를 이용하는 노인과 함께 생활하면서 재가서비스 이용시간 외에 노인에게 경제적ㆍ정서적ㆍ신체적 부양을 주로 수행하는 자를 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부양과 간병에 대한 국가의 개입이 필요한 이유는?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과정에서 치매, 중풍, 와상 등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의 수 또한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가족의 노인 부양과 간병에 대한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한편으로 고령화 사회로의 이동과 함께 핵가족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증가하면서 종래 가족의 부담으로 인식되던 노인의 장기요양문제가 이제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의 부담으로 머물지 않고 이에 대한 국가적 책임과 개입이 한층 강조되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을 공적제도로 도입하여 요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의 부양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 왔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생긴 문제점은?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과정에서 치매, 중풍, 와상 등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의 수 또한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가족의 노인 부양과 간병에 대한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한편으로 고령화 사회로의 이동과 함께 핵가족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증가하면서 종래 가족의 부담으로 인식되던 노인의 장기요양문제가 이제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의 부담으로 머물지 않고 이에 대한 국가적 책임과 개입이 한층 강조되는 시점이다.
노인의 부양에 대해 가족이 부담을 많이 느끼는 이유는? 그러나 이 제도 도입에 따른 가족의 부양부담과 그에 수반하는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되고 있는가에 관한 질문은 여전하다. 특히 유교문화권에서의 가족주의 의식이 여전히 잔재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요보호 노인의 부양에 따른 부담감을 가족이 더 크게 느낄 수 밖에 없다. 일본의 경우에도 공적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족의 부양부담이 일부 줄어들긴 했지만, 시대적으로 부양규범이 약화되는 것에 반해 인구 고령화로 인한 노인 부양에 대한 요구가 커져 가족부양자가 느끼는 부양부담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Tsutsui, Muramatsu& Higashino,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고희정(2011).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노인 주 부양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요소: 시설 입소 여부에 따른 비교.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민건강보험공단(2016). 2015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3. 김명자.손서희(2005). 기혼자녀(아들,딸)와 부모간의 정서적 결속도에 따른 부양행동. 대한가정학회, 43(7), 37-51. 

  4. 김미경.박다혜.안옥희(2014).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자의 간호요구에 따른 주 수발자의 부양부담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5(3), 7-16. 

  5. 김수영(2008). 뇌졸중 노인 주부양자의 우울 및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39, 145-174. 

  6. 김수영.김진선.윤현숙(2004). 치매노인을 돌보는 주부양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 예측 요인. 한국노년학, 24(2), 111-128. 

  7. 김승돈.김용환(2009).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5, 7-31. 

  8. 김양이(2000). 치매노인 주부양자를 위한 스트레스 관리 훈련의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영인(2008).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윤정.최혜경(1993).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의 대처 자원이 부양자의 부담 및 부양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3(2), 63-83. 

  11. 김재우(2015). 사회적 지지와 연결망 배태: 자아연결망 다층분석의 활용. 한국사회학, 49(1), 43-76. 

  12. 김진선.이은현(2001). 치매노인과 부양자를 위한 휴식서비스의 효과에 대한 고찰. 대한간호학회지, 31(6), 1077-1087. 

  13. 김철주.홍성대(2007). OECD국가 노인장기 요양보호 체계 개혁방향-비공식적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보상 및 지원 제도화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5, 231-251. 

  14. 김해란(2011). 중국 가족 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배진희(2004).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 197-216. 

  16. 백용운.최수일(2010).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주부양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9, 215-239. 

  17. 선우덕.강은나.이윤경.김지미.최인덕.양찬미(2015). 노인돌봄(케어) 서비스의 제공 주체간 역할정립과 연계체계 구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성규탁(1991). 한국인의 부모부양을 위한 의지와 관행에 관한 연구-노인의 비공식적 지원망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1(2), 251-273. 

  19. 신미숙.김경신(2013). 정신장애인의 기능수준과 주부양가족원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가족관계학회, 18(3), 91-112. 

  20. 엄태완(2007). 노인 자살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59(2), 355-379. 

  21. 윤경아(2017).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부양자의 성장과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1), 257-283. 

  22. 윤현숙 .차홍봉 .조양순(2000). 뇌졸중 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2), 137-153. 

  23. 이영자.김태현(1999).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9(3), 79-93. 

  24. 이익섭.윤경아(2001). 가족의 지지가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45, 315-340. 

  25. 이인정(2003). 뇌졸중 기능손상 노인의 가족수발자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3, 231-255. 

  26. 이창주(2011).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전달 체계가 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가 서비스 이용자 가족의 부양부담을 매개변수로 해서.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행정.송라윤(1999). 노인대상자의 비전문 간호제공자가 경험하는 소진예측요인. 한국간호과학회, 29(3), 585-595. 

  28. 이현주.이주원.이준영(2015).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연구: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26(1), 345-367. 

  29. 이혜자(2006). 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장혜경.홍승아.이상원.김영란.강은화.김고은(2006). 가족내 돌봄노동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31. 전혜정.조규영(2011). 중.고령자의 부양자 역할로의 전이 경험, 사회적 유대, 우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7(6), 387-411. 

  32. 정경일(2014). 치매노인가족의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정경희.오영희.강은나.김재호.선우덕. 오미애.이윤경.황남희.김경래.오신휘. 박보미.신현구.이금룡(2014). 2014 노인실 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정주영(2007). 치매 노인 주부양자의 부양에 관한 경험연구: 배우자 주부양자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혜정.김태현.이동숙(2000).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 20(2), 49-70. 

  36. 조규영(2011). 부양자 역할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조주연(2015).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스트레스원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조추용(2004). 노인이 가족에게 기대하는 부양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 71-99. 

  39. 조해진(2002).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주경복(2009). 치매노인 가족의 소진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최성재(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문화연구논총, 49, 233-258. 

  42. 한경혜.이서연(2009).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사회적 지지와 부양 부담, 한국노년학, 29(2), 683-699. 

  43. 한숙정.이세윤.김지연.김홍수(2014).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 관련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노인간호학회지, 16(3), 242-254. 

  44. 홍숙자(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 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통계청(2016). 고령자통계 

  46. Aneshensel, C. S. & Stone, J. D.(1982).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buffering model of social suppor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9(12), 1392-1396. 

  47. Caitlin K. Holley. M. A, and Benjamin T.(2009). The Impact of anticipatory grief on caregiver burden in dementia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49(3), 388-396. 

  48. Cantor, M. H.(1983). Strain among caregivers: A study of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The Gerontologist, 23, 597-604. 

  49. Cohen, S., & Hoberman, H.(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13(2), 99-125. 

  50. Cohen, S. & Wills, T.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51. Given, C. W., & Given, B. A.(1992). The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 for caregivers to persons with chronic physical and mental impairment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5, 1992, 271-283. 

  52. Haley, William E., West C. A. C. Wadley, V. G., Ford, G. R., White, F. A., Barrett, J. J., Harrell. L. E., and Roth, D. L(1995). Psychological, social, and health impact of caregiving: A comparison of black and white dementia family caregivers and non caregivers. Psychology and Aging, 10, 540-552. 

  53. Mittelman, M. S., Harris, S. H., Schulman, E., Steinberg, G. (1995). A comprehensive support program: effect on depression in spousecaregivers of AD patients, The Gerontologist, 35(6), 792-807. 

  54. Moen, P.(1995). Gender, age, and the life course. R. H. Binstock, & L. K. George. (Eds.).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 London: Academic Press. 

  55. Novak, M. & Guest, C.(1989). Application of a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29(6), 798-803. 

  56. Papastavrou, E., Tsangari, H., Karayiannis, G., Papacostas, S., Efstathiou, G.,& Sourtzi, P.(2011). Caring and Coping: The Dementia Caregivers. Aging & Mental Health, 15(6), 702-711. 

  57. Pearlin, L., Mullan, J., Semple, S., & Skaff, M.(1990).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30(5), 583-594. 

  58. Pinquart, M., & Sorensen, S.(2003). Associations of stressors and uplifts of caregiving with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ve mood: A meta-analysi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8 (2), 112-128. 

  59. Schulz, R., & Williamson, G. M.(1991). A 2-year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 among Alzheimer's Caregivers. Psychology and Aging, 6, 569-579. 

  60. Stuckey, J. C., Neundorfer, M. M., & Smyth, K. A.(1996). Burden and well-being: The same coin or related currency?, The Gerontologist, 36(5), 686-693. 

  61. Toseland, R. W., Rossiter, C. M., & Labrecque, M. S. (1989). The effectiveness of peer-led and professionally led groups to support family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29, 465-471. 

  62. Tsutsui, T., Muramatsu, N., & Higashino, S.(2014). Changes in Perceived Filial Obligation Norms Among Coresident Family Caregivers in Japan. The Gerontologist, 54(5), 797-807. 

  63. Zarit, S. H., Todd, P., & Zarit, J(1986). Subjective burden of husband and wives as caregivers: a longitudinal study", The Gerontologist, 26, 260-2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