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 연료 전지와 전력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생체 유기 물질로부터의 전력 생산
Energy Harvesting from Bio-Organic Substance Using Microbial Fuel Cell and Power Conditioning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38 no.5, 2017년, pp.242 - 247  

여정진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양윤석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a bio-chemical energy harvesting system which can generate electric power from bioorganic substance contained in vermicompost. It produced electricity by inoculating microbial fuel cell(MFC) with earthworm-composted food waste. The generated electricity was converted into usab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지렁이에게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급여하여 얻은 분변액을 미생물 연료 전지에 기질로 주입하고 이때 생성되는 전력의 양과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생산된 전력을 전자장치 구동에 적합한 형태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력 조절 회로를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렁이 분변액으로부터 얻은 전력을 활용한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의 구동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물체가 섭취하는 음식 혹은 대사산물 등에 포함된 유기물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생물·화학적 에너지 하베스팅 구현을 위해 미생물 연료 전지 기술의 오염 물질 처리 측면이 아닌 전력 생산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 본 연구에서는 생물체가 섭취하는 음식, 먹이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유래하는 다량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미생물 연료 전지 기술을 적용한 생물·화학적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이를 위한 대표적인 사례로, 지렁이 분변에 포함된 유기성 물질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전기 에너지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렁이에게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공급하여 얻은 분변액을 다시 미생물 연료 전지에 기질로 주입하여 전력 생산 가능 여부 및 전력 생산량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선 전자기기 시스템의 사용성과 활용성에 제한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무선 전자기기들은 반도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날로 소형화, 고기능화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그 활용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무선 전자기기 시스템들은 배터리에 의존한 전력 수급 기술의 한계로 인해 그 사용성과 활용성에 제한을 받고 있다. 소형화된 전자기기들을 위한 소형의 배터리 사용과 이에 따른 한정된 전력 용량은 지속적인 충전과 번거로운 교체 작업을 요구함으로 인해 많은 경제적 비용과 유지 보수의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란 무엇인가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전자기기 시스템들이 적용되는 플랫폼과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활용하기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1-3]. 주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 열과 같은 물리적 에너지들을 변환하여 전력을 얻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4-7], 이러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저전력 무선 전자기기 시스템을 위한 지속가능 전력 공급기술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에너지원에 대한 기술의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따라서 기존의 화학 배터리 충전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물리적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특히, 자연 환경과 같은 조건, 인체와 같은 생체 플랫폼에서 비주기적, 불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물리 에너지의 활용이 제한되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환경에서 화학적, 생물학적 에너지를 적극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Paradiso JA and Starner T, "Energy scavenging for mobile and wireless electronics," IEEE Pervasive computing, vol. 4, no. 1, pp. 18-27, 2005. 

  2. Harb A, "Energy harvesting: State-of-the-art," Renewable Energy, vol. 36, no. 10, pp. 2641-2654, 2011. 

  3. Vullers RJ, Van Schaijk R, Visser HJ, Penders J and Van Hoof C, "Energy harvesting for autonomous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Solid-State Circuits Magazine, vol. 2, no. 2, pp. 29-38, 2010. 

  4. Halim MA, Cho H, Salauddin M and Park JY, "A miniaturized electromagnetic vibration energy harvester using fluxguided magnet stacks for human-body-induced motion,"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vol. 249, pp. 23-31, 2016. 

  5. Morais R, Santos NM, Frias PM, Ferreira JA, Ramos AM and Reis MC, "Double permanent magnet vibration power generator for smart hip prosthesis,"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vol. 172, no. 1, pp. 259-268, 2011. 

  6. Bai P, Zhu G, Lin ZH, Jing Q, Chen J, Zhang G and Wang ZL, "Integrated multilayer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arvesting biomechanical energy from human motions," ACS nano, vol. 7, no. 4, pp. 3713-3719, 2013. 

  7. Su J, Vullers RJ, Goedbloed M, van Andel Y, Leonov V and Wang Z,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er fabricated by Stepper," Microelectronic Engineering, vol. 87, no. 5, pp. 1242- 1244, 2010. 

  8. Wang H, Park JD and Ren Z, "Practical Energy Harvesting for Microbial Fuel Cells: A Review,"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49, no. 6, pp. 3267-3277, 2015. 

  9. Pant D, Van Bogaert G, Diels L and Vanbroekhoven K, "A review of the substrates used in microbial fuel cells(MFCs) for sustainable energy production," Bioresource technology, vol. 101, no. 6, pp. 1533-1543, 2010. 

  10. Sevda S, Dominguez-Benetton X, Vanbroekhoven K, De Wever H, Sreekrishnan TR and Pant D, "High strength wastewater treatment accompanied by power generation using air cathode microbial fuel cell," Applied energy, vol. 105, pp. 194-206, 2013. 

  11. Thakuria D, Schmidt O, Finan D, Egan D and Doohan FM, "Gut wall bacteria of earthworms: a natural selection process," The ISME journal, vol. 4, no. 3, pp. 357-366, 2010. 

  12. S.Y Yoon, J.J. Yeo and Y.S. Yang, "Energy harvesting from food waste by inoculation of vermicomposted organic matter into Microbial Fuel Cell(MFC)," in Proc. of 2015 IEEE SENSORS, pp. 1-4, Busan, South Korea, November 2015. 

  13. Arpita N, Vikash K, Moumita K and Patit PK, "MFC with vermicompost soil: power generation with additional importance of waste management," RSC Advances, vol. 5, pp. 41300-41306, 2015. 

  14. Logan BE, Hamelers B, Rozendal R, Schroder U, Keller J, Freguia S, Peter A, Willy V and Korneel R, "Microbial Fuel Cells: Methodology and Technology,"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40, no. 17, pp. 5181-519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