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용 태양전지 셀을 이용한 소형 SAR 위성의 태양전지 어레이 개념설계 및 경량화 연구
A Study on Mass Reduction in the Conceptual Design of Solar Array with Commercial Solar Cells for Small SAR Satellites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7 no.5, 2017년, pp.49 - 63  

김태득 (국방과학연구소 국방위성체계개발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lar cells have widely been utilized for a satellite to convert sunlight energy into electricity in space. Many different types of solar cells appropriate for each satellite program are available in current markets, which enables us to construct a solar array light and small often required from a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수동형 SAR 위성의 경우 영상촬영을 위해 위성체 자체를 기동해야 하므로 높은 기동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성의 질량을 가볍게 하고 MOI(Moment of Inertia)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SA는 전력부 질량의 20~30%를 차지하므로 SA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통해 발사비용을 절감하고 MOI를줄여 기동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소형 SAR 위성의 전력부 경량화를 위하여 구매 가능한 우주급 상용 태양전지 셀 제품들을 조사하고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된 제품들을 SA 설계에 직접 적용하여 요구되는 SA 면적과 질량을 비교함으로써 소형 경량화에 적합한 제품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8) 태양광 입사각(θ)의 경우 본 위성이 태양을 지향 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0°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 임무시나리오 중에 기동과 영상촬영 그리고 자료전송 외의 구간에는 탑재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HK(House-Keeping)모드에서 지구를 지향한다고 가정하였다. SAR 탑재체 warm-up 기간은 송신기를 full power 송출 전 사전가열 기간을 의미하며 60초가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 위성의 임무수행 횟수는 궤도당 1회로 이는 위성이 촬영 목표지역인 한반도를 궤도당 1회만 지나가기 때문이다. 또한 임무를 수행하는 시기는 궤도에 따라 일 기간인 경우와 식 기간인 경우가 모두 있으나 전력의 관점에서 worst case에 해당되는 식 기간에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일 기간에서는 태양전지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임무수행이 가능하나 식 기간에는 온전히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 . 본 논문에서는 SA의 전력생산을 MPPT 모드로 제어하여 일 기간 동안 1250 W의 전력이 일정하게 생산된다고 가정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배터리의 용량은 식 기간 중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로 임무를 수행하여도 DOD가 30%를 넘지 않도록 3200Wh로 설계되었으며 50 V의 버스전압을 기준으로 64 Ah의 전류용량을 갖는다.
  • 앞서 설명한 대로 영상촬영은 100초 동안 표준모드로 운용되고 있음을 보이며, 임무초기 원격측정 및 원격명령을 위한 관제소 방향으로의 위성 기동은 90초, 영상촬영 및 지상전송을 위한 위성의 기동은 각각 60초로 가정하였다. 자료전송은 영상촬영 전에는 이전 궤도에서 보내지 못한 잔여영상을 지상으로 전송한다는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현재 궤도에서 촬영한 영상의 전송은 3분으로 설정하였다.
  • 경사궤도의 경우 계절에 따라 위성의 일 기 간과 식 기간의 길이가 달라지므로 1년 중에 궤도주기 95분 동안 태양광을 가장 짧게 받는 60분을 일 기간으로, 그리고 나머지 35분을 식 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위성의 수명은 통상 사용하는 5년으로 설정하였으며 위성이 최대로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는 표준모드로 연속해서 촬영할 때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일반적으로 SAR 탑재체는 표준모드 보다 해상도가 좋은 고해상 모드로 동작할 때 더 큰 전력이 필요하나 고해상 모드의 경우 촬영시간이 1 scene 당 10초 이내이므로 에너지의 관점에서 수 십∼수 백초 연속해서 촬영하는 표준모드가 더 많은 전력량을 요구하게 된다.
  • 임무 시나리오는 표준모드로 운용된다는 가정 하에 95분의 궤도주기를 세분화시켜 각 구간별로 탑재체와 플랫폼이 동작하는 형태에 따라 소비전력을 추정하였다. 위성의 임무수행 횟수는 궤도당 1회로 이는 위성이 촬영 목표지역인 한반도를 궤도당 1회만 지나가기 때문이다.
  • 위성체 수준에서의 최대 요구전력은 촬영지역으로 위성을 신속히 기동시키는 구간으로서 2908 W가 요구된다. 임무시나리오 중에 기동과 영상촬영 그리고 자료전송 외의 구간에는 탑재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HK(House-Keeping)모드에서 지구를 지향한다고 가정하였다. SAR 탑재체 warm-up 기간은 송신기를 full power 송출 전 사전가열 기간을 의미하며 60초가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전지 셀이란? 태양전지 셀(solar cell)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어디서나 자가발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 및 무인화가 쉽다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위성의 경우 태양은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유일한 에너지 원천이므로 예전부터 태양전지 셀은 널리 사용되어 왔다.
다중접합 태양전지 셀이 제작비용 등의 문제로 접합층을 크게 증가시킬 수 없기에 사용되는 접합층은? 6%까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작비용 등의 문제로 접합층을 크게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우주용 태양전지 셀은 제조비용 대비 내방사선 특성 및 변환효율을 고려하여 가성비가 좋은 GaInP, GaAs, Ge 등을 삼중접합(Triple-junction)하여 사용한다. 삼중접합 태양전지 셀의 상부 전지는 빛이 들어오는 곳으로서 밴드갭이 1.
태양전지 셀의 장점은? 태양전지 셀(solar cell)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어디서나 자가발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 및 무인화가 쉽다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위성의 경우 태양은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유일한 에너지 원천이므로 예전부터 태양전지 셀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ttp://www.spectrolab.com 

  2. Park, H. S. and Cha, H. J., Electrical design of a solar array for LEO satellites, Int'l J. of Aeronautical & Space Sci., Vol. 17, No. 5, pp. 401-408, 2016. 

  3. Shin, K. H., Ryu, K. S., and Kim, H. M., Characteristics of GaAs solar cells applied the LEO satellite,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 pp.1750-1753, 2007. 

  4. Lee, J. J., Jeong, S. I., Jeong, S. I., and Kim, K. H., Silicon Solar Cell Degradation by Space Radi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pp. 1086-1088, 2008. 

  5. Han, W. S., Kim, H. S., Choi, B. S., and Oh, D. G., Trends of the next-generation solar cell technology,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of Trends, Vol. 22, No. 5, pp. 86-94, 2007. 

  6. NASA Mission Design Division, Small Spacecraft Technology State of the Art, 2015. 

  7. Kim, K. H., Lee, J. S., Solar Cell Engineering. 

  8. Wertz, J. R. and Larson, W. J., Space Mission Analysis and Design. 

  9. Park, S. W., Park, H. S., Jang, J. B., Jang, S. S., and Lee, S. K., Operation-mode Analysis of Solar Array Regulator,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pp. 1601-1604, 2008. 

  10. Yoon, Y. S. and Min, K. J., Industry trend and development status of nano/micro satellite,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Vol. 14, No. 1, pp. 18-25,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