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정보 활용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Public Awareness of the Bioinformation Utilization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7 no.1, 2017년, pp.117 - 144  

최규진 (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김병수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  오병일 (정보인권연구소) ,  장여경 (진보네트워크센터) ,  이은우 (법무법인 지향) ,  변혜진 (건강과대안) ,  이상윤 (건강과대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바이오정보의 산업적 성장 가능성에만 주목하고 있어서 바이오정보의 수집 및 관리를 위한 사회적 논의는 빈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바이오정보의 활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의 기본 토대가 될 수 있는 시민들의 인식 현황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많은 시민들이 목적별 바이오 인식기술 사용에 대해 긍정적 의견을 표하고, 국가의 지문정보 수집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동시에 바이오 인식기술을 통한 본인인증 시스템에 상당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바이오정보를 수집하는 기관에 대해 신뢰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신체정보를 비롯한 건강정보에 대해서는 각별한 우려를 표했으며, 다른 개인정보에 비해 더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는데 압도적인 동의를 표시했다. 의료기관에서 수집되는 의료정보에 대해서도 설문에 응한 80%에 가까운 사람들이 영리업체 제공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통계 학술연구를 위해 사용한다는 것에조차 60%가 넘는 사람들이 동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바이오정보의 공익적 활용을 위해서라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국가적 관리 시스템과 제도 마련 과정에서 일반인들이 참여해 의견을 개진 할 수 있도록 현재의 개인정보영향평가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currently, only the growth possibility of bioinformation industry has received the public attention, and social discussion on bioinformation management is meager. Based on this critical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awareness of the bioinformation whi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민들의 목적별 생체인식기술 사용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았다. 그 결과 금융거래 목적의 생체인식기술 사용 의향에 대해서는 48.
  •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바이오정보의 관리를 위한 사회적 논의의 기본 토대가 될 수 있는 바이오정보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현황을 파악하여 관련 제도 및 정책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정보를 활용한 서비스에는 무엇이 있는가? 민간에서도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한 비대면 거래의 확대, 2000년을 전후로 한 모바일 기기의 확대, 이와 결부된 핀테크의 성장, 사물인터넷(IoT)이나 웨어러블 기기의 도입, 헬스케어와 원격 의료 도입 등과 맞물려 바이오정보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문을 이용한 개인 스마트폰 보안에서부터, 지문・정맥・홍채 정보 등을 활용한 금융거래나 결제 서비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자가 건강 측정 및 원격 의료 서비스 등이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한국적 상황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남용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의 문제, 그리고 편의성과 접근성에서 문제를 노출한 공인인증서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생체인식(Biometrics)을 통한 새로운 인증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박범근, 2016: 4; 정안진, 2014.
바이오정보의 특징 및 활용분야는 무엇인가? 바이오정보1)는 모든 사람에게 존재한다는 ‘보편성’과 함께, 사람마다 다르다는 ‘고유성’(혹은 유일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로 그 정보가 평생 변하지 않는다는 ‘불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식별(identification)이나 인증(authentification)을 목적으로 공공 및 민간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바이오정보를 개인 인증, 식별에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은 무엇인가? 바이오정보가 본인 식별이나 인증을 위해 활용되는 것은 그 고유성, 불변성을 갖기 때문인데(김봉수, 2015: 257; 심우민, 2016: 2), 바로 그와 같은 특성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미치는 영향도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유출되었을 경우 변경할 수 있는 신용카드 등과 달리, 한번 유출되면 그 피해를 복구하기 거의 불가능하다.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신원 도용의 문제 외에도, 인식 오류로 인한 피해, 장애인 접근권의 문제 등도 지적되고 있다(박정훈, 2012:432-434). 또한 DNA 나 얼굴 인식과 같이 수집된 정보들이 인증 목적의 정보 외에도 다른 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친족 등의 프라이버시 침해나 목적 외 이용 등의 문제도 제기된다. 무엇보다 이렇게 수집, 축적된 바이오정보가 국가 감시의 용도로 사용될 위험성도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경향신문 (2012.10.8), [단독]성범죄 재범 막자는 'DNA 채취', 강력범. 시위자 단속에 더 적용. 

  2. 김봉수 (2015), 범죄수사상 생체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대한 규범적 통제, 법학논총, 제35집 제2호, 255-276쪽. 

  3. 박범근 (2016), 생체인식기술 및 시장동향, S&T Market Report, vol 39., pp. 1-28,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4. 박정훈 (2012),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에 따른 법적 과제, 慶熙法學, 제47권 제4호, 401-439쪽. 

  5. 보안연구부 보안기술팀 (2016), 바이오정보 사고사례 및 대응방안 조사, 1-6쪽, 금융보안원. 

  6. 심우민 (2016), 스마트 시대의 생체정보 보호를 위한 입법과제, 이슈와 논점, 제1129호, 1-4쪽, 국회입법조사처 

  7. 정보통신부.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5) 생체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한국정보보호진흥원 

  8. 정안진 (2014.11.5), 보안시스템의 새로운 물결, 바이오 메트릭스시장이 뜬다, KOTRA 해외시장뉴스 

  9. 지역정보지원과 (2015), 지자체 CCTV통합관제센터 구축현황, 행정자치부 

  1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통합관제센터 구축 가이드라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1. IBM security (2016), 2016 X-Force 보안 동향 및 위험 보고서, 한국IBM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