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닥 진동 거동 및 충격원 특성을 고려한 바닥 중량 충격음 평가방법 고찰
Consideration on Rating Method for Heavy Impact Sound Taking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Floor Vibration and Impact Sources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1 no.4, 2017년, pp.69 - 79  

이민정 (한양대학교) ,  최현기 (경남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표준 중량 충격원의 실제 충격원 재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에도 현재 기준에서는 뱅머신 방식만 사용하고 있다. 현행 기준의 평가방법 및 등급 기준이 충격원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충격원의 선택에 따라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 등급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충격원 특성 외에 바닥 진동 거동 특성을 함께 고려한 현행 기준의 바닥충격음 평가 방법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공동주택 mock-up 실험동에서 표준 중량 충격원과 실충격원에 대하여 바닥충격음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외 평가 방법과 우리나라의 평가 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현행 바닥충격음 평가 기준의 대상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은 네텔란드의 저주파 소음 인지 곡선과 국내 연구자가 제안한 저주파 소음 기준안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준 및 평가 산정 방법에 따라 성능 평가 결과가 상이하며, 바닥 진동의 지배 주파수 범위에서 모든 충격원에 대한 바닥충격음 가청 소음으로 인식하여 성가시게 느낄 가능성이 매우 크다. 현행 평가 기준의 단일수치 평가량 산정 방법은 충격원에 따라 상이한 음압레벨 스펙트럼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바닥의 진동 거동 지배 주파수를 포함하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바닥충격음에 대한 평가 결과와 사람의 인지 수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원에 따른 음압레벨의 스펙트럼 특성과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을 반영할 수 있도록 현행 기준의 평가 방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rating method for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current criterion. Although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proper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with reproducibility of actual impact source in residence building, bang machine is adop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바닥 중량 충격음 평가 시 충격원에 따른 국내 기준 적용의 문제점 파악 및 보완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표준 중량 충격원과 실충격원을 이용하여 바닥 충격음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충격원 특성에 따른 각국 기준의 평가 방법 및 등급 기준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바닥충격음 평가 기준에서 고려하지 못하는 바닥 진동의 지배 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 평가를 위하여 네델란드의 저주파소음 인지 곡선과 Lee et al.(2011)의 권고기준안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바닥충격음 평가 기준에서 고려하지 못하는 바닥 진동의 지배 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 평가를 위하여 저주파 소음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청 소음의 여부 결정에 사용되는 네델란드의 저주파소음 인지 곡선과 피험자의 100%가 성가심을 느끼는 수준의 Lee et al.
  • 본 연구에서는 표준 중량 충격원과 실충격원에 대한 바닥충격음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현행 기준의 바닥충격음압 레벨 평가 방법을 해외 기준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현행 바닥충격음 평가 기준의 대상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은 네텔란드의 저주파 소음 인지 곡선과 국내 연구자가 제안한 저주파 소음 기준안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층간소음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특히 층간소음 문제는 제도적 장치와 기술적 대응이 동시에 요구되는 사안이다. 층간소음은 배관구 등을 통해 소리가 직접 전달되는 공기전달음과 바닥충격음으로 구분되고, 바닥충격음은 충격원에 따라 다시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나뉜다. 공기전달음에 의한 층간소음은 차음․ 흡읍․ 방음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바닥 성능 등급 판정에서 충격원 특성에 따른 등급 결과에 논란이 발생한 이유는? 표준 중량 충격원으로 고무공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정값을 사용하여 뱅머신과 동일한 성능등급 기준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평가 방법 및 성능등급 기준은 충격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사용된 충격원 특성에 따라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이 서로 다른 등급으로 판정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충격원 특성에 따른 등급 결과에 논란이 발생하자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관리 기준은 2015년 12월 개정 시 표준 중량 충격원으로 뱅머신 방식을 사용하도록 지정하였다.
바닥 충격음의 특징은? 공기전달음에 의한 층간소음은 차음․ 흡읍․ 방음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닥 충격음은 바닥진동이 구조체를 따라 사방으로 전달되어 이웃 세대에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고체전달음이므로 구조체의 진동 거동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특히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에 접수된 민원의 70% 이상이 보행 시 뒤꿈치의 충격이나 뜀 등 거주자의 거동으로 발생한 중량충격음으로 말미암은 것으로 충격원을 제거하거나 격리할 수 없어 완충재와 마감재 등의 사용 외에 구조체의 성능 규정과 이에 따른 적절한 구조설계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3), Acoustics-Rating Of Sound Insulation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 - Part 2: Impact Sound Insulation, ISO 717-2 :2013. 

  2. Japanese Standard Association (2000), Acoustics-Rating Of Sound Insulation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 -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JIS A 1419-2 :2000. 

  3. Jeon, J., Lee, P., Jeong, J., and Park, J. (2006), Comparison of Standard Floor Impact Sources with a Human Impact Sourc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16(8), 789-796. 

  4. Jeong, J. and Jeon, J.(2005), Floor Impact Noise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Using Impact Ball,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15(10), 1160-1168. 

  5. Kim, K., Choi, G., Jeong, Y., and Yang, K. (2005), Impact Power Characteristics as Behavior of Real Impact Source(Child),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15(5), 542-549.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7), Rating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for impact source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Part 2 :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against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KS F 2863-2: 2007. 

  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2), Field measurements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of buildings-Part 2: Method using standard heavy impact sources, KS F 2810-2: 2012. 

  8. Lee, J., Lee, W., Choi, K., Gu, J., Jung, S., and Han, J. (2011), Management of Low-Frequency Noise, Proceeding of Academic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806-807.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loor Impact Noise Insulation Admission and Management Criteria for Apartment House, 2016.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gulation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2017. 

  11. Park, H., Kim, K., and Kim, S. (2013),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Standard Floor Impact Source by Comparing with Living Impact Source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23(12), 1117-11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