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와 내륙항의 발전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nd Development of Inland Port in China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3 no.3, 2017년, pp.1 - 16  

이충배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이종철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국은 1970년대 후반 개방개혁정책과 더불어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어왔다. 중국 경제성장은 초기에 동남부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2000년대부터는 상대적으로 경제가 낙후된 서부 및 동북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2013년 시진핑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중국의 대외진출 전략인 동시에 이들 지역발전을 위한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내륙항은 내륙지역의 물류중심지로서 해양항만과 연계 및 주변 내륙국가로의 접근성을 강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국의 동북부 및 서부지역의 해외시장 진출 및 자원확보를 위해 다수의 내륙항이 개발 및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서 내륙항의 역할과 발전을 전망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서 내륙항의 역할은 더욱 증대될 것이며 이에 대응하여 내륙항의 발전 역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은 중국 내륙항의 개발 및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의 수립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며, 이는 중국, 러시아, 중앙아시아, 동유럽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는 데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na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late 1970s with economic reform and open-door policy. China's economic growth began initially in the eastern coastal areas and from the 2000s expanded to the western and northeastern regions where the economy was relatively underdeveloped. In partic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추진에 있어서 내륙항의 역할과 발전 방향을 전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의 일대일로 전략의 추진 현황과 내륙항의 발전 현황과 유형을 살펴보고, 일대일로의 내륙으로의 연결 노선상에서 내륙항의 개발 진행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우리나라 기업의 이 지역으로의 진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추진에 있어서 내륙항의 역할과 발전 방향을 전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의 일대일로 전략의 추진 현황과 내륙항의 발전 현황과 유형을 살펴보고, 일대일로의 내륙으로의 연결 노선상에서 내륙항의 개발 진행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우리나라 기업의 이 지역으로의 진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반면, 해양 항만당국에 의해 개발되는 경우는 항만의 집화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즉 항만당국은 내륙항의 개발을 통해 안정적인 물동량을 확보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자 한다. 해양항만과 내륙항과의 연계상황을 살펴보면 연계성이 밝혀진 전체 53개 내륙항 중 톈진항이 15개 (28.
  • ①∼②는 육상 회랑인 一帶이며, ④∼⑥은 해상 회랑인 一路이다. 회랑 내 국가들은 대부분 개발도상국으로 교통, 전력, 수자원, 물류 등 사회간접자본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중국은 이들 지역의 인프라 투자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과 동시에 이들 국가와의 공동 번영을 추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은 개방 초기의 모습은 어떠한가요? 중국은 개방 초기에는 동남부의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대외개방이 이루어지면서 이 지역의 항만개발이 대규모로 빠르게 진행된 반면 내륙의 서북부 지역 및 동북 3성 등의 지역은 개발이 제한적이었다. 이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수립되어 추진되었으나 커다란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중국의 1970년대 후반 이래로 누구에 의해 빠른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나요? 중국은 1970년대 후반 이래로 덩샤오핑에 의한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빠른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다. 개혁·개발을 통한 수출입의 확대는 중국의 경제성장에 커다란 기여를 해왔을 뿐만 아니라 물동량 처리를 위한 대규모 항만 확충으로 이어졌다.
중국의 내륙의 서북부 지역 및 동북 3성 등의 지역은 언제부터 개발이 본격화 됐나요? 이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수립되어 추진되었으나 커다란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부터 추진된 서부대개발과 2013년 시진핑 국가주석에 의해 제안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一帶一路: One Belt One Road Initiative)’의 추진과 더불어 이들 내륙의 낙후지역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eresford A, Pettit S, Xu Q Xu, Williams S, A study of dry port development in China,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14(1), 2012, pp.73-98. 

  2. Cullinane K, Bergqvist R and Wilmsmeier G(2012), The dry port concept - Theory and practice,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14(1), pp.1-13. 

  3. ESCAP(2010), Report of the Regional Expert Group Meeting on the Development of Dry Ports along the Asian Highway and Trans-Asian Railway Networks, Bangkok 

  4. Jeevan J, Chen S and Lee E(2015), "The Challenges of Malaysian Dry Ports Development",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31(1), pp.109-134. 

  5. Ka Bian(2012), "뉴 유라시아 랜드브릿지 중국지역 최적의 내륙항 입지선정 연구",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 Li Fang, Shi Xiaoning, Hu Hao(2011), "Location selection of dry port based on AP clustering - the case of southwest China", Journal of System and Management Sciences, 1(5), pp.93-105. 

  7. Li, Y, Dong, Q, and Sun, S(2015), "Dry port development in China: Current status and future strategic directions", in Mi, W, Lee, L.H, Hirasawa, K. and Li, W. (eds.), Recent Developments on Port and Ocean Engineering,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No.73, pp.641-646. 

  8. Ling Wang, Ya Xu, Xiang Li, eds(2014)., Contemporary Logistics in China: Assimilation and Innovation, Springer, 2014. 

  9. Lu Jing and Chang Zheng(2013), "The Construction of Seamless Supply Chain Networks: The Development of Dry Ports in China", in Bergqvist R, Wilmsmeier G and Cullinane K(eds), Dry Ports - A Globoal Perspective, Ashgate, pp.155-172. 

  10. Martinez-Pardoa Ana and Garcia-Alonsob Lorena(2014), "Analysis of the inland port regionalization process in Spain",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62, pp.228-236. 

  11. Rodrigue Jean-Paul and Notteboom Theo(2013), "Inland Ports/Dry Ports", in The Geography of Transport Systems, Routledge. 

  12. Rodrigue, J.-P., Debrie, J., Fremont, A., & Gouvernal, E(2010), "Functions and actors of inland ports: European and North American dynamic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8(4), pp.519-529. 

  13. Roso V and Lumsden K(2010), "A Review of Dry Ports", Maritime Economics and Logistics, 12(2), pp.196-213. 

  14. Roso V, Woxenius J, and Lumsden K(2009). "The dry port concept: connecting container seaports with the hinterlan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7(5), pp.338-345. 

  15. Roso Violeta(2008), "Factors influencing implementation of a dry 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38(10), pp.782-798. 

  16. Roso, V., Woxenius, J., Lumsden, K., 2009, "The dry port concept: connecting container seaports with the hinterlan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7(5), pp.338-345. 

  17. Toh A.T.K, Oakden R, Nagel P, Sengpiehl C and Shi P(2008), "A Model for An Inland Port in Australia", Journal of Transport and Supply Chain Management, pp.78-92. 

  18. Werikhe G W and Jin Zhihon(2015), "A Comparative Study of Dry Ports in East Africa and China", Developing Country Studies, 5(2), pp.7-18. 

  19. Yunhua Li, Qianli Dong, and Shiwei Sun(2015), "Dry Port Development in China: Current Status and Future Strategic Direction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73, Recent Developments of Port and Ocean Engineering, pp.641-646. 

  20. Zeng Q, Maloni M J. Paul J Al, Yang Z(2013), "Dry Port Development in China: Motivat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ransportation Journal, 52(2), pp.234-263. 

  21. 김수한?유다형(2016), 일대일로 권역별 거점도시 역량 분석, INChinaBief. 

  22. 김옥준(2015),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구상과 정치. 경제적 함의: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18집 1호, 289-307. 

  23. 김홍원.박진희.허유미(2016), 중국 '일대일로(一帶一 路)' 중점지역의 추진동향과 시사점, 지역 기초 자료 16-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4. 董千裏(2012), 物流集成場:國際陸港理論與實踐,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5. 呂靖.常征(2013), "綠色物流理念下的內陸港選址模型及求 解", 交通運輸系統工程與信息. 

  26. 민귀식.김수한(2016), "중국 일대일로 거점도시별 산업 특화에 따른 발전전략", 中蘇硏究, 제40권 제3 호, 153-190. 

  27. 박성준.길광수?김세원(2016), "일대일로 전략의 전망과 한국의 물류분야 대응방안", 해운물류연구, 

  28. 유병국(2016), 중국 서부대개발 하의 내륙항 발전에 관한 연구- 시안과 충칭 내륙항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강국(2016), "일대일로", BookStar, 2016. 

  30. 이장원(2015),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외정책: '일대일 로(一帶一路)' 전략과 유럽", 한국동북아논총, 제76호, 49-70. 

  31. 조유평 (2016). 한국기업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활용전략. 무역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 163-181. 

  32. 項風.趙旭.鄒偉宏(2009), "基於遺傳模糊聚類的東北內陸 港選址規劃", 水運工程, pp.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