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1-2012년 서해 보령연안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Boryeong off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2011-2012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3 no.5, 2017년, pp.497 - 512  

추효상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윤은찬 (한국해양수산연구원)

초록

2011~2012년 보령연안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특성을 장기 연속수온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온은 반일 또는 일일의 단주기 변동이 전 계절에 탁월하고 그 진폭은 하계와 춘계에 크고 추계에 작다. 수온과 기온의 연변동 진폭은 기온 $12.9^{\circ}C$, 수온 $10.9^{\circ}C$로 기온이 더 크며, 연변동 최고위상은 기온 8월 2일, 수온 8월 22일로 기온이 20일 앞선다. 수온의 연변동 진폭은 원산도와 대천항 연안에서 가장 크다. 수온변동 중 일일주기는 대천항과 무창포항, 반일주기는 원산도 주변 협수로에서 탁월하며, 대천천 하구는 천해조 비율이 높다. 표층수온과 기온은 대체로 풍향 변동에 따라 변동한다. 하천수가 방출되면 수온은 상승 후 하강 또는 하강 후 상승한다. 수온 탁월주기는 0.5일, 1.0일, 15일 주기와 7~10일 전후이다. 수온변동특성에 따라 해역을 분류하면 (1)원산도 남동연안의 혼합수역 (2)삽시도~용도, 장고도~삽시도, 장고도~안면도 남쪽의 서쪽 외해수역 (3)용도~독산의 남쪽 외해수역 (4)송도~대천항~무창포항의 조간대 연안수역으로 구분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surface water temperature were studied using data from temperature monitoring buoys deployed at 47 stations around Boryeong from 2011-2012 off the west coast of Korea. Temperature fluctuations are predominant at diurnal and semidiurnal periods for all seasons,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령연안은 특징은 무엇인가요? 서해 중부에 위치하는 보령연안(36°25’~36°12’N, 126°18’~ 126°31’E)은 북으로 안면도, 효자도, 원산도 등의 섬들로 둘러싸인 반 폐쇄성 내만인 천수만과 만 내 여러 인공호수(간월, 부남, 홍성, 보령 방조제), 남으로 금강하구와 같은 다양한 수리환경이 존재하고, 주변에 대천천 하구, 삽시도, 장고도, 고대도, 불모도, 용도와 같은 크고 작은 여러 섬과 천수만 남쪽 입구의 좁고 깊은 협수로가 존재해 매우 복잡한 해저지형(수심 10~30 m)을 형성한다(Fig. 1).
보령연안의 동해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4 m/s 풍속의 북서 (동계)~남서(춘계)풍 계열이 탁월하다(KHOA, 2015). 또한 동해역은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성육에 적합한 천수만, 패류나 갑각류 서식에 접합한 간석지, 풍부한 유기물을 운반하는 금강과 대천천, 방조제 등의 존재로 어업 및 수산자원이 다양하다(NIFS, 2000).
서해 보령연안이 계절별 해양환경변화가 큰 이유는? 서해 보령연안은 협수로를 포함한 복잡한 해저지형, 강한 조류, 하천수, 방조제 방류수, 온배수 방류와 대기의 영향 등으로 서해 연안 중 계절별 해양환경변화가 매우 큰 해역 중하나이다. 해역의 환경변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역 내수온변동 특성이 가장 먼저 파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세부 해역의 수온 장기 연속모니터링 자료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ines, P. G.(1986), Internal tides, internal waves and near-inertial motions, In: Baroclinic processes on continental shelves, edited by C.N.K. Mooers,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C., pp. 19-31. 

  2. Cho, H. Y., K. H. Lee, K. J. Cho and J. S. Kim(2007), Correlation and hysteresis analysis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s in the coastal zone - Masan B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9(3), pp. 213-221 

  3. Choi, H. Y., S. H. Lee and I. S. Oh(1998),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hermal front in the mid-eastern coastal area of the Yellow Sea, J. Oceanol. Soc. Korea, The Sea 3(1), pp. 1-8. 

  4. Choi, H. Y., S. H. Lee and K. W. Yoo(1999), Salinity distribution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during the high discharge from the Keum river weir, J. Oceanol. Soc. Korea, The Sea 4(1), pp. 1-9. 

  5. Choi, Y. H., Y. J. Ro and H. K. Jun(2002a), Variation of sea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Dangjin Power Plant, Asan Bay,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2), pp. 43-50. 

  6. Choi, Y. K., W. S. Yang and J. Y. Jeong(2002b), Nutrient front relating to the hydrography in the outflow region of the Keum river, J. Korean Fish. Soc., 35(3), pp. 289-296. 

  7. Choo, H. S. and E. C. Yoon(2015),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Jinju Bay in the South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21(4), pp. 315-326. 

  8. Choo, H. S. and K. D. Cho(1984), The Structure of tidal front in Eastern Yellow Sea in summer of 1982, Bull. Korean Fish. Soc. Vol. 17(2), pp. 83-91. 

  9. Foreman, M. G. G.(1978), Manual for tidal currents analysis and prediction, Pacific Marine Science Report 78-6; Institute of Ocean Science: Patricia Bay, Sydney, BC, Canada, October 2004. 

  10. Friedrichs, C. T. and D. G. Aubrey(1988), Nonlinear tidal distortion in shallow mixed estuaries: A synthesis, Estuarine, Coastal Shelf Science, Elsevier, 26(5), pp. 521-545. 

  11. Go, W. J., S. W. Kim and D, S. Kim(2006), A relationship between oceanic condition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the western sea of Korea in wi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2(1), pp. 23-32. 

  12. Ippen, A. T. and D. R. F. Harleman(1966), Tidal dynamics in estuaries, Estuary and Coastline Hydrodynamics, Edited by Ippen, A. T., McGraw-Hill, New York, pp. 493-545. 

  13. Jang, L. H., Y. Q. Kang and Y. S. Suh(2000), 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variation depend on time scale at coastal stations in Korea,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9(4), pp. 303-309. 

  14. Jung, K. Y., Y. J. Ro and B. J, Kim(2013), Tidal and sub-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in the central part of Chunsu Bay, Yellow Sea, Korea during the summer season,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8(2), pp. 53-64. 

  15. Kang, C. Y.(2013), The Characteristic of internal waves observed in the tidal fronts near Ocheong-Do in the eastern Yellow Sea,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Kunsan Nat. Univ. pp. 60-61. 

  16. Kang, J. H. and S. R. Moon(2001), Tidal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estuary which shows significant shallow tid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13(1), pp. 56-60. 

  17. Kang, Y. Q.(1983),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s across ground and sea surfaces in Korea, J. of Korean. Met. Soc., 19(2), pp. 2088-2095. 

  18. Kang, Y. Q.(2000), Warming trend of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recent 60 years (1936-1995), J. Fish. Sci. Tech., 3(3), pp. 173-179. 

  19. Kang, Y. Q. and B. D. Lee(1984), Year to Year Fluctuations of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temperature in the Korea Strait, Bull. Korean Fish. Soc. Vol. 17(6), pp. 557-565. 

  20. KHOA(2015),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Technical Reports, 2015, pp. 190-202. 

  21. Lee, C. I., J. H. Lee and D. S. Kim(2007), Effe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Water Temperature, Salinity in the West S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3(1), pp. 29-37. 

  22. Lee, H. J., C. W. Shin and Y. H. Seung(1992), Internal tidal oscillations of temperature off Jukbyun on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7(3), pp. 228-236. 

  23. Lee, J. K., C. Park, D. B. Lee and S. W. Lee(2012),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 in a semi-closed Chunsu Bay,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2), pp. 95-111. 

  24. Lee, M. O., I. H. Park and B. K. Kim(2008),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s in Chunsu Bay around Anmyeondo, Journal of Korean Island, Vol. 20(2), pp. 145-162. 

  25. Lee, S. H., H. G. Kwon, H. Y. Choi, J. S. Yang and J. Y. Choi(1999),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the dyke gate operation: II. salinity structure and estuary type, J. Oceanol. Soc. Korea, The Sea 4(4), pp. 255-265. 

  26. Lim, D. I., M. R. Kang, P. G. Jang, S. Y. Kim, H. S. Jung, Y. S. Kang and Y. S. Kang(2008),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long mid-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30(4), pp. 379-399. 

  27. Lim, K. S.(1991), Internal tides in an axially symmetric basin, J. Oceanol, Soc. Korea, 26, pp. 133-143. 

  28. Matsuyama, M.(1985), Internal tides in Uchiura Bay: subsurface temperature observations near the bay head, J. Oceanogr. Soc. Japan, 41, pp. 135-144. 

  29. Mcclimans, T. A.(1988), Estuarine fronts and river plumes, -Physical Processes in Estuaries- edited by Dronkers J. and W. V. Leussen, Springer-Verlag, pp. 55-69. 

  30. Nam, S. H.(2006), Near-inertial current variability off the east coast of Korea,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 Univ., pp. 14-21. 

  31. NIFS(2000),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Environmental quality in the coastal area of West Sea, Korea (May, 2000), Letters of the Oceanography and Fisheries Resources of the Yellow Sea, 3(3), pp. 9-18. 

  32. Park, S. U. and J. K. Kim(2012), Sea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istributions in the Cheonsu Bay, Proceeding of the autumn meeting, 2012 of Korea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Energy, pp. 251-257. 

  33. Pawlowicz, R., B. Beardsley and S. Lentz(2002), Classical tidal harmonic analysis including error estimates in MATLAB using T_TIDE, Computers and Geosciences, 28, pp. 929-937. 

  34. Rory, O. R. Y. Thompson(1983), Low-pass filters to suppress inertial and tidal frequencie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3, pp. 1077-1083. 

  35. Seung, Y. H., J. H. Chung and Y. C. Park(1990), Oceanographic studies related to the tidal front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Phuysical aspects. J. Oceanol. Soc. Korea, 25, pp. 84-95. 

  36. Walters, R. A. and C. Heston(1981), Removing tidal-period variations from time-series data using low-pass digital filters,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12, pp. 112-115. 

  37. Yang, J. Y., J. S. Lee, I. S. Han, Y. K. Choi and Y. S. Suh(2012), Seawater temperature variation at aquafarms of Wando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8(6), pp. 514-5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