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증의 역설 다시 보기
The Paradoxes of Confirmation Revisited 원문보기

논리연구= Korean journal of logic, v.20 no.3, 2017년, pp.367 - 390  

최원배 (한양대 정책학과)

초록

입증의 역설에 관한 기존의 논의는 까마귀가 아니고 검지도 않은 대상이 까마귀 가설을 입증한다는 사실에 대체로 집중되어 왔다. 나는 이 글에서 까마귀가 아니지만 검은 대상이 입증의 역설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우선 헴펠이 입증의 역설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입증의 역설에 대한 기존의 논의가 부분적이었음을 밝힌다. 이어 까마귀가 아니지만 검은 대상이 까마귀 가설을 입증한다는 것을 헴펠이 정확히 어떻게 정당화 하는지를 살펴보고, 헴펠이 이 과정에 '증거의 역귀결 조건'이라고 부르는 원리를 가정하고 있음을 보인다. 끝으로 입증의 역설에 대한 이런 새로운 이해가 헴펠과 베이즈주의의 역설 해결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ch of literature on the paradoxes of confirmation has been focused on the problems raised by the fact that a nonblack nonraven confirms the hypothesis that every raven is black.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more interesting problems are still waiting to be explained, if we notic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역설에 관한 기존의 논의는 까마귀가 아니고 ‘검지도 않은’ 대상이 까마귀 가설을 입증한다는 사실에 대체로 집중되어 왔다. 나는 이 글에서 까마귀가 아니지만 검은 대상이 입증의 역설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 그는 “나트륨 염은 모두 노란색을 내며 탄다”는 가설을 예로 들어 이 점을 설명한다. 실험실에서 우리가 나트륨 염이라고는 전혀 들어 있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얼음 조각을 태워보았더니 노란색을 내며 타지 않았다는 사실을 관찰했다고 해보자. 이 증거는 앞의 가설을 입증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것이다.
  • 우선 역설적 결과 d와 관련한 베이즈주의의 해결책을 살펴보자. 베이즈주의자들은 다음 두 가지 가정을 추가로 한다.
  • 이 절에서는 입증의 역설에 대한 베이즈주의의 입장을 살펴보고, 이것이 헴펠의 견해와 얼마나 다른지를 논의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즈주의에서는 헴펠이 역설적 결과로 인정한 입증 사례들을 어떻게 분류하는지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 입증의 역설을 니코드 기준과 동치 조건으로부터 따라나오는 ‘놀라운 결과’ 전체를 일컫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한다면, 그런 결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 우리는 입증의 역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d가 입증 사례라는 역설적 결과뿐만 아니라 c, e, f가 모두 입증 사례라는 역설적 결과까지 포괄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입증의 역설을 이렇게 좀 더 포괄적으로 이해할 때 이것이 헴펠과 베이즈주의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d와 달리 c, e, f가 입증 사례라는 점에 대한 철학적 해명은 여전히 미진한 것으로 생각된다.
  •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해 보자. 우리는 입증의 역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d가 입증 사례라는 역설적 결과뿐만 아니라 c, e, f가 모두 입증 사례라는 역설적 결과까지 포괄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헴펠이 정확히 어떤 논거에서 이런 역설적 결과가 생겨난다고 보는지를 따져보기로 하자. 이를 살펴봄으로써 헴펠이 어떤 가정을 하고 있는지가 드러날 것이다.

가설 설정

  • 이 방안은 헴펠이 입증을 증거와 가설 사이의 관계로 파악하는 맥락과 관련이 있다.11) 우선 d뿐만 아니라 c도 입증 사례라는 점을 일단 확보했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e나 f도 입증 사례가 된다는 점은 비교적 쉽게 이끌어낼 수 있을 것 같다.
  • 헴펠 자신도 이런 추론을 한다고 생각되는 구절이 있다.12) 우리가 입증을 증거가 되는 대상과 가설 사이의 관계로 파악하는 틀 안에서 본다면, a, b,c, d라는 네 가지 분류는 서로 배타적이면서도 모든 대상을 망라하는 분할(partition)이 된다. 이때는 어느 대상이든 까마귀 가설의 입증 사례이거나 반입증 사례일 뿐 중립적 사례는 없다는 결론이 쉽게 따라나온다고 할 수도 있다.
  • = 어떤 S에 대해, E가 S의 전개를 함축하고 S는 H를 함축한다.
  • H1: 까마귀는 모두 검다(x)(Rx → Bx).
  • H2: 검지 않은 것은 모두 까마귀가 아니다(x)(∼Bx → ∼Rx).
  • H3: 까마귀이거나 까마귀가 아닌 것은 모두 까마귀가 아니거나 검다(x)((Rx ∨ ∼Rx) → (∼Rx ∨ Bx)).
  • 이는 우리가 사는 이 세계에는 검은 대상의 수가 까마귀인 대상의 수보다 훨씬 많다는 가정이다. 이처럼 베이즈주의자들은 경험적 가정에 의존해 d와 c가 갖는 역설적 성격을 해명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증의 역설을 야기하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입증의 역설을 야기하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 두 가지는 니코드기준과 동치 조건이다. 이들을 각각 다음과 같이 정식화하기로 하자.
니코드 기준이란? 보편 조건문의 전건과 후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입증 사례이고, 전건을 만족하지만 후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반입증 사례이며, 전건을 만족하지 않는 대상은 후건을 만족하든 그렇지 않든 무관한 사례이다.
입증의 역설은 다른 이름으로 어떻게 불리는가? ‘헴펠의 역설’ 또는 ‘까마귀 역설’이라고도 불리는 입증의 역설은 그간 많이 논의되었고, 역설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진단과 해결책이 제안되었다.1) 하지만 나는 입증의 역설과 관련해 여태껏 제대로 주목하지 않았거나 혹은 적어도 충분히 강조되지 않은 문제가 여전히 있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박제철 (2014), 헴펠의 역설에 대한 해결, 과학철학, 17(3), pp. 1-22. 

  2. 이영의 (2015), 베이즈주의: 합리성으로부터 객관성으로의 여정, 서울: 한국문화사. 

  3. 이영의 등 (근간), 입증, 서울: 서광사. 

  4. 전영삼 (2003), 헴펠의 역설과 밀의 차이법, 과학철학10, pp. 39-52. 

  5. 조인래 등 (1999), 현대 과학철학의 문제들, 서울: 아르케. 

  6. Fetzer, J. (2017), "Hempel",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URL https://plato.stanford.edu/entries/hempel/ 

  7. Fitelson, B. (2006), "The Paradox of Confirmation", Philosophy Compass 1(1), pp. 95-113. 

  8. Fitelson, B. and Hawthorne, J. (2010a), "How Bayesian Confirmation Theory Handles the Paradox of Ravens", in E. Ells and J. H. Fetzer (eds.), The Place of Probability in Science, pp. 247-276, Dordrecht: Springer. 

  9. Fitelson, B. and Hawthorne, J. (2010b), "The Wason Task(s) and the Paradox of Confirmation", Philosophical Perspectives 24(1), pp. 207-241. 

  10. Hempel, C. G. (1943), "A Purely Syntactical Definition of Confirmation", Journal of Symbolic Logic 8(4), pp. 122-143. 

  11. Hempel, C. G. (1945), "Studies in the Logic of Confirmation", Mind 54, pp. 1-26, 97-121, reprinted in Aspects of Scientific Explanation and Other Essay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전영삼 등 옮김, 과학적 설명의 여러 측면 그리고 과학철학에 관한 다른 논문들파주: 나남, 2011. 

  12. Horwich, P. (1982), Probability and Evid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Mackie, J. L. (1963), "The Paradox of Confirmation",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13, pp. 265-277. 

  14. Maher, P. (1999), "Inductive Logic and the Raven Paradox", Philosophy of Science 66, pp. 50-70. 

  15. Maher, P. (2004), "Probability Captures the Logic of Scientific Confirmation", in Contemporary Debat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ed. C. Hitchcock, pp. 69-93, Malden: Blackwell. 

  16. Pollock, J. L. (1973), "Laying the Raven to Rest: A Discussion of Hempel and the Paradoxes of Confirmation", Journal of Philosophy 70, pp. 747-754. 

  17. Rinard, S. (2014), "A New Bayesian Solution to the Paradox of the Ravens", Philosophy of Science 81, pp. 81-100. 

  18. Swinburne, R. G. (1971), "The Paradoxes of Confirmation: A Survey",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8(4), pp. 318-330. 

  19. Sylvan R. and Nola, R. (1991), "Confirmation without Paradoxes", in Advances in Scientific Philosophy, ed. by G. Schurz and G. Dorn, Amsterdam: Rodopi, pp. 5-44. 

  20. Vranas, P. (2004), "Hempel's Raven Paradox: A Lacuna in the Standard Bayesian Solution",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55, pp. 545-5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