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trend for allergic rhinitis in Korean Medicine. Methods :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Korean Medicine Doctors who were registered in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patient charac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한의 진료 현황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설문 결과는 알레르기 비염의 한의 치료법의 종류 및 활용(사용빈도, 사용기간 등)에 대한 임상 연구 계획 시 PICOS개발(연구 대상자, 중재, 비교중재, 결과변수, 연구세팅)에 있어서 임상 실제를 반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보장성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된다.
  • 본 연구에서는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방 병·의원에 내원하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특성, 알레르기 비염 진단, 알레르기 비염 치료 현황, 알레르기 비염 관련 연구 수요에 관하여 한의사 협회에 등록된 한의사 중 온라인 조사가 가능한 경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 대한 한의 치료 기술 중 임상 연구를 통해 근거 창출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치료 기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치료 기술의 1순위는 침, 조제한약, 한방보험용 한약제제, 비보험 한약제제 순으로 나타났고, 2순위는 한방보험용 한약제제, 비보험 한약제제, 침, 조제한약 순이었으며, 3순위는 비보험 한약제제, 침, 조제한약, 비보험 한약제제 순이었다(Table 14).
  • 알레르기 비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한방 병·의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특성은 연령대 비율과 양방 병·의원을 경유하는 비율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알레르기 비염의 진단 및 감별 시 현재 주로 사용하는 방법과 사용할 의사가 있는 방법에 대하여 중복 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알레르기 비염의 특이 증상(맑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 및 병력 청취는 설문에 응답한 전원(396명)이 사용한다고 응답하였고, 전비경 또는 비내시경을 통한 비강 검진, 단순 부비동 X-ray 검사(Para Nasal Sinus series; PNS series), 한의학 진단검사기 순으로 진단에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 알레르기 비염의 진료 현황 중 진단 부분에 있어서는 질환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과 그 정보를 얻는 경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와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의 알레르기 비염 가이드라인에 따르면21,22), 알레르기 비염의 진단은 임상적으로 콧물, 재채기, 코 가려움증, 코막힘 등의 증상이 있으면서, 비강 검진에서 맑은 콧물 및 창백하게 부어있는 하비갑개 소견이 관찰되면 질환의 유무를 의심하고.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의 개발에 앞서, 임상 한의사들의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진료 현황 및 임상 연구 수요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한약 치료의 사용 현황은 한방보험용 한약제제의 경우 사용 응답자 수의 빈도와 분포를 살펴보았고, 비보험 한약제제와 탕재·산제·환제 등 각 의료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조제하여 사용하는 한약(이하 조제한약)의 경우 처방명만 조사하여 결과 목록을 표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 의한 알레르기 비염 치료를 주저하는 이유는?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보완대체의학의 치료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8), 2012, 2014년 한방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7.7%가 한방 치료가 효과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으나 고가의 진료비(33.3%), 한약제에 대한 안전성 의심(22.4%) 등으로 한방 치료를 주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10).
알레르기 비염이란?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적인 재채기, 콧물, 코막힘,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비점막의 염증성 질환이다1). 알레르기 비염은 아토피 피부염, 천식과 함께 3대 알레르기 질환에 해당하며,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 인구의 16.
3대 알레르기 질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적인 재채기, 콧물, 코막힘,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비점막의 염증성 질환이다1). 알레르기 비염은 아토피 피부염, 천식과 함께 3대 알레르기 질환에 해당하며,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 인구의 16.4%가 의사로부터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단을 받았고, 이는 3대 알레르기 질환 중 가장 높은 유병률에 해당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reiner AN, Hellings PW, Rotiroti G, Scadding GK. Allergic rhinitis. Lancet. 2012;378:2112-22. 

  2.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National approval statistics 11702] [cited 2017 May 15];1(1):[1 screen]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Html/ 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1 8&conn_pathI2. 

  3. Kim CW. Current Update on Allergic Rhinitis.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12;82(3):298-303. 

  4. Kim YH, Yang HJ, Choi JH, Kim DK, Yoo Y, Lee B, et al. Clinical diagnostic guidelines for allergic rhinitis: medical treatment. J Korean Med Assoc. 2017;60(2):183-93. 

  5. Ng KH, Chong D, Wong CK, Ong HT, Lee CY, Lee BW, et al. Central nervous system side effects of first- and second-generation antihistamines in school children with perennial allergic rhiniti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omparative study. Pediatrics. 2004;113(2):e116-21. 

  6. Bousquet J, Cauwenberge PV, Bachert C, Canonica GW, Demoly P, Durham SR, et al. Requirements for medications commonly used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llergy. 2003;58:192-7. 

  7. Hellings PW, Fokkens WJ, Akdis C, Bachert C, Cingi C, Dietz de Loos D, et al. Uncontrolled allergic rhinitis and chronic rhinosinusitis: where do we stand today. Allergy. 2012;DOI:10.1111/all.12040. 

  8. Leonard B.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allergic rhinitis and conjunctivitis. [UpToDate Topic 16359 Version 8.0] [cited 2017 May 15];1(1):[1 screen] Available from: URL : http://www.uptodate.com/ contents/complementary-and-alternative-therap ies-for-allergic-rhinitis-and-conjunctivitis. 

  9.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the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2012. [National approval statistics 117087] [cited 2017 May 15];1(1):[1 screen]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Html/ statHtml.do?orgId117&tblIdDT_11787_N01 1&conn_pathI2. 

  10.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the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2014. [National approval statistics 117087] [cited 2017 May 15];1(1):[2 screens]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Html/ statHtml.do?orgId117&tblIdDT_11787N_00 02&conn_pathI2. 

  11. Kim DK, Kim YH, Kim JH, Park EJ, Baek JH, Lee SY, et al. Pediatrics in Korean medicine. 1st rev. ed. Seoul:Jungdam. 2002: 28-31. 

  12. Jang BH, Cho IH, Kim KS, Kim HT, Kim KJ, Kim MH, et al. Current status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 Exploratory study based on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3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4;27(1):117-29. 

  13. Kim NK, Lee DH, Seo ES, Choi EJ, Jang BH, Cho IH, et al. Treatment packages of persistent allergic rhinitis for developing PRCT protocols : An expert survey.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13;17(3):143-53. 

  14. Park JH, Baek SM, Moon SJ, Seo HJ, Kim SG, Lee M, et al.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par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community-based survey.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6(3):64-73. 

  15.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2016 No 62. 1st rev ed. Sejong:Inbooker. 2016:12-3. 

  16.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2013 No 59. 1st rev ed. Seoul:Gyemun. 2013:12-3. 

  17.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activation plan of the Korean medicine specialist system. [cited 2017 May 15];1(1):[1 screen] Available from: URL: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 veEntireDetail.do;jsessionidDF6426EA9C1323 01B408C28E1579BA04.node02?cond_research_ 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 arch_end_date&research_id1351000-2014001 01&pageIndex592&leftMenuLevel160. 

  18.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umber of patient with allergic disease by age group. [cited 2017 May 15];1(1):[1 screen] Available from: URL: http://www.mohw.go.kr/m/noticeView. jsp?MENU_ID0403&cont_seq332411&page7. 

  19. Park YJ, Seul JL, Yoon JY, Sung MM. A survey on parent'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patterns of oriental medical care of preschool students in Seong-Dong district.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11;25(1):90-110. 

  20. Kwon YK. Preliminary study on the discovery of targeted diseases in Korea and Western cimbined medicine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cited 2017 May 15];1(1):[1 screen] Available from: URL: http://www.prism.go.kr/homepage/theme/retrie veThemeDetail.do?leftMenuLevel110&cond_brm_super_idNB000120061201100060495&rese arch_id1351000-201300071. 

  21. Brozek JL, Bousquet J, Baena-Cagnani CE, Bonini S, Canonica GW, Casale TB, et al.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 guidelines: 2010 revision. J Allergy Clin Immunol. 2010;126:466-76. 

  22. Kim YH, Yang HJ, Choi JH, Kim DK, Yoo Y, Lee B, et al. Clinical diagnostic guidelines for allergic rhinitis: diagnosis. J Korean Med Assoc. 2017;60(1):81-8. 

  23. Task Force for Evidence Reports/Clinical Practice Guidelines, Special Committee for Evidence-based Medicine. Evidence Reports of Kampo Treatment 2015. [cited 2017 May 15];1(1):[1 screen] Available from: URL: http://www.jsom.or.jp/medical/ebm/er/index.ht ml#anchor16.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raditional medicine strategy 2014-2023. [cited 2017 May 15];1(1):[1 screen] Available from: URL: http://www.who.int/medicines/publications/tra ditional/trm_strategy14_23/en/. 

  25. Schaefer DR, Dillman DA. Development of a standard e-mail methodology: Results of an experi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1998;62(3):378-97. 

  26. Schuldt BA, Totten JW. Electronic Mail Vs. Mail Survey Response Rates. Marketing Research. 1994;6(1):3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