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열변증을 통한 열증 대상자에 산양삼과 재배인삼의 상부 승열 작용에 대한 인체적용시험
Clinical Trial for the Heat-Rising Action of Ginseng and Cultivated Wild Ginseng to The Subject Diagnosed as Heat Pattern by Cold-Heat Patternization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0 no.4, 2017년, pp.45 - 58  

유수정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고성권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  김형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trial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nseng and Wild Cultivated Ginseng to Heat pattern subject. Methods: Eighty-nine Subjects were diagnosed as heat pattern by Cold-Heat Patternization and divided into Ginseng group (n=30), Wild Cultivated Ginseng group (n=31) and Pl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삼과 산양삼의 승열에 관한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열변증으로 진단하여 열증에 해당되는 건강인에서 산양삼과 인삼 추출물 복용 전후에 두경부의 체온 변화 및 자각적 열감 변화, 피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승열작용의 이상반응이 없는지 평가하고자 임상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임상연구는 인삼이나 산양삼을 복용했을 때 생기는 부작용이라고 알려진 상부 승열감이 열증으로 진단된 대상자에서 실제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로 임상연구의 목적대로 한열변증 설문지에 따라 열증으로 진단된 대상자에게 7일간 인삼과 산양삼 추출물 및 대조식품인 옥수수전분을 복용시키고 피부열감 및 자각적 열감의 차이를 알아보는 임상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89명의 대상자를 모집하여 임상연구 참여동의서에 서명을 받은 후 한열변증과 사상체질 변증을 진행하여 열증의 피험자를 구분하는 Screening을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팀은 산림청 임업진흥원의 과제를 통하여 인삼이 두경부의 체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고려인삼이나 홍삼의 상열작용에 관한 연구들4,5)은 있었으나 산양삼에 대한 승열반응에 대한 임상연구를 진행한 경우는 없었으며 특히 승열반응에 민감할 수 있는 열성체질만을 모집하여 산양삼과 인삼을 동시에 임상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처음 시도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이란 무엇인가? 인삼은 五加科에 속한 多年生 本草인 인삼의 根을 건조한 것이다. 성미는 微溫하고 甘微苦하며 大補元氣, 固脫生津,安神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모든 氣虛證과 脾胃氣虛, 肺氣不足, 心神不安 등에 양호한 효과를 보이며 대량출혈 및 吐瀉로 인한 虛脫證에 응용할 수 있다1).
인삼은 어떠한 지환에 쓰일 수 있는가? 인삼은 五加科에 속한 多年生 本草인 인삼의 根을 건조한 것이다. 성미는 微溫하고 甘微苦하며 大補元氣, 固脫生津,安神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모든 氣虛證과 脾胃氣虛, 肺氣不足, 心神不安 등에 양호한 효과를 보이며 대량출혈 및 吐瀉로 인한 虛脫證에 응용할 수 있다1). 산양삼은 산삼의 씨앗이나 幼蔘을 인위적으로 산에서 재배한 蔘2)으로 장뇌삼으로도 불리고 있다.
인삼을 복용할 때에 주의해야 하는 체질과 그 부작용은 무엇이라고 알려져있는가? 인삼의 성미로 인해 체질상 少陽人의경우 인삼 복용 후 頭痛, 怔忡, 項强, 面赤, 不眠, 血壓上昇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신중히 사용하여야 한다1)고 보고되어 있는데 이를 서양삼(花期蔘) 판매업자들이 판매 증진을 위하여 인삼이 서양삼에 비하여 상열감을 유발하기 때문에 중국인들에는 서양삼이 효과적이며 한국 인삼은 여름보다 겨울에 복용해야 한다는 미국 측의 잘못된 마케팅으로 인삼 및 홍삼의 중국 진출 시 부작용의 우려감과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수출에 큰 장애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ompilation Committee of Oriental Medicine Text book. Herbal Medicine. Seoul:Younglimsa. 2007:572-5. 

  2. Jeong HS, et al. Component analysis of cultivated ginseng, cultivated wild ginseng, and wild ginseng and the change of ginsenoside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red ginseng.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0;13(1):63-77. 

  3. Kwon KR, Owi JS, Kim SW. A Literature Study on Wild Ginseng.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3;6(2):67-75. 

  4. Seo JC, et al. The Effects of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on General Symtom in Koreans and Chineses-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5;29(1):27-36. 

  5. Kim SH, et al.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and Western Ginseng on Body Temperature, Pulse Rate, Clinical Symptoms and the Hematological Changes in Human. Journal of Ginseng Research. 1995;40(1):1-16. 

  6. Baek TS, et al. Health Test for Searching of Correlation and the Index of the Cold-heat Patternization Comparison of the Questionnaires for the Cold-heat Patternization and the Ordinary.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5;9(2) :145-51. 

  7. Chalder T, et al.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 Psychosom Res. 1993; 37(2):147-53. 

  8. Yang Z, et al. Ginsenoside Rd elicits Th1 and Th2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Vaccine. 2007;25(1) :161-9. 

  9. Reay JL, Kennedy DO, Scholey AB. Effects of Panax ginseng, consumed with and without glucose, on blood glucose levels and cognitive performance during sustained 'mentally demanding' tasks. J Psychopharmacol. 2006;20(6): 771-81. 

  10. Lee SH, et al. The antistress effect of ginseng total saponin and ginsenoside Rg3 and Rb1 evaluated by brain polyamine level under immobilization stress. Pharmacological Research. 2006; 54(1):46-9. 

  11. Su CF, Cheng JT, Liu IM. Increase of acetylcholine release by Panax ginseng root enhances insulin secretion in Wistar rats. Neurosci Lett. 2007;412(2) :101-4. 

  12. Kwon KR, Seo JC. Genetical Identification of Korean Wild Ginseng and American Wild Ginseng by Using Pyrosequencing Method. Kor J Herbology. 2004;19(4) :45-50. 

  13. Kwon KR, Cho AR, Lee SG. The Study on Acute and Subacute Toxic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cultivat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3; 6(2):7-27. 

  14. Kim GC, Park SW, Kim YS. Effect of Heart Rate Variability, Pulse Wave Velocity in Women of Breast Cancer Patients Care by Mountain Cultivated Ginseng Pharmacopuntur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1; 15(3):245-60. 

  15. Cho HC, Lee SG, Kwon KR. An Experimental Study on Apoptosis of cultivated Wild Ginseng Distilled Herbal Acupuncture by Concentration Level.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4;7(2):1-15. 

  16. Kim YJ, et al. Protective Effects of Cultivated ginseng, Cultivated Wild Ginseng of Korean and Chinese Against CCl4 and t-BHP Induced Acute Hepatotoxicity in ICR Mic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7; 10(1):101-7. 

  17. Seo JC.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Superficial Body Temperature of Korean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in Koreans and Chineses. Kor J Herbology. 2003;18(2) :71-86. 

  18. Lim BO. Trends and prospects of domestic and oversea ginseng industry. Bulletin of food technology. 2005; 18(2):16-30. 

  19. Heo J. Dongeuibogam. Seoul:Bubinbooks. 2007:760. 

  20. Nam KY, et al. Toward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on Blood Pressure. Kor J Pharmacogn. 2017;48(2):97-107. 

  21. Cho SY, et al. Textual Research : Indication and Dosage of Panax Ginseng during Lactation.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4):57-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