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병학(溫病學)의 막원(膜原) 개념과 그 실제적 활용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of makwon in onbyeonghak(溫病學)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0 no.4, 2017년, pp.83 - 93  

김상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Doctors' discussions on Makwon's warm-disease are studied in an effort to contemplate a way to use the outcome in practice. Method : Doctors' discussions on Makwon as found in researches and texts are categorized into physical and pathologica, and their symptoms and treatments are analy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膜原에 邪氣가 잠복되기 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膜原에 병이 들었을 때의 구체적인 증후를 파악해야 하고 그런 증후가 일어날 수 있는 전제조건을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膜原 관련 病機를 제시하고 치료방안을 도출해 냈던 醫家들의 醫論을 다시 분석해보자.
  • 膜原 관련 病機는 膜原에 邪氣가 잠복되어 氣機가 소통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膜原 치료는 祛邪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렇다면 예방을 위해 邪氣의 침입을 막는다는 측면으로 접근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고, 그 관점에서 우선 膜原 관련 病機에 邪氣의 속성을 언급한 醫家들의 논의에 주목하고자 한다. 비록 吳又可는 膜原에 침입하는 邪氣를 六氣가 아닌 厲氣라고 언급했지만 이후의 醫家들은 그 邪氣의 성격을 규정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 따라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되 추가적으로 기타 醫家의 논의도 함께 살펴보면서 膜原과 관련한 논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정리한 膜原說을 토대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고찰해보도록 하겠다.
  • 마침 溫病學 이론에서 膜原이라는 개념을 잘 활용하면 그러한 방안에 이론적 타당성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膜原이 어떤 개념을 지니는지 정리해보고 그로 인해 도출된 활용 가능성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정리된 다양한 醫家, 특히 溫病學者의 膜原 논의를 살펴보면 그 醫論이 구체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되 추가적으로 기타 醫家의 논의도 함께 살펴보면서 膜原과 관련한 논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정리한 膜原說을 토대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고찰해보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溫病學은 중의학에서 어떤 기반인가? 그에 따라 한의계에서도 관련 지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관련 지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중의학에서 성공적으로 전염병에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이 된 溫病學이다.1) 국내에서 溫病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교육과정에도 도입이 되고 관련 번역서가 꾸준히 나오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溫病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일어나는 일은? 관련 지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중의학에서 성공적으로 전염병에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이 된 溫病學이다.1) 국내에서 溫病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교육과정에도 도입이 되고 관련 번역서가 꾸준히 나오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행 제도 하에서는 전염병에 한의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여전히 요원한 일이다.
吳又可는 膜原과 半表半裏에 대해 어떻게 언급하였는가? 일단 膜原이 半表半裏에 속한다는 것을 언급하되 그 수식에 있어 두 가지 용어를 사용하였다. 우선 膜原이 밖으로는 肌肉에 통하고 안으로는 胃府에 가까운 것이라 하여 陽明이 주관하는 곳에서의 半表半裏에 속한다고 하였다.14) 또한 膜原이 熱濕에 의해 막혀 營衛氣가 다투게 된다는 점에서도 陽明의 半表半裏라고 언급하였다.15) 胃(와 脾)에서 생성된 營衛가 邪氣에 의해 조화를 잃어버린다는 것인데, 그러한 점에서 膜原이 생리적으로 陽明의 중요한 요소임을 드러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u YX. Wenyilun.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7. 吳有性. 溫疫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7. 

  2. Ye TS. Linzhengzhinanyian. Hongkong. The Commercial Press. 1982. 葉天士. 臨證指南醫案. 香港. 商務印書館. 1982. 

  3. Zhang N. Yimenbanghe. Beijing. Zhongyigujichubanshe. 1999. 章楠. 醫門棒喝.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1999. 

  4. Written by Wang SX, translated and annotated by Back SR. Pyeongjuonyeonlgyeong-wi. Seoul. Jipmoondang. 2013. 王士雄 著, 白上龍 國譯評註. 評註溫熱經緯. 서울. 集文堂. 2013. 

  5. Yu GC. Sandingtongsushanghanlun. Beijing. Zhongyigujichubanshe. 2002. ?根初. 三訂通俗傷寒論.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2002. 

  6. Lei L. Shibinglun.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64. 雷豊. 時病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64. 

  7. Yu C. Three medical books of Yujiayan. Beijing. Zhongyigujichubanshe. 2004. 喩昌. 喩嘉言醫學三書.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2004. 

  8. Written by Dai TZ, Revised by He LC. Chongdingguangwenrelun. Fuzhou. Fuji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6. 戴天章 原著, 何廉臣 重訂. 重訂廣溫熱論. 福州. 福建科學技術出版社. 2006. 

  9. Liu BY. Wenrefengyuan. Hangzhou. Hangzhousansanyishe. Unknown. 柳寶?. 溫熱逢源. 杭州. 杭州三三醫社. 미상 

  10. Kim NI. Records of Figur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Medicine. Gyeonggido Paju. Dulnyouk. 2011.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 인물실록. 경기도 파주. 도서출판 들녘. 2011. 

  11. Kim SH, et al..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Makwon in Seupyeoljeung.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2. 25(4). 金尙賢 외 3인. 濕熱證에서 膜原의 중요성에 대한 考察 -濕熱條辨을 중심으로-. 大韓韓醫學原 典學會誌. 2012. 25(4). 

  12. Baik YS, Kim DH. A Study on the Origin of Moyuan in Wenyilu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7. 30(3). 白裕相, 金度勳. 溫疫論 膜原 개념의 연원에 대한 小考.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7. 30(3). 

  13. Kim SH. The Birth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Warm Epidemic Disea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Medicine in East Asia-. Doctor's degree paper of Kyunghee University. 2016. 金尙賢. 조선 온역학의 탄생과 특징 -동아시아 의학사의 관점으로 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4. Kim MR.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pice and herb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02. 12(5). 김미리. 향신료의 기능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002. 12(5). 

  15. Wei YQ. Initial exploration of Wenbingmoyuanlun. Journal of Tianjin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997. 16(4). 魏玉琦. ?病膜原?初探. 天津中??院??. 1997. 16(4). 

  16. Zhang HY. Origin of the doctrine of moyuan and xiefumoyuan. Zhejia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9. 44(4). ?宏瑛. 膜原及邪伏膜原??源流. 浙江中??志. 2009. 44(4). 

  17. Su YF. Systematic theory of shaoyang sanjiao moyuan. Chin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0. 25(4). ?云放. 少?三焦膜原系??. 中?中???志. 2010. 25(4). 

  18. Su YF. SARS as a latent epidemic - discussion of moyuan theory. Journal of Zhejiang Chinese Medical University. 2003. 27(4). ?云放. 非典的伏??疫-膜原?探?. 浙江中?? 院??. 2003. 27(4). 

  19. WHO. SARS: Clinical trials on treatment using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